차례
해제(解題)
서(1)
서(2)
서(3)
서(4)
산암잡록 上
1. 말후구(末後句) / 보엽 묘원(寶葉妙源)스님
2. 죽을 날을 받아놓고/ 인 대방(因大方)스님
3. 원(元) 침입에 맞서 송(宋)나라 사람의 절개를 지키다 / 가공 설옥(珂公雪屋)스님
4. 총림에 떠도는 헛소문
5. 자신의 안목을 잃고 후인을 그르치는 저술 / 천뢰 선경(千瀨善慶)스님
6. 염라대왕 앞에서 / 연복사(演福寺) 주지 택운몽(澤雲夢)
7. 불법문중에 잘못되어가는 일을 바로잡다 / 봉산 의(鳳山儀) 법사
8. 혐의받을 행동을 미리 막다 / 허곡(虛谷希陵)스님
9. 봉산 일원(鳳山一源) 스님의 염고(拈古)
10. 불경과 장자에 나오는 몸 큰 물고기
11. 「선문종요(禪門宗要)」의 저자에 관하여
12. 요즘 총림의 도반관계와 사자관계
13. 용감히 물러선 두 스님 / 동양(東暘)스님과 초석(楚石)스님
14. 동상종(洞上宗)을 지키고 전하다 / 운외(雲外)스님
15. 알 수 없는 인물, 지귀자(知歸子) 온일 관(溫日觀)
16. 천자의 생일에 돈에 매수당한 선객을 물리치다 / 죽장 암(竹莊岩)스님
17. 축원(竺元)스님의 가르침을 받고 / 신 고범(新古帆)스님
18. 보운사 문종주(文宗周)의 임종
19. 자상한 나의 스승, 축원 묘도(竺元妙道)스님
20. 성 도원(誠道元)스님의 「성학지요(性學指要)」
21. 명망이 너무 높아도 문제 / 고림 청무(古林淸茂)
22. 설두사 상장주(常藏主)의 게송 4수
23. 절노비 때문에 입은 명예훼손 / 천뢰(千瀨)스님과 형석(荊石)스님
24. 속인과 어울려 술판을 벌이다가 / 홍복사(洪福寺) 심석산(琛石山)스님
25. 목을 베자 하얀 우유빛 피가 흐르다 / 합존(合尊)대사
26. 환생한 어린아이
27. 보(寶)상좌의 사리와 피고름 / 파암(破菴)스님
28. 스스로 자초한 응보 / 장구육(張九六)과 방국진(方國珍)
29. 쥐들의 보답
30. 혜홍 각범(慧洪覺範)스님의 「승보전」
31. 공도사(恭都寺)의 정진과 게송
32. 휴거(休居)스님과 동주(東州)스님의 문체를 평하다 / 남당스님
33. 선불도(選佛圖)놀이를 하다가 꾸지람을 듣다
34. 천박한 소견으로 윗사람들의 어록을 펴내다
35. 황암 호두(黃巖濠頭)의 행각
36. 우연찮은 경우에 환희심을 맛보다 / 육왕사 면(勉)시자
37. 세 분 스님의 학인지도 / 동서 덕해(東嶼德海)스님
38. 이발사 장씨와 바늘장이 정씨의 게송
39. 계적 원(啓迪元)스님의 출가와 저술
40. 자기를 알아준 은혜에 보답하다/ 서암 요혜(西岩了惠)스님
41. 고림(古林)스님 회하의 여름결제에서
42. 쌍청의 종문을 드넓혔을걸
43. 사치스럽고 포악한 주지 / 혁휴암(奕休菴)
44. 인과 변화의 이치, 수행과 기도의 영험 / 고정(古鼎)스님
45. 자택사(紫籜寺) 창고지기 방 벽에 써 붙인 글
46. 문 닫고 사는 설법 / 노소(老素)수좌
47. 청소하는 눈 먼 수좌 / 나한사(羅漢寺) 증(證)수좌
48. 귀원(歸源)스님의 문하
49. 수창사(壽昌寺) 별원 법원(別源法源)스님의 인품
50. 선종사찰을 교종사찰로 바꾸려는 계획을 막다 / 각암 몽진(覺菴夢眞)스님
51. 전쟁 때 잃은 어머니를 찾아 / 승도(僧導)스님
52. 두 스승에게 천태와 선의 종지를 공부하다 / 아암 무(我菴無)법사
53. 능력과 상황에 맞게 소임을 안배하다 / 천동사(天童寺) 동암(東岩)스님
54. 하안거 결제법문에서 소임 맡은 제자들에게 / 단교(斷橋)스님
55. 아들 둘 낳고 출가하여 도를 이루다 / 희길상(喜吉祥)
56. 생전에 불법을 닦으면 / 자안(子安)스님
57. 염불공덕을 체험하고 신심을 내다 / 사첨사(史僉事)
58. 남편과 맞지 않아 발심수행을 하다 / 유안인(兪安仁)
59. 추강 담(秋江湛)선사의 산 제사
60. 무고를 당한 독실한 수행자 / 급암 종신(及菴宗信)선사
61. 젊은 패기에 휘둘린 시자, 너그럽게 봐주지 않은 스승 / 설암(雪巖)스님과 무준(無準)스님
62. 중봉(中峰)스님의 수행과 깨침
