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1편 전심법요(傳心法要) 8. 도(道)를 닦는 다는 것
8. 도(道)를 닦는 다는 것
배휴가 물었다.
"도란 무엇이며 어떻게 수행해야 합니까?"
대사께서 말씀하셨다.
"도가 무슨 물건이길래 수행하려 하느냐?"
"그렇다면 제방의 종사가 서로 이어받아 참선하여 도를 배우는 것은 무엇 때문입니까?"
"둔근기(鈍根機)를 이끌어 주는 말이니 의지할 것이 못되느니라."
"그것이 둔근기를 위한 말이라고 하신다면, 상근기(上根機)를 위해서는 무슨 법을 설하시는지요?"
"상근기라면 어디 남에게서 찾으려 하겠느냐? 저 자신마저도 얻지 못하거늘, 더구나 따로 뜻에 합당한 법이 어디 있겠느냐? '법이란 법이 모슨 모양이더냐?'고 한 경(經)의 말씀을 보지 못했느냐?"
"그렇다면 도무지 구하여 찾을 필요가 없다는 말씀입니까?"
"그렇게만 된다면 마음의 힘이 덜리는 것이니라."
"그렇다면 온통 끊어져 버려서 '없다는 것'도 가당치 않겠읍니다."
"누가 그것을 없다 하였으며, 또 그것이 대관절 무엇이길래 너는 찾으려 하느냐?"
"스님께서는 이미 찾는 것을 허락하지 않으시고서는, 어찌하여 그것을 끊지도 말라 하십니까?"
"찾지 않으면 그 자리는 바로 '쉼'인데, 누가 너더러 끊으라 하였느냐? 눈앞의 허공을보아라. 어떻게 저것을 끊겠느냐?"
"이 법은 곧 허공과 같이 될 수 있읍니까?"
"허공이 언제 너더러 같다거나 다르다고 말하더냐? 내 잠시 이렇게 말하니 너는 당장 여기에 알음알이를 내는구나."
"사람들로 더불어 알음알이를 내지 않음이 마땅한 것입니까?"
"내 너를 방해한 적은 한번도 없거니와, 요컨대 알음알이란 뜻[情]에 속한 것으로서 뜻이 생기면 지혜가 막히게 되느니라."
"여기에 있어서 뜻을 내지 않는 것이 옳은 것입니까?"
"뜻을 내지 않는다면 누가 옳다고 말하겠느냐?"
問 如何是道며 如何修行이닛고
師云 道是何物이관대 汝欲修行고
問 諸方宗師相承하야 參禪學道는 如何닛고
師云 引接鈍根人語니 未可依憑이니라
云 此皆是引接鈍根人語인댄 未審커라 接上根人인댄 復說何法이닛고
師云 若是上根人인댄 何處에 更就人覓이리오 他自己도 尙不可得이온 何况更別有法當情이리오 不見가 敎中에 云하되 <法法何狀고>하니라
云 若如此則 都不要求覓也닛가
師云 若與麼則省心力이니라
云 如是則 渾成斷絶하야 不可是無也니다
師云 阿誰敎他無며 他是阿誰관대 你擬覓也오
云 旣不許覓인댄 何故로 又言莫斷他닛고
師云 若不覓이면 便休어늘 卽誰敎你斷이리오 你見目前虛空하라 作麼生斷他오
云 此法은 可得便同虛空否닛가
師云 虛空이 早晩에 向你道有同有異아 我暫如此說하니 你便向者裡生解로다
云 應是不與人生解耶닛가
師云 我不曾障你어니와 要且解屬於情이니 情生則智隔이니라
云 向者裡하야 莫生情이 是否닛가
師云 若不生情이면 阿誰道是리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