차례
치문숭행록서
제 1장 청정하고 소박한 행[淸素之行]
1. 재회를 열지 않다[不作霽會]
2. 시주를 받는대로 나누어 주다[受施隨散]
3. 벌레 울고 티끌 쌓이다[蟲鳴塵積]
4. 좌계에 은둔하다[左溪遁跡]
5. 돈을 떨어뜨려도 돌아보지 않다[遺錢不顧]
6. 의복과 양식을 쌓아두지 않다[不畜衣糧]
7. 보시받은 것을 기억하지 않다[䞋施不憶]
8. 문을 닫지 않다[門不掩閉]
9. 시종으로 의심받다[人疑僕從]
10. 연잎 옷을 입고 솔잎을 먹다[荷衣松食]
11. 사슴과 새를 벗으로 하다[鹿鳥爲侶]
12. 욕심을 적게 하여 만족할 줄 알다[少欲知足]
13. 청정한 규약으로 대중을 가르치다[誨衆淸約]
14. 누더기옷에 한 끼만 먹다[衲衣一食]
15. 홀로 사관을 지키다[獨守死關]
총평
제 2장 엄숙하고 바른 행[嚴正之行]
1. 비구니를 상대하지 않다[禁拒女尼]
2. 어려서부터 실없이 노는 일을 끊다[幼絶戱掉]
3. 시자를 엄중하게 훈계하다[嚴訓侍者]
4. 술그릇을 깨뜨리다[破壤酒器]
5. 여자와 대면하지 않다[不面女人]
6. 법당을 힘써 호위하다[力衛殿堂]
7. 무례한 비구니를 쫓아내다[擯黜豪尼]
8. 선서(仙書)를 받지 않다[不受仙書]
9. 문을 닫고 자식을 거절하다[闔門拒子]
10. 조서(詔書)에 항거하며 굴복하지 않다[抗章不屈]
11. 마음을 방비하여 허물을 떠나다[防心離過]
12. 밤새도록 참선하다[終夜拱手]
13. 세속 일을 담론하지 않다[不談世事]
총평
제 3장 스승을 존중하는 행[尊師之行]
1. 밭에서 힘써 일하다[力役田舍]
2. 회초리를 받고 자신을 책망하다[受杖自責]
3. 스승을 위해 예불 참회하다[爲師禮懺]
4. 눈이 무릎 위까지 쌓이도록 서 있다[立雪過膝]
5. 스승 떠났던 것을 스스로 책망하다[離師自責]
6. 정침에 모시고 받들다[迎居正寢]
7. 오랜 세월을 모시다[歷年報侍]
8. 삼가 유언을 지키다[謹守遺命]
9. 가르침따라 끝까지 은둔하다[遵訓終隱]
10. 난리에도 떠나지 않다[兵難不離]
총평
제 4장 어버이에게 효도하는 행[孝親之行]
1. 수승한 우란분재 법회[蘭盆勝會]
2. 친히 어머니를 직접 공양하다[母必親供]
3. 모친상에 식음을 폐하다[居喪不食]
4. 소리없이 울며 슬픔으로 수척해지다[泣血哀毁]
5. 어머니를 업고 강론을 듣다[荷擔聽學]
6. 우물을 파서 아버지에게 보답하다[鑿井報父]
7. 탑에 예배하여 어머니를 구제하다[禮塔救母]
8. 도를 깨달아 아버지에게 보답하다[悟道報父]
9. 정강이 살을 베어 주고 출가하다[刲股出家]
10. 왕골로 신을 삼아 어머니를 공양하다[織蒲供母]
11. 정성이 아버지의 뼈를 감동시키다[誠感父骨]
12. 염불하여 어머니를 제도하다[念佛度母]
총평
제 5장 임금에게 충성하는 행[忠君之行]
1. 과보에 대해 설명하다[開陳報應]
2. 선을 권하여 재앙을 막다[勸善弭災]
3. 간언하여 살육을 바로잡다[規諫殺戮]
4. 재계를 잘 설명하다[巧論齋戒]
5. 공양하는 공덕을 비교해 주다[較論供養]
6. 법을 설하여 임금을 깨닫게 하다[說法悟主]
7. 왕자를 감동시켜 깨우쳐 주다[感悟東宮]
8. 도살 끊기를 권하다[勸斷屠殺]
9. 참회법을 닦으라고 권하다[勸修懺法]
10. 벌을 받으면서도 속이지 않다[受罰不欺]
11. 꽃을 노래하여 풍자로써 간하다[咏花諷諫]
총평
제 6장 중생에게 자비를 베푸는 행[慈物之行]
1. 고통을 참으며 거위를 보호하다[忍苦護鵝]
2. 오리를 보호하느라 물을 안 마시다[護鴨絶飮]
3. 죽을 짐승을 사다가 기르다[贖養生命]
4. 자비와 공경으로 보시를 행하다[悲敬行施]
5. 바다를 사들여 방생터로 만들다[買放生池]
6. 귀를 잘라 꿩을 구제하다[割耳救雉]
7. 가난을 구제하러 관청에 나아가다[濟貧詣官]
