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2편 돈황본단경 편역(編譯) 7. 정혜(定慧)
7. 정혜(定慧)
혜능이 이곳에 와서 머무른 것은 모든 관료 · 도교인 · 속인들과 더불어 오랜 전생부터 많은 인연이 있어서이다.
가르침은 옛 성인이 전하신 바요 혜능 스스로 안 것이 아니니, 옛 성인의 가르침 듣기를 원하는 이는 각각 모름지기 마음을 깨끗이 하여, 듣고 나서 스스로 미혹함을 없애어 옛 사람들의 깨침과 같기를 바랄지니라.【아래로부터는 법(法)이니라.】
혜능대사가 말씀하셨다.
선지식들아, 보리반야의 지혜는 세상 사람들이 본래부터 스스로 지니고 있는 것이다. 다만 마음이 미혹하기 때문에 능히 스스로 깨치지 못하는 것이다. 그러므로 모름지기 큰 선지식의 지도를 구하여 자기의 성품을 보아라.
선지식들아, 깨치게 되면 곧 지혜를 이루느니라.
惠能이 來依(衣)此地하니 與諸官僚(奪)道俗으로 亦有累劫之因이로다 敎是先聖(性)所傳이요 不是惠能自知니 願聞先聖(性)敎者는 各須淨心하야 聞了願自除(餘)迷하야 如(於)先代悟하라 下是法 惠能大師喚言하되 善智識아 菩提般若之智(知)는 世人이 本自有之로되 卽緣心迷하야 不能自悟하니 須求大善知識하야 示導(道)로 見性하라 善知識아 遇悟卽成智로다.
선지식들아, 나의 이 법문은 정과 혜로써 근본을 삼나니, 첫째로 미혹하여 혜와 정이 다르다고 말하지 말라. 정과 혜는 몸이 하나여서 둘이 아니니라. 곧 정은 이 혜의 몸이요 혜는 곧 정의 씀이니, 곧 혜가 작용할때 정이 혜에 있고 곧 정이 작용할 때 혜가 정에 있느니라.
선지식들아, 이 뜻은 곧 정 · 혜를 함께 함이니라. 도를 배우는 사람은 짐짓 정을 먼저 하여 혜를 낸다거나 혜를 먼저하여 정을 낸다고 해서 정과 혜가 각각 다르다고 말하지 말라. 이런 소견을 내는 이는 법에 두 모양이 있는 것이다. 입으로는 착함을 말하면서 마음이 착하지 않으면 혜와 정을 함께 함이 아니요, 마음과 입이 함께 착하여 안팎이 한가지면 정 · 혜가 곧 함께 함이니라.
스스로 깨쳐 수행함은 입으로는 다투는 데 있지 않다. 만약 앞뒤를 다투면 이는 곧 미혹한 사람으로서 이기고 지는 것을 끊지 못함이니, 도리어 법의 아집이 생겨 네 모양(四相)을 버리지 못함이니라.
善知識아 我此法門은 以定慧爲本하나니 第一勿迷言惠定이 別하라 定惠는 體一不二라 卽定是惠體요 卽惠是定用이니 卽惠之時에 定在惠하고 卽定之時에 惠在定이니라 善知識아 此義는 卽是[定]惠等이니 學道之人은 作意하되 莫言先定發惠하며 先惠發定하야 定惠各別하라 作此見者는 法有二相이니 口說善하고 心不善하면 惠定不等이요 心口俱善하야 內外一'衆'種이면 定惠卽等이니라 自悟修行은 不在口諍이니 若諍先後하면 卽是[迷]人이라 不斷勝負미 却生法我하야 不離四相이니라
일행삼매란 일상시에 가거나 머물거나 앉거나 눕거나 항상 곧은 마음을 행하는 것이다. 「정명경」에 말씀하기를 '곧은 마음이 도량이요 곧은 마음이 정토다'라고 하였느니라.
