스크랩함

배가 나온 수행자는 道가 부족하다

쪽빛마루 2013. 2. 8. 05:05

배가 나온 수행자는 가 부족하다

 

 

 

 

 

내가 이런 글을 쓰는 이유는 수행이 부족한 수행자들을 욕보이기 위해서가 아닙니다.

수행을 핑계로 밥벌이를 하고 혹세무민하는 자들을 경계하기 위함이고 수행자의 몸과 마음에서 나타나는

물리적인 현상들을 제대로 분석하여 잘못되는 일이 없기를 바라는 마음에서 글을 남기는 것입니다.

세상이 밝은 시대입니다. 잠깐 남을 속일 수는 있어도 영원히 감출 수는 없습니다.

몸과 마음을 청정히 하여 자신도 부처가 되고 많은 중생들도 고통의 늪에서 건져주는

그런 수행자가 되기를 발원합니다.

 

복부 아래쪽이 불룩 나오는 시기가 있습니다. 수행자에 따라 다르겠지만 수행을 시작한지 2~3년이 지나면

어느 정도 수행이 깊어져 몸과 마음이 평온을 찾습니다.

마음이 평온해지면 몰입이 잘되고 몰입이 잘되면 몸이 이완됩니다.

몸이 이완되면 그동안 눌려있던 신경과 근육들도 이완됩니다. 횡경 막이 부드러워지면서 호흡도 깊어집니다.

깊은 호흡을 하면 충분한 산소가 들어오고 위장과 소장. 대장. 직장. 결장 등 모든 장기들이

아래쪽으로 내려가 단전부위가 불룩해집니다.

 

호사다마라고 했습니다. 좋은 일에는 반드시 마가 나타나는 법입니다. 수행에서도 마찬가지입니다.

호흡이 깊어질 때가 가장 조심하고 경계해야할 시기입니다. 몸과 마음이 이완되었을 때 이를 관리하지 못하고

경계에 부딪쳐 마음이 움직이면 곧바로 몸이 굳어집니다. 몸이 굳어지면 심각한 상황이 벌어집니다.

그동안 몸이 이완되면서 흉부와 폐공간이 넓어졌었는데 다시 경직되면 갈비뼈는 이완되지 않고

횡경 막도 아래쪽으로 내려가지 않습니다.

 

이렇게 되면 폐는 충분한 산소를 흡입하려고 깊은 호흡을 해보지만 흉부의 압력만 높아져 과부하가 걸립니다.

부하가 걸리면 인체는 강한 스트레스를 받아 심장은 빨리 뛰고 위산을 많이 분비하게 되며

노르아드레날린 등 스트레스 호르몬이 분비됨으로 인해 모든 민무늬 근육을 수축시켜 활성산소를 만들고

세포에 염증이 생기게 됩니다. 세포에 염증이 생기면 대장을 비롯한 장기들의 기능이 떨어져

가스가 차면서 배가 불러오는 것입니다. 사태가 이지경인데도 배를 내밀면서 단전에 보배라도 들어있는 것처럼

허세를 부리지만 이를 모르는 불자들은 큰 스님 큰 스님 하면서 합장을 합니다.

 

배가 부른 수행자는 마음이 안정되지 못합니다. 그것을 물리학적으로 설명해 보겠습니다.

배가 나왔다는 것은 장에 가스가 많이 차고 지방이 많다는 것이며=> 가스가 찼다는 것은 대장 기능이 떨어진 것이고=>

대장의 기능이 떨어지게 만든 것은 스트레스 호르몬이 과다 분비되어 민무늬 근육을 경직시켰으며=>

스트레스호르몬을 과다분비하게 만든 것은 흉부에 과부하가 걸려 그런 것이고=>

과부하의 원인은 몸이 경직되었다는 것이며=> 몸이 경직되었다는 것은 마음이 평온하지 않다는 것입니다.

결국 몸을 이완시키는 것은 평온한 마음이라는 것입니다.

엿가락 늘어지듯 이완된 몸으로 멍하니 바라보며 달콤한 감로수를 머금고 있는 어린아이의 모습!“

수행자의 모습도 이와 같아야 합니다.

 

몸집이 큰 수행자들이 배가 많이 나옵니다. 상기병은 상체가 길고 마른사람이 많이 걸립니다.

어떤 수행을 하느냐에 따라 몸에서 나타나는 반응들이 다릅니다.

화두참선이나 명상을 많이 하는 수행자와 결가부좌를 하고 앉아서 잠을 자는 수행자중

태음인들은 치골부위와 명치부위에 가로로 주름이 생기고 가스가 많이 찹니다.

소음인이나 소양인들은 배꼽주변이 돌처럼 단단해지고 배꼽과 명치사이에 가로로 주름이 생기면서

대장은 아래쪽으로 위장은 명치 쪽으로 올라붙습니다. 늘 어깨와 등이 걸리고 뒷목이 묵직합니다.

물론 머리도 무겁고 화끈거립니다. 관절이 아프기도 하고 허리가 아프기도 합니다.

심한 수행자는 오른쪽 옆구리나 왼쪽 옆구리에 계란 크기의 덩어리가 만져지기도 합니다.

 

몸이 경직된 상태에서 화두참선을 하거나 결가부좌수행을 할 경우 수행은 퇴보합니다.

먼저 충분히 몸을 이완시키는 것이 좋습니다. 수행이 깊어져 법력이 생기면 몸에서 그 징표가 반드시 나타나는데

대표적인 징표가 정수리에 나타나는 정유육계입니다.

다음기회에 정유육계가 왜 나타나는지에 대해 설명하도록 하겠습니다.

수행자라면 의학에 대해서도 밝은 지식을 갖추어야 합니다.

더욱 자세한 내용들은 참호흡선법이라는 수행지침서를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많은 도움이 될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