63. 포납(布衲)선사의 원숙한 문장력
64. 탁발승 성지암(誠止岩)스님
65. 청빈하게 살다 간 말세의 선지식 / 석옥 청공(石屋淸珙)스님
66. 옛 터에 암자짓고 분수껏 살다 / 무견(無見)선사
67. 절벽에서 떨어져 정(定)에 들다 / 단애 요의(斷崖了義)수좌
68. 경산사 본원(本源)스님의 수행과 주지살이
69. 역(易)수좌의 선정
산암잡록 下
1. 능엄경 「관음원통품」을 읽고 깨쳐 / 묘각사 정(淨)스님
2. 해운 인간(海雲印簡) 대사(大士)의 행장
3. 궁궐에 나아가 불법을 논하다 / 경산사 묘고(妙高)스님
4. 고승전을 편집하는 태도 / 몽당 담악(夢堂曇噩)스님
5. 불광 도오(佛光道悟)선사의 행장
6. 돼지 잡아 손님 대접하다가 / 하산사(何山寺) 노승
7. 청정(淸淨)에 걸린 장애를 깨고 / 조문민(趙文敏)
8. 세력을 업고 비행을 일삼다가 / 휘동명(輝東溟)
9. 말세의 신심 / 주(周)씨 노파와 전자중(田子中)
10. 네 스님의 게송
11. 게송 짓는 일 / 축원 묘도(竺元妙道)
12. 원암 회(元菴會) 장주의 게송
13. 일계 자여(一溪自如)스님의 행장
14. 지식에 막혀 깨닫지 못하다가 / 각 종성(覺宗聖)스님
15. 강심사(江心寺) 동당(東堂)의 고승들
16. 허곡(虛谷)스님의 인연과 수행
17. 관음기도로 얻은 기쁨 / 절조 휘(絶照輝)스님
18. 주지로 정해지는 인연
19. 천목사 괴일산(魁一山)의 후신
20. 인과를 경시한 업보 / 경산사 혜주(惠洲)스님
21. 청렴하고 유능한 제점승 / 지문사 이정당(彝正堂)
22. 중년에야 뉘우쳐 계행을 닦다 / 청차 일계(淸泚一溪)스님
23. 다른 말씀 없으시고 / 백운사(白雲寺) 도(度)스님
24. 일생동안 참선하여 / 해회사 옹(翁)스님
25. 사재를 용납치 않은 주지 / 동산사 노산(魯山)스님
26. 죽는 날까지 능엄경을 읽다 / 여 일암(如一菴)스님
27. 단강 각은(斷江覺恩)스님의 행장
28. 양황참범(梁皇懺法)의 효험
29. 지극한 신심을 가진 일가 / 황암 진군장(黃岩陳君璋)
30. 걸식으로 어머니를 봉양하다 / 공 행이(恭行已)스님
31. 불상 조각가 광보살(光菩薩)의 일생
32. 사성암(思省菴)스님의 법문과 게송
33. 오로지 하는 일은 도적질
34. 썩지 않은 시체
35. 전생 일을 깡그리 잊어버리다 / 말산(末山)스님과 서응(瑞應)스님
36. 8식 가운데 남아있는 무명의 뿌리
37. 불법에 조예 깊은 사대부 / 왕문헌공(王文獻公)
38. 대원경으로 서로를 비춰보다 / 고정 조명(古鼎祖銘)스님과 구양규재(歐陽圭齋)
39. 죽천(竹泉)스님의 대보름 상당법문
40. 흩어져 가는 선방 요사채 분위기
41. 「나호야록」에 실린 염송에 붙이는 소견
42. 대혜스님의 후예로 지조를 지키다 / 서소담(瑞少曇)스님
43. 생사는 무상한 것
44. 적조(寂照)스님의 문장
45. 희 태고(熙太古)스님의 문장
46. 고난을 구해주시는 아미타부처님
47. 머리를 깎다가 사리를 얻다 / 서천축 판적달(板的達)스님
48. 쇠고기를 먹지 않겠다는 맹세
49. 정토종의 말폐, 백련칠불교(白蓮七佛敎)
50. 공평무사한 마음으로 시주들을 대하다 / 서설 애(瑞雪崖)스님
51. 말년을 불법 참구로 보내다 / 송무일(宋無逸)
52. 세상에 나오는 엉터리 어록들
53. 자암(者菴)스님의 「총림공론(叢林公論)」을 논하다
54. 통쾌한 납자가 없는 이 세상 / 육왕사 설창(雪窓)스님
55. 「선림보훈(禪林寶訓)」에 기재된 임시변통의 문제에 대하여
56. 경전과 어록에 보이는 염화시중의 이야기
57. 상투화되는 조사(吊辭)
58. 관세음보살의 현신 / 조료 원(照寮元)스님
59. 무정불성(無情佛性)에 관하여 논하다 / 경산 여암(如菴)장주
60. 금동석가상과 관음보살상의 영검
61. 혼례식날 도망가서 출가하다 / 영 고목(榮枯木)
62. 계율을 경시하는 말세의 풍조를 개탄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