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암잡록 上 37~43.
37. 세 분 스님의 학인지도 / 동서 덕해(東嶼德海)스님
방산(方山文寶)스님이 정자사(淨慈寺)에 주지할 때 대중을 위하여 개당하고 물었다.
"남전(南泉)스님이 고양이를 죽인 일은 어떤가?”
이에 대해 여러 스님들이 말하였으나 모두가 맞지 않았는데 한 노비가 곁에 있다가 말하였다.
"늙은 쥐가 왕초가 되겠군요.”
이에 방산스님이 말하였다.
"좋은 말[一轉語]이기는 하나 너의 입에서 나온 것이 걸맞지 않다.”
동서(東嶼德海)스님이 영은사 주지가 되어 개당 법문을 하였다.
"물고기는 물을 생명으로 삼는데 무슨 까닭에 물 속에서 죽는가?”
한 스님이 말하기를 "강물 속에서 잃은 돈을 강물 속에서 주웠노라.”하니 스님은 그를 깊이 수긍하였다.
석실(石室)스님은 설두사에 주지할 때 개당 법문을 하면서 다른 사람이 말 꺼내는 것을 허용하지 않았다. 세 분 큰스님께서 학인지도에 쓰신 방법은 각기 다르지만 심장과 간장을 해부해서 드러낸다는 점에서는 전혀 다를 바 없다. 후세에 이 글을 보는 자는 안목을 가지고 보아야 할 것이다.
38. 이발사 장씨와 바늘장이 정씨의 게송
이발사 장(張)씨는 이름이 덕(德)이며 은현 하수(鄞縣 下水) 사람이다. 대대로 사찰의 물자를 공급하는 장사로서 참선하기를 좋아하고 항상 대중을 따라 법문을 들었으며 스스로는 깨친 바가 있다고 생각했으나 아무도 그 사실을 몰랐었다. 어느 날 눈이 내려 어린아이들이 눈을 뭉쳐 불상 만드는 것을 보고서 선승들은 제각기 게송을 지었는데, 장씨도 뒤따라 한 수를 읊었다.
꽃 한 송이 여래 한 분 받들고 나왔는데
흰눈 꽃송이 둥글둥글 보조개에 미소짓네
해골이 원래 물이었음을 알았더라면
마야부인의 태속에 들어가지 않았을 걸.
一華擎出一如來 六出團團笑臉開
識得觸髏元是水 摩耶宮裡不投胎
바늘 만드는 정(丁)씨는 천태(天台) 사람으로 서암사 방산(方山)스님에게 공부하여 인가를 받았다. 그가 유리에 대하여 게송을 읊었다.
놔 버리든지
집어 들든지
한 점 신령한 빛
천지를 비추네.
放下放下 提起提起
一點靈光 照破天地
이 두 수의 게송은 사물을 빌어 이치를 밝힌 것으로서 모두 경지에 이른 글이다. 내가 이를 함께 기록하는 까닭은 그들의 지위 때문에 말까지 버릴 수는 없기 때문이다.
39. 계적 원(啓迪元)스님의 출가와 저술
호성사(護聖寺)의 계적 원(啓迪元)스님은 임해(臨海) 사람이다. 서생(書生)으로 있을 때 마을 보장사(寶藏寺)에 계시는 숙부 견(堅)스님을 찾아갔다가 우연히 책상 위에 놓여 있는 「수능엄경」을 보게 되었다. '산하 대지는 모두가 묘명(妙明)한 진심(眞心)에서 나타나는 것'이라는 구절에 이르러 책을 덮어 두고 곰곰히 생각하다가, 한참을 묵묵히 있은 후 스스로 긍정되는 점이 있어 부모에게 아뢰고 출가를 허락받아 경산사 적조(寂照)스님에게 제자의 예를 드렸다. 스승을 위하여 두타행을 하였는데 갈수록 부지런히 닦았다.
세상에 나와 호성사의 주지가 되었으나 인연이 순탄하지 못하여 동당(東堂)에 은거하면서 7년 동안 저서에 몰두하였다. 「대보환해(大普幻海)」, 「법운통략(法運通略)」, 「췌담(贅談)」, 「우설(疣說)」, 「유석정화(儒繹精華)」, 「대매산지(大梅山志)」 등 모두 몇 권을 남겼으며 「불조대통부(佛祖大統賦)」를 짓기도 하였다. 그러나 이 때문에 폐결핵으로 입적하니, 그의 나이 43세였다.
