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종에서 주장하는 내용과 달마스님의 선은 다릅니까?
교종에서 주장하는 내용과 달마스님의 선은 다릅니까?
객승이 또 질문하였다.
"이런 말들이 있읍니다. '교종의 여러가지 언설(言說)과 달마스님의 바로 가리키는 선〔直指法門〕은 서로 같다'라고 합니다. 즉「화엄경(華嚴經)」에서 말한, '일체법이 그대로 마음 속에 있는 자성(自性)임을 알면 그것이 바로 깨달음이다. 그 밖에 다른 곳에서 깨달음을 구하지 말라'라고 한 것이 그 증거입니다. 또 「법화경(法華經)」에서 말한, '이 법은 사량분별로써 알 수 있는 것이 아니다'라고 한 경우와, 「금강경(金剛經)」에서 말한, '모습이 있는 모든 것은 허망하다'와, '이 법은 평등하여 높고 낮은 것이 없다'라고 한 것도 그 증거입니다. 또한 「원각경(圓覺經)」에서 말한 이것이 헛꽃〔空華〕인 줄 알면 윤회의 굴레에서 벗어날 것이며, 또 몸과 마음도 생사의 윤회를 받지 않는다고한 경우와, 「능엄경(楞嚴經)」에서 말한 '6근(六根)과 6진(六塵)이 같은 근원이므로 속박과 해탈이 둘이 아니다'라고 한 경우도 모두 마찬가지입니다. 그밖에도 여러 경전에서 이와 같은 이야기는 수없이 나옵니다. 그런데 왜 달마스님의 바로 가리키는 선〔直指法門〕이 있은 뒤에야, 비로소 교(敎)와 선(禪)의 뜻이 같은 줄을 알게 되었읍니까?"
내가 이렇게 대답했다.
"내가 이전에 말하지 않았습니까?
그것은 문자를 사용하여서 총지(總持)를 밝힌 것이라고. 진실로 자기 마음 깊이 한번이라도 깨달아보지 못하면 부질없이 약(藥)만을 늘어놓을 뿐 병을 고치지는 못합니다. 그러나 만약 한 번이라도 본성에 계합하여 증오한 자라면 어찌 대승경론의 귀절들만이 달마스님의 바로 가리키는 선〔直指法門〕과 일치한다고 주장하겠습니까! 대승경론은 말할 것도 없고 하찮은 이론과 바람소리, 빗빙울소리에 이르기까지도 모두 달마스님이 전한, 바로 기리키는 선〔直指法門〕과 상통합니다. 그러나 만약 언어와 형상을 떠난 상태에서 자기의 본성을 보지 못하고, 다만 대승경론의 서로 그럴듯한 말만을 기억해 둔다면 절대로깨달을 수 없읍니다. 옛사람들이 말씀한 '마음밖의 것에 의지하여 깨달으려 한다면 스스로가 깨닫는 길을 막는 꼴이 된다'라고 한 것과, 또 '금가루가 눈에 들어간 것처럼 그 자체로는 값 나가고 보배로울지 모르지만 눈에는 이로울 것이 없다'와 같은 비유가 꼭 들어 맞습니다. 참선하는 납자들은 이 점을 마음에 깊이 새겨서 스스로 미혹되지 말아야 합니다.
또, 어찌 경전을 통한 가르침만이 유독히 달마스님외 바로가리키는 선〔直指之禪〕과 일치하지 않겠읍니까? 보통 선(禪)을 한다는 부류들 속에서도 그런 예는 많이 있읍니다. 즉 2조(二祖) 혜가(慧可) 스님의 안심(安心)과 3조(三祖)승찬(僧璨) 스님의 참죄(懺罪)와 남악(南嶽)스님의 기왓장 갈기〔磨塼〕와, 청원(靑原)스님의 수족(垂足)으로부터 비마〔秘魔〕스님의 나무집게〔擎叉〕와 설봉(雪峰)스님의 공 굴리기〔곤迷〕와 덕산(德山)스님의 매질〔棒〕과 임제스님의 할(喝)에 이르기까지, 1700공안은 물론 모든 기연(機緣)을 불립문자교외별전(不立文字敎外別傳)의 입장에서 모두 비판했습니다. 무엇에도 의지하지 않고 그대로 깨닫는 데 어떤 것이 가로막을 수 있겠습니까! 그대가 만일 육신의 굴레를 탁 벗어나지 못하고, 알음알이〔情意識〕를 가지고 깨달으려 한다면 큰 잘못입니다. 그것은 마치 '기름이 국수그릇에 들어간 것과 같으며 온갖 독이 심장에 들어간 것 같다'는 비유와, 또 '제호(醍호)의 최고 가는 맛은 세상의 제일이지만, 이런 사람에게는 도리어 독약이 된다'는 비유와 같은 경우입니다.