마음에 아첨하고 굽은 생각을 가지고 입르로만 법의 곧음을 말하지 말라. 입으로는 일행삼매를 말하면서 곧은 마음으로 행동하지 않으면 부처님 제자가 아니니라. 오직 곧은 마음으로 행동하여 모든 법에 집착하지 않는 것을 일행삼매라고 한다. 그러나 미혹한 사람은 법의 모양에 집착하고 일행삼매에 국집하여 앉아서 움직이지 않는 것이 곧은 마음이라고 하며, 망심을 제거하여 마음이 일어나지 않는 것이 일행삼매라고 한다. 만약 이와 같다면 이 법은 무정과 같은 것이므로 도리어 도를 장애하는 인연이니라.
도는 모름지기 통하여 흘러야 한다. 어찌 도리어 정체할 것인가? 마음이 머물러 있지 않으면 곧 통하여 흐르는 것이요, 머물러 있으면 곧 속박된 것이니라.
만약 앉아서 움직이지 않음이 옳다고 한다면 사리불이 숲속에 편안히 앉아 있는 것을 유마힐이 꾸짖었음이 합당하지 않느니라.
선지식들아, 또한 어떤 사람이 사람들에게 '앉아서 마음을 보고 깨끗함을 보되, 움직이지도 말고 일어나지도 말라'고 가르치고 이것으로써 공부를 삼게 하는 것을 본다. 미혹한 사람은 이것을 깨닫지 못하고 문득 거기에 집착하여 전도됨이 곧 수백 가지이니, 이렇게 도를 가르치는 것은 크게 잘못된 것임을 짐짓 알아야 한다.
一行三昧者는 於一切時中 行住坐(座)臥에 常行直(眞眞)心이 是니 淨名經에 云 直(眞)心이 是道場이요 直(眞)心이 是淨土라하니라 莫心行謟曲(典)하고 口說法直하라 口說一行三昧하고 不行直(眞)心하면 非佛弟子니라 但行直(眞)心하야 於一切法에 無'上'有執著이 名一行三昧어늘 迷人은 著法相하야 執一行三昧하야 直(眞)心을 坐不動이라하며 除妄不起心이 卽是一行三昧라하나니 若如是하면 此法은 同無情(淸)이라 却是障道因緣이니라 道須(順)通流니 何以却滯리오 心[不]住在하면 卽通流니 住卽被(彼)縛이라 若坐不動이 是면 維摩詰이 不合呵舍利弗의 宴坐(座)林中이니라 善知識아 又見有人이 敎人坐(座)하야 看心看淨하며 不動不起라하야 從此置功하나니 迷人은 不悟하고 便執成顚하야 卽有數百般(盤)하니 如此敎道者는 故知(之)大錯이로다.
선지식들아, 정과 혜는 무엇과 같은가? 등불과 그 빛과 같으니라, 등불이 있으면 곧 빛이 있고 등불이 없으면 곧 빛이 없으므로, 등불은 빛의 몸이요 빛은 등불의 작용이다. 이름은 비록 둘이지만 몸은 둘이 아니다. 이 정 · 혜의 법도 또한 이와 같으니라.
善知識아 定惠는 猶如何等고 如燈光하니 有燈卽有光이요 無燈卽無光이라 燈是光之(知)體요 光是燈之用이니 [名]卽有二나 體無兩般이라 此定惠法도 亦復如是니라.
○ 정혜위본(定慧爲本 정 · 혜를 근본으로 삼음)… '모든 부처님은 정 · 혜가 함께 하므로 불성을 밝게 본다.[諸佛世尊은 定慧等故로 明見佛性하니라 一涅槃經二十八]'고 함과 같이 정혜등지(定慧等持)가 된 부처라야 견성(見性)이므로 정혜로써 근본을 삼는다고 한 것이다.
○ 일행삼매(一行三昧)는 행주좌와(行住坐臥)에 정 · 혜가 등등(等等)한 삼매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