40. 자기를 알아준 은혜에 보답하다 / 서암 요혜(西岩了惠)스님
천동사(天童寺) 서암(西岩了惠 : 1198~1262)스님은 촉 땅 사람이다. 남쪽 여러 곳을 돌아다니다가 경산사에 이르러 무준(無準)스님을 만났다. 거기서 서로 선기가 투합하여 무준스님은 입실을 허락하고 장주를 맡기려 하였으나 애써 막으려는 사람이 있었다. 그 이튿날 고인이 된 눌(訥)시자의 기감(起龕 : 다비식 때 관을 다비장으로 옮겨가기 위해 일으키는 행사) 의식이 있었는데 대중이 모두 겁을 먹고 말 한마디도 못하자, 무준스님은 유나(維那)를 시켜 혜(惠)시자를 기감을 주관할 사람으로 맞이해 오도록 하였다. 이에 혜시자는 감(龕) 앞에 이르러 연거푸 세 차례 ”눌시자!”하고 불렀지만 이때도 사람들이 겁을 내자 그는 마침내 "세번을 불러도 대답 없더니 과연 눌시자의 정수리에서 요천골(遼天鶻)이 나왔구나!”하였다. 무준스님은 혜시자를 밀쳐내려는 자를 당장에 쫓아내고 혜시자로 하여금 그 일을 대신하도록 하였는데 혜시자는 바로 서암스님이다.
스님은 이에 앞서 영은사의 묘봉(妙峰)스님에게 귀의하였는데 그 당시 영은사는 동서 양 행랑 벽 위에 그려진, 선재동자가 오십삼 선지식에게 도를 묻는 벽화를 다시 단청하는 불사가 있었다. 선승들이 제각기 게송을 지어 축하했고 스님도 게송을 지었으나 그를 시기하는 자가 두루마리에 써넣어 주지 않았는데, 묘봉스님이 두루마리를 펼쳐보다가 물었다.
"혜시자의 게송은 어찌하여 없는가?”
"있기는 하나 두루마리에 수록할 만한 글이 못됩니다.”
"한번 일러 보아라.”
게송을 본 후 묘봉스님은 그것을 첫머리에 써넣어 주었고 그 후로 명성이 자자해졌다. 뒷날 천동사의 주지가 되어서는 환지암(幻知菴)을 새로 지어 노년에 은거할 계책을 세웠고 사당 한 채를 따로 짓고 묘봉선사를 봉안하여 자기를 알아준 은덕에 보답하였다. 벽화를 찬양한 게송은 다음과 같다.
다행히도 사방에 막힌 벽이 없으나
누가 오색으로 허공에 단청할까
선재동자는 눈 속에 뿌연 눈병 생겨
한 꺼풀 도려내니 또 한 꺼풀 생겨나네.
幸是十方無壁落 誰將五彩繪虛空
善財眼裡生花翳 去却一重添一重
41. 고림(古林)스님 회하의 여름결제에서
호령강(浩靈江)은 고림(古林淸茂)스님의 제자이다. 고림스님이 요주(饒州) 영복사(永福寺)에 주지로 있을 때, 영강은 수좌승으로 여름 결제에서 불자(佛子)를 잡았는데 한 납승이 나와서 물었다.
"앞으로 한 걸음 나아가면 어떻게 됩니까?”
"담장에 부딪친다.”
"한 걸음 뒤로 물러서면 어떻게 됩니까?”
"구덩이 속에 떨어진다.”
"나아가지도 않고 물러서지도 않는다면 어떻게 됩니까?”
"그 자리에 서서 죽을 놈이다.”
어느 사람이 방장실을 찾아가 "수좌가 불자를 잡고 선객에게 답한 세 마디[三轉語]는 모두 기연에 맞는 말이었습니다.”하고 칭찬하자 고림스님이 말하였다.
"어느 곳이 좋단 말이냐? 듣지 못하였는가. 한마디 맞는 말이 만 겁에 노새 매는 말뚝이라는 말을.”
그러나 곧이 곧대로 알아들어서는 절대 안된다.
42. 쌍청의 종문을 드넓혔을걸
담 천연(湛天淵)은 천력 개원(天曆 改元 : 1328)에 봉산사 일원(一源)스님 회중의 윗자리[前版]에서 불자를 잡았으며 제창할 법문을 일원스님에게 미리 바쳤는데, 그 가운데 이런 내용이 있었다.
"상봉산 앞을 흰구름을 바라보며 걷노라니 구름은 걷히고 다시 퍼지며 우천정(禺泉亭) 위에 앉아 흐르는 물소리 앉아 듣노라니 때로는 시끄럽다가도 다시 잠잠하여라. 눈으로 보는 곳에서 귀로 듣는 불사를 하고 귀로 듣는 곳에서 눈으로 보는 불사를 해야 관세음보살 뿐만 아니라 나도 그 가운데서 깨침을 보리라[便見…]
일원스님이 '볼 수 있으리[便見]'라는 두 글자를 가리키면서 이 두자가 있으면 다른 사람의 입장에서 하는 말이 되니, 이 두 글자가 없어야 비로소 나의 말이 된다고 하자 천연스님은 자기도 모르게 그 자리를 물러나와 사람들에게 말하였다.
"환단(還丹 : 신선의 신약) 한 톨이 무쇠를 황금으로 만든다는 옛 말은 우리 스님을 두고 한 것이다.”