이것은 분명히 알아야 합니다. 달마스님의 바로 가리키는 선〔直指法門〕에는 마음을 이용하여 들어갈수 있는 것도 아니며, 생각으로 들어갈 수 있는 것도 아니며, 이 자리는 발들여 놓을 틈도 없고, 손에 닿지도 않는 곳입니다. 이 자리는 친히 자신의 본성을 향하여 미끄러지듯 한걸음에 성큼 밑바닥까지 쑥 들어가야 합니다. 그리하여 이 자리에 들어가기만 하면 침 밸으며 팔 흔드는 등의 하찮은 일에 이르기까지 모든 행위가 대상에 관계없이 저절로 마음속에서 흘러나오게 됩니다. 이것은 마치 사자가 친구를 구하지 않는 것과같습니다. 이렇게 되면 앞에서 말한 1700공안이 마치 여우가 흘린 침에 잡다한 독이 들어 있는것처럼, 쓸데없는 소리인 줄을 알게 됩니다. 어찌 털끝만큼이라도 바깔 경계에 휘둘리리요.
애석합니다! 때로 총명하다고 자처하는 무리들이 스스로 깨달으려고는 하지 않고 밤낮으로 잡다한 독구덩이 속에 웅크리고 앉아서 힛된 짓을 하고 있읍니다. 말하자면 향상(向上)이니 향하(向下)니, 전제 (全提)니 반제(半提)니, 최초(最初)니 말후(末後)니, 정안(正按)이니 방고(旁敲)니, 조용(照用), 주빈(主賓), 종탈(縱奪), 사활(死活) 등등으로 억지로 쓸 데 없는 힛된 이론만 늘어 놓습니다. 그리하여 이것을 자기 종파의 중요한 핵심이라고 받들어 후인들을 현혹하기도 합니다.
그런가 하면 어떤 사람들은 선배들의 문장과 이론만을 비판 검토하여 평가하기도 합니다. 즉 어떤 선배의 말씀은 '전제(全提)와 향상(向上)이기 때문에 결가지는 모두 잘라버렸다'라고 평가하기도 하며, 어떤 선배의 말씀은 '신기하고 교묘하여 고금을 통하여 제일이다'라고 평가하기도 하며, 어떤 선배의 말씀은 '올바른 방법이기는 하나 죽은 선〔死禪〕이기 때문에 거칠다'라는 등등으로, 수만 가지로 비교하고 판단을 나름대로 내립니다. 그러나 크게 통달한 선배들이라면 심장이 천 갈래 만같래 찢어지더라도 가슴 속에 한 물건도 남여 두지 않는다는 사실을 그들은 알지 못합니다. 임제(?∼867)스님은 외물(外物)을 대할때에 그저 손이 가는 대로 집어들었지, 애초부터 이리 저리 궁리하여 선택하지는 않았읍니다. 그대로 손을 놀리는 것이 우레와 번개 같았읍니다. 그러나 어찌 자취나 이유를 찾을 수가 있겠습니까? 만일 찾을 수 있었다면 금강왕보검 (金剛王寶劍)이 떠나버린 지가 오래 되었을 것입니다.
더구나 어찌 사량분별에 읽매여 선사들의 빼어난 기연〔峻機〕을 회롱하고 교묘한 말을 꾸며서 후배들을 부채질하여 유혹할 수 있겠읍니까! 더구나 그들로 하여금 자기의 주장을 떠받들도록 유혹할수 있겠읍니까 !
또 선배들이 상대방을 근기에 알맞게 지도할 때에, 그 내용을 추.세(추 細), 현.밀(顯密), 광.략(廣略) 등으로 다르게 합니다. 이렇게 하는 이유는 무엇보다드 진실한 마음에서 그런것이지 애초부터 조작하려는 의도는 없었던 것입니다. 비유하면 마치 커다란 범종과 북이 사람이 두들기는 대로 소리의 크기가 달라지는 것과 같습니다. 그 소리의 대소와 맑거나 흐린 것은 범종이나 북의 성능에 따라 다릅니다. 그런데 범종이나 북의 성능이 좋지 못하다고 하여 거기에다 눈꼽만큼이라도 다른 소리를 첨가시키면 그 고유의 음색을 잃고마는 것과도 같습니다.