8. 전염병이 도는 곳에 몸소 가다[躬處癘坊]
9. 배의 종기를 입으로 빨다[口吮腹癰]
10. 뭇 쥐들을 기르며 은혜를 베풀다[惠養群鼠]
11. 이불을 같이 덮으며 개를 기르다[氈被畜狗]
12. 더러운 질병도 싫어하지 않다[穢疾不嫌]
13. 질병을 간호하다 보살을 친견하다[看疾遇聖]
14. 길을 갈때 우선 비질부터 하다[行先執箒]
15. 걸인들을 도와 구제하다[贍濟乞人]
16. 계율을 베풀고 방생하다[施戒放生]
17. 자기 몸처럼 병을 간호하다[看病如己]
총평
제 7장 고상한 행[高尙之行]
1. 총애를 피하여 산으로 들어가다[避寵入山]
2. 맑고 한가한 모습을 존경하다[衆服淸散]
3. 왕의 공양을 누리지 않다[不享王供]
4. 어가를 맞이하지도 전송하지도 않다[駕不迎送]
5. 귀한 사람과 결속하여 노닐지 않다[不結貴遊]
6. 도적에게 길을 안내하지 않다[不引賊路]
7. 조정에서 여러번 불렀으나 나아가지 않다[屢徵不就]
8. 차라리 죽을지언정 일어나지 않다[寧死不起]
9. 세번이나 조서를 내려도 가지 않다[三詔不赴]
10. 조서가 이르러도 일어나지 않다[詔至不起]
11. 위험을 무릅쓰고 스님을 구하다[冒死納僧]
12. 속인의 초대에는 가지 않다[不赴俗筵]
13. 가사와 법호를 받지 않다[不受衣號]
14. 하사한 가사를 끝내 사양하다[力辭賜紫]
15. 왕궁을 즐겁게 여기지 않다[不樂王宮]
16. 추천서를 소매 속에 넣다[袖納薦書]
17. 편지를 뜯어보지도 않고 버리다[棄書不折]
18. 사신을 마주하고 발우를 태워버리다[對使焚鉢]
총평
제 8장 지중한 행[遲重之行]
1. 법을 전수받고 오랫동안 은거하다[傳法久隱]
2. 10년 동안 자취를 숨기고 자중하다[十年秘重]
3. 신통을 내보이지 않다[不宣靈異]
4. 나무꾼과 목동 속에 자취를 뒤섞다[混迹樵牧]
5. 일마다 인연에 따르다[事皆緣起]
6. 여러 해를 문닫고 지내다[歷年閉戶]
7. 깊은 산에 오랫동안 거처하다[久處深山]
8. 여덟 번 초청했으나 가지 않다[八請不赴]
9. 법을 소중히 여기고 산에 은둔하다[重法隱山]
10. 폐사에 은거하다[廢寺隱居]
총평
제 9장 어렵고 힘든 행[艱苦之行]
1. 노비구의 두타행[年老頭陀]
2. 험난한 일을 모두 경험하다[備經險難]
3. 불법이 폐지되자 상복을 입다[法滅縗絰]
4. 정강이를 찌르며 마음을 다스리다[刺股制心]
5. 서천축에서 경전을 가져오다[西竺取經]
6. 수고로운 일은 몸소 솔선하다[身先苦役]
7. 몸에서 이를 잡지 않다[蚤蝨不除]
8. 6년을 절구질을 하다[六載春粟]
9. 일하지 않으면 먹질 않다[不作不食]
10. 만리길을 찾아가 의심을 결단하다[萬里決疑]
11. 몸소 부역을 하다[躬自役作]
12. 자기를 낮추고 몸을 수고롭게 하다[卑己苦躬]
13. 애써 대중을 섬기다[刻苦事衆]
14. 수행하면서도 수고로움을 사양하지 않다[行不辭勞]
15. 항상 걸식을 하다[常行乞食]
총평
제 10장 감응의 행[感應之行]
1. 정성으로 계율을 감득하다[精誠感戒]
2. 참회하여 묘음을 얻다[懺獲妙音]
3. 사자좌(師子座)를 맹세하다[誓師子座]
4. 꿈 속에서 머리가 바뀌다[夢中易首]
5.계율 폐지했던 일을 참회하다[廢戒懺悔]
6. 문둥병이 치유되다[癘疾獲瘳]
7. 부지런히 노력하여 이해가 발현하다[勤苦發解]
8. 예불 참회하여 수명을 연장하다[禮懺延壽]
9. 경전을 지송하여 수명을 연장하다[誦經延壽]
10. 종을 두드려 지옥의 괴로움을 뽑다[打鐘拔苦]
11. 천신이 몸을 보호하다[天神護體]
12. 감응으로 정토를 보여주다[感示淨土]
13. 감로수를 입에 부어 주다[甘露灌口]
14. 참회로 수기를 받다[懺感授記]
15. 입에서 청련화가 나오다[口出靑蓮]
총평
치문숭행록(淄門崇行錄) 발문(跋文)