천연스님은 동서(東嶼)스님 문하에 뛰어난 제자로서 외모와 규범이 늠름하여 사람들의 존경을 받았다. 세간에 나와 지당(芝塘) 명인사(明因寺)의 주지를 지내다가 입적하였으며 민중 겸(敏中謙)스님과 함께 명성을 드날렸다. 민중 겸스님은 도력이 높고 성품이 훌륭하여 사람들에게 자신을 낮출 줄 아는 자였으며 동정 취봉사(翠峰寺)의 주지를 지내다가 입적하였다. 만일 조물주가 이 두 스님에게 장수를 누리게 했었더라면 마치 회당(晦堂)스님의 문하에 사심(死心), 영원(靈源) 두 스님이 있었던 것처럼 분명히 쌍청(雙淸 : 靈源惟淸, 草堂善淸)의 종문(宗門)이 넓어졌을 것이다.
43. 사치스럽고 포악한 주지 / 혁휴암(奕休艤)
혁휴암(奕休艤)은 양주(揚州) 사람이다. 젊은시절, 회전(淮甸), 연경, 오대산 등지를 돌아다니다가 흉년을 만나 상선을 얻어 타고 명주(明州)에 왔다가 천동사의 객승이 되었다. 낡고 해진 승복을 입고 하루 한 끼 먹으면서 밤을 새워 정진하니, 옛 스님의 의젓한 풍채가 있었다.
봉화(奉化) 상설두사(上雪竇寺)에 주지자리가 비어 대중이 글을 올려 주지가 되어달라고 청하니, 혁휴암은 흔쾌히 수락하고 삿갓 하나만을 들고 그곳으로 갔다. 그러나 방장실에 앉아 돈과 양곡을 관장한 지 일 년이 못되어 지난날 하던 것이 모두 바뀌었다. 허수룩하게 낡은 승복은 이제 가벼운 털옷으로 바뀌었고, 지난 날 하던 한 끼 공양은 이제 진수성찬으로 널려졌다. 그리고 좌우 사람들이 자그마한 계율이라도 범하기만 하여도 성을 내며 스스로 일어나 몽둥이로 때리고 그가 땅에 엎어지면 다시 직성이 풀릴 때까지 실컷 주먹질 발길질을 해댔다. 이윽고 사원의 진귀한 물건들을 모조리 긁어다가 은성(鄞城) 민가를 사들여 암자로 바꾸고 그곳에 살면서 날마다 재산 불리는 일만을 일삼았다. 그러다가 죽림사(竹林寺) 승려들과 가옥관계로 관청에 소송이 제기되어 부정이 드러나게 되었고 결국 옥중에서 죽고 말았다. 요즘 불문에서 선을 가장하여 명예를 바라며, 부처님의 가르침에 욕을 끼치는 자들이 어찌 혁휴암 한 사람에 그치겠는가.
시전(詩傳)에 의하면, 처음엔 잘하지 않는 자가 없지만 끝마무리를 잘짓는 사람은 적다고 하였으니 조심하지 않을 수 있겠는가.
속담에 의하면, 사람에겐 닦아서 얻을 수 있는 복이 있고 연장하여 얻을 수 있는 수명이 있다고 한다. 인간의 일세(一世)만을 가지고 이 속담을 논한다면 근원을 알지 못할 것이며, 삼세(三世)로 확실하게 논한다면 그 근원은 알 수 있겠지만 그 변화는 통달할 수 없다. 변화란 일세가 삼세를 포괄할 수 있고, 삼세가 일세에 실현될 수도 있는 것으로서 삼세인과와 일세인과가 시간적으로 멀고 가까운 차이가 있기는 하지만 실제로는 일심에서 짓고 받는 것이다.
무엇 때문인가? 세상 사람 가운데 선행을 하는 자가 도리어 미천하거나 요절하고,
악을 자행하는 자가 도리어 복받고 장수를 누리는 일을 흔히 볼 수 있다. 이는 전생에 많은 선을 행한 자가 현세에 비록 악한 일을 하였다 해도 현세의 악이 전생의 선을 이기지 못한 까닭에 복을 받고 오래 사는 것이며, 전생에 많은 악을 행한 자는 비록 현세에 선을 행하였다 하지만 현세의 선행이 전생의 악을 이기지 못한 까닭에 비천하고 요절하는 것이다. 그렇다면 현세의 선악과 대한 과보 또한 내생(來生)에 있는 법이다. 혹시 전생의 선행이나 악행이 그리 무겁지 않아서 현세의 행위가 조금이라도 많다면 미천함과 요절은 복과 장수로 변하고, 복과 장수는 미천함과 요절로 바뀌기도 한다. 그렇기에 사람은 변화에 통달하여 삼세인과에 얽매이지 말아야 하고, 일심이 짓고 받는다는 이치에 어두워 현세의 수행을 게을리 해서는 안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