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림고경총서/선림보전禪林寶典

제3권 전심법요(傳心法要) 차례

쪽빛마루 2016. 6. 29. 08:56

전심법요 차례

 

머리말

 

제1편 전심법요(傳心法要)

서문(序文)

1.한 마음 깨치면 부처

2.무심(無心)이 도(道)이다

3.근원이 청정한 마음

4.일체를 여읠 줄 아는 사람이 곧 부처

5.허공이 곧 법신

6.마음을 잊어버림

7.법(法)은 무생(無生)

8.도(道)를 닦는다는 것

9.말에 떨어지다

10.사문이란 무심을 얻은 사람

11.마음이 곧 부처

12.마음으로써 마음에 전한다[以心傳心]

13.마음과 경계

14.구함이 없음

15.머문 바 없이 마음이 나면 곧 부처님의 행

16.육조(六祖)는 어째서 조사가 되었는가?

 

제2편 완릉록(宛陵錄)

1.도는 마음 깨치는 데 있다

2.자기의 마음을 알자

3.기틀을 쉬고 견해를 잊음

4.마음과 성품이 다르지 않다

5.모양이 있는 것은 허망하다

6.한 마음의 법

7.모든 견해를 여읨이 무변신보살

8.한 법도 얻을 수 없다

9.한 물건도 없다[無一物]

10.마음 밖에 다른 부처가 없다

11.보리의 마음

12.수은의 비유

13.무연자비

14.정진이란?

15.무심한 행

16.삼계(三界)를 벗어남

17.마음이 부처

18.유행(遊行) 및 기연(機緣)

19.술찌꺼기 먹는 놈

20.배휴의 헌시

21.여래의 청정선

22.양의 뿔

23.여래의 심부름꾼

24.무분별지는 얻을 수 없다

25.견성이란?

26.한 생각 일지 않으면 곧 보리

27.둘 아닌 법문[不二法門]

28.한 마음의 법 가운데서 방편으로 장엄하다

29.인욕선인

30.한 법도 얻을 수 없음이 곧 수기

31.법신은 얻을 수 없다

32.물을 마셔보아야 물맛을 안다

33.참된 사리(舍利)는 볼 수 없다

34.일체처에 마음이 나지 않음

35.조계문하생(曹溪門下生)

36.계급에 떨어지지 않으려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