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림고경총서/설봉록雪峰錄

설봉진각대사 연보(舌鋒眞覺大師年譜)<終>

쪽빛마루 2016. 8. 13. 12:02

설봉진각대사 연보

(舌鋒眞覺大師年譜)

 

 

연호

간지

서기

내 용

나이

당(唐)목종(穆宗)황제

장 경(長 慶) 2

 

  

 

 

 

 

 

 

 

 

 

 

 

임인

 

 

 

 

 

 

 

 

 

 

 

 

 

 

822

 

 

 

 

 

 

 

 

 

 

 

 

 

 

스님은 천주(泉州) 남안현(南安縣) 사람으로 속성은 증씨(曾氏)며, 아버지의 이름은 면(勉)이다. 이 해에 스님께서 태어나셨는데 스님의 집안은 대대로 부처님을 받드는 집안이었으며, 그 선영은 양매산(楊梅山) 서쪽, 남안성(南安城)에서 45리의 거리에 있다. 이곳은 한 봉우리가 날아갈 듯 앞에 와서 절을 하는 형국이어서 세속에서는 ‘인도스님이 몸을 던져 절하는 모습’이라고들 한다.

 

1

 

 

 

 

 

 

 

 

 

 

 

 

 

3

계묘

823

 

2

4

갑진

824

 

3

경종(敬宗)황제

보 력 (寶 曆) 원 년

 

을사

 

825

 

 

4

2

  

 

 

 

 

 

병오

 

 

 

 

 

 

 

826

 

 

 

 

 

 

 

스님의 나이 다섯 살이었는데, 마늘냄새를 몹시 싫어하였고 포대기 안에서 혹 절의 종소리를 듣거나 깃발과 꽃과 불상이 마련된 곳에서 절하는 것을 보면 반드시 얼굴을 움직이므로 보는 사람들은 모두 신기하게 여겼다.

5

 

 

 

 

 

 

 

문종(文宗)황제

태 화(太 和) 원 년

 

정미

 

827

 

 

6

2

무신

828

 

7

3

기유

829

 

8

4

 

 

 

경술

 

 

 

830

 

 

 

스님은 아홉 살이었는데, 부모에게 출가하겠다고 간청하였으나 부모가 몹시 사랑하여 그 청을 들어주지 않았다.

9

 

 

 

5

신해

831

 

10

6

임자

832

 

11

7

 

 

 

 

 

계축

 

 

 

 

 

833

 

 

 

 

 

 

스님의 나이 열 두 살이었는데, 아버지를 따라 포전(莆田) 옥한사(玉㵎寺)에 갔다가 경현(慶玄)율사를 만나니 갑자기 절을 하며 “나의 스승님이십니다” 하고 마침내 그곳에 머물며 그를 모시게 되었다.

12

 

 

 

 

 

8

갑인

834

 

13

9

을묘

835

 

14

개 성 (開 成) 원 년

병진

836

 

15

2

정사

837

 

16

3

 

  

무오

 

 

838

 

 

스님의 나이 열 일곱 살이었는데, 마침내 머리를 깎고 법명을 ‘의존(義存)’으로 바꾸었다.

17

 

 

4

기미

839

 

18

5

경신

840

 

19

무종(武宗)황제

회 창 (會 昌) 원 년

 

신유

 

841

 

 

20

2

임술

842

 

21

3

계해

843

 

22

4

갑자

844

 

23

5

 

 

 

 

 

 

 

 

을축

 

 

 

 

 

 

 

 

 

845

 

 

 

 

 

 

 

 

 

스님의 나이 스물 넷이었는데, 나라에서는 명으로 불법을 탄압하게 [沙汰] 되었다. 스님은 선비차림을 하고 복주(福州) 부용산(芙蓉山)의 홍조 영훈(弘照靈訓)스님을 찾아갔다. 홍조스님은 스님을 어루만지며 법기라고 여겨 곁에 머물게 하였다.

24

 

 

  

 

 

 

 

 

6

 

 

병인

 

 

846

 

 

스님의 나이 스물 다섯이었는데, 이 해에 무종이 죽자 불교탄압의 명령도 느슨해졌다.

25

 

 

선종(宣宗)황제