즈음 선(禪)을 한다는 작자들은 그저 큰 책상머리에나 앉아서 이리저리 연구하여 되지도 않는 소리나 지껄이고 있읍니다. 그리하여 여러 스님들이 말한 요점을 모으고 간추려서 서로 비교하기도 하고, 혹은 여러 스님들의 잡다한 이야기들을 모아서 이것으로써 얘깃거리를 삼기도 합니다. 이들이야말로 선을 입으로만 하는 사람들입니다. 이렇게 해서는 다른 사람의 속박을 풀어주기는커녕, 끌내는 자신의 진면목을 잃고 나아가 자신의 도안(道眼)마저도 파괴하게 될 것입니다. 이와같이 잘못 수행하여 놓고도 자기들끼리 서로서로 추종하고 홍상하기도 합니다. 그리하여 마침내 눈 밝흔 종사들의 큰 기대를 저버립니다. 그런데 어찌 총림(叢林)을 세워서 법도를 융성시킬 수 있겠읍니까!
세존이 세상에 출현하시고 달마스님이 인도 땅에서 오신 목적을 살펴보니, 모두가 사람의 속박을 풀어 주려고 그런 것이었읍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대들은 애초부터 좋고 나쁜 것을 구별하지 못했습니다. 그러고도 자기 나름대로 터득한 본래 청정한 경지를 바탕으로 더더욱 허망하게 수많은 이론들에 오염 되고 말았습니다.
그리하여 끝내는 발을 디딜 곳 마저도 없게 되었읍니다. 부모를 다버리고 출가하여 스승에 의지하여 도를 배우면서도, 출가 이전의 번뇌를 씻어버리지 못했읍니다. 게다가 쓸데없는 허다한 이론을 거기에다 첨가하여 자신의 본심마저도 점점 잃어버리는 결과가 되었읍니다. 참으로 가엾을 뿐입니다.
이 때문에 선배 스승들이 차마 그냥 보고만 있을 수 없어서 세상에 나왔습니다.
그리하여 기연을 토하고 올바른 방향을 제시하셨읍니다. 마치 취모검(吹毛劍)처럼 저네들의 병든 부분을 단칼에 베어버리고 생사의 윤희를 벗어나게 했읍니다. 이것이야말로 진실한 자비심으로 우리들을 불쌍히 여겨서 그렇게 한것입니다. 어찌 자신들의 사사로운 명예를 위하여 문호를 준엄하게 높여서 후학들의 존경을 받으려고 한 일이겠습니까!
대체로 크게 통달한 선배들도 모두가 처음에는 수행의 방법을 확실하게 알지 못했읍니다. 그렇기 때문에 산을 넘고 바다를 건너 이리저리 스승을 찾아다니면서 의심을 풀으려고 노력했습니다. 흘연히 어려운화두(話頭)에 부딪쳐서 확실히 깨치지 못하편, 마치 따가운 밤송이률 삼킨 듯이 괴로워 하기도 했습니다. 그런가 하편 원수를 만난 것 처럼 용맹스럽게 정진하기도 했읍니다. 고민고민하느라 추위와 더위도 모두 견디고, 잠자고 먹는 일마 저도 잊어버렸습니다. 죽는 그 순간까지도 한순간 회두를 놓지 않았으니, 화두를 다른 사람이 대신하여 쉽게 풀어줄 것은 생각조차 하지 않았습니다. 물론 문자나 언어에서 찾으려는 생각은 추호도 없었습니다. 오로지 그 침현 기연〔眞機〕을 스스로 드러내서 의심덩어리를 모조리 풀어버리려고 했을 뿐입니다. 각 종문(宗門)이 생긴 뒤부터 소위 깨달았다는 사람치고 이렇게 하지 않은 사람은 아무도 없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비록 걸음걸이가 걸으로 보면 느려보이나, 그 힘은 마치 사자가 여러 동물들을 놀라게 하여 도망치게 하는것과도 같습니다. 그리하여 각 종문에서는 위와 같은 깨달음을 바탕으로하여 수행의 방법을 설명하게 된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