차례
해제(解題)
자서(自敍)
운와기담 上
1. 부필(富弼)의 게송과 편지
2. 조수 자지(祖秀紫芝)스님의 문장
3. 동산 길(東山吉)선사의 게송
4. 인종(仁宗)황제가 대각 회련(大覺懷璉)선사에게 묻다
5. 황룡 혜남(黃龍慧南)선사의 3관 화두송
6. 주무숙(周茂叔 : 周敦頣)과 청송사(靑松社)
7. 고칙(古則)에 송(頌)을 붙이다 / 선(禪)선사
8. 죽에 대하여 지은 글[粥疏] / 제이(齊已)스님
9. 승당기(僧堂記) / 대제(待制) 사공(査公)
10. 성질 급한 스님 / 불심 본재(佛心本材)선사
11. 도사 건익지(蹇翊之)를 보내며 / 무진거사(無盡居士)
12. 발우들고 날마다 탁발하다 / 경산 명(徑山明)선사
13. 오랜 세월동안 선정에 들다 / 동산사(東山寺) 수연(修演)스님
14. 고산사(鼓山寺)에서 간행된 어록
15. 회석두(回石頭)스님 어록에 서문을 쓰다 / 풍당가(馮當可)
16. 참요자(參蓼子) 도잠(道潛)스님
17. 부엌을 새로 짓고[廚堂記] / 백운 수단(白雲守端)선사
18. 대혜(大慧)선사가 한자창(韓子蒼)의 서재에 머물 때
19. 자운 선인(慈雲善因)스님이 조정에 올린 호소문
20. 나한사(羅漢寺) 계남(系南)선사의 수행일생
21. 승려에게 재물과 밥을 보시하는 일
22. 천 법용(泉法湧)스님이 황룡 사심(黃龍死心)선사에게 입실하다
23. 날카로운 우스갯소리를 잘하던 설두 지(雪竇持)선사
24. 초서체를 잘 쓰던 용아 종밀(龍牙從密)선사
25. 무쇠 주둥이, 화약사(花藥寺) 영(英)선사
26. 서호(西湖)에서 한가하고 청빈한 생활 / 이연 청순(怡然淸順)스님
27. 한림학사 왕조(汪藻, 汪彦章)가 여러 스님들을 뵙다
28. 은둔하며 사는 조주선사의 상수제자 엄양존자(嚴陽尊者)
29. 운봉(雲峰)선사의 후신(後身), 대혜선사
30. 예장태수(豫章太帥) 정벽(程闢)이 혜남스님을 주지로 맞이하다
31. 유방명(劉方明)과 돌 관음상
32. 이를 잡아 화로에 태우며 법문을 들려주다 / 정손(淨遜)감사
33. 아미타불 잘 그리던 유미타(喩彌陀)
34. 불 타 없어진 능인사(能仁寺)를 중건하다 / 온(溫)선사
35. 상서 막장(莫將)이 남당 원정(南堂元靜)선사를 뵙다
36. 관상술 잘하던 석가원 묘응(妙應)대사
37. 불교로 마음을 돌린 태학의 벼슬아치, 태백(泰伯) 이구(李覯)
38. 삭발하는 그림에 부친 글[題淨髮圖] / 수앙(脩仰)서기
39. 눌(訥)선사가 여산 동림사(東林寺)에 갔던 일
40. 방자한 행락객, 남강군수를 일깨워주는 글 / 진교 과(眞敎果)선사
41. 진정(眞淨)스님이 보련장주(寶蓮莊主)의 공양에 가면서
42. 자칭 '머뭄없는 늙은이' 경산사 본(本)수좌
43. 언제나 '소로소로…'로 대답하다 / 용아 재(龍牙才)선사
44. 탐색할 것 없는 종지 / 회옥산(懷玉山) 선(宣)수좌
45. 원오(圓悟)선사가 은둔자 왕범지(王梵志)의 시에 붙인 글
46. 노래가락에 느낀 바 있어 / 초안사(楚安寺) 방(方)선사
47. 말쑥한 산천에 한 마리 기린 / 주봉암주(舟峰菴主) 경노(慶老)선사
48. 효종황제의 「원각경」 주석에 보인(寶印)스님이 송을 올리다
49. 백운산 대나무귀신 / 해회사(海會寺) 수종(守從)선사
50. 양린(楊麟)의 출가와 서원
51. 원감 원(圓鑑遠)선사의 시와 행적
52. 적음존자(寂音尊者) 혜홍(慧洪)선사가 연루되어 견책받았던 일
운와기담 下
1. 비구니 혜광(淨智慧光)스님의 설법
2. 한유(韓愈)의 「원도(原道)」를 논함 / 효종(孝宗)황제
3. 융경사(隆慶寺) 한(閑)선사의 법문과 게송
4. 파초암주(芭草菴主) 천대도(泉大道)스님의 '육파비송'과 '미치광이의 노래'
5. 여든 네살에도 참구하는 노선사 / 자비사(慈悲寺) 한(閑)장노
6. 불인(佛印)선사와 왕안석(王安石)의 만남
7. 노화엄 회동(老華嚴懷洞)스님이 세상에 나와 하신 법문
8. 탑청소를 하며 지은 게송 / 무제도인(無際道人)
9. 유정(惟正)선사의 행적과 법문
10. 황벽사 남(南)스님이 추(鄒)장자에게 보낸 게송
11. 엄조강(嚴朝康)의 송고(頌古)
12. 문수사(文殊寺) 도(道)선사의 게송
13. 임천(臨川) 땅 부자 불문에 귀의하다
/ 의송암주(倚松菴主) 덕조 여벽(德操如壁)스님
14. 혜통 단(慧通旦)선사의 송고(頌古)
15. 소식(蘇軾)의 사주상찬(泗洲像讚)
16. 시 잘 쓰는 원두(園頭) 신 무언(信無言)스님
17. 베옷만 입던 옥천 호(玉泉皓)선사의 탑명 / 무진(無盡)거사
18. 사방에 도를 묻다 / 비구니 진여(眞如)선사
19. 반짝반짝한 도인 / 보령사(保寧寺) 기도자(璣道者)
20. 대혜선사 화상찬 / 풍제천(馮濟川)
21. 악림사(岳林寺) 누각 중건에 얽힌 이야기
22. 아깝게 일찍 죽은 간상좌(簡上座)
23. 어부서 가락에 실어 큰스님들을 노래하다 / 일섭 원부(日涉園夫)
24. 대혜스님이 무진거사를 두번 째 방문했던 일
25. 장준(張浚 : 魏公)을 문안하러 가는 길에 / 겸수좌(謙首座)
26. 고사(故事)에 밝았던 수단(守端)스님
27. 호탕한 변(辯)선사
28. 산사로 돌아갈 것을 청하는 글 / 대각 회련(大覺懷璉)선사
29. 소철(蘇徹 : 子由)이 불인(佛印)선사를 찾아뵙다
30. 관음경 설법 / 설당 도행(雪堂道行)선사
31. 달마대사 초상화에 붙인 노래
32. 좌천 당한 소철(蘇徹) 경복사(景福寺) 순(順)선사와 사귀다
33. 임종 앞에서 자기 비문을 짓다 / 문혜공(文惠公) 진요좌(陳堯佐)
34. 혜남선사께 법제자가 되겠다는 편지를 띄움 / 보본사(報本寺) 원(元)선사
35. 야헌 가준(野軒可遵)선사의 시와 송
36. 서희(徐禧)가 영원(靈源)선사에게 법을 묻다
37. 무진거사와 대홍 은(大洪恩)선사가 선과 교의 요체에 대해 논하다
38. 승려를 도가 무리에 편입시킨 국가의 조치에 항변하다 / 모영도(毛永道)법사
39. 이포새(伊蒲塞 : 우바새)의 뜻
40. 성품을 논하는 글 / 달관 담영(達觀曇穎)선사
41. 소동파의 승복[衲衣]
42. 고암선사의 뒤를 잇다 / 무착 도한(無着道閑)선사
43. 북망산의 노래 / 불혜 법천(佛慧法泉)선사
44. 서기 정(政)스님의 시
운와암주서(雲臥菴主書) 1.
운와암주서(雲臥菴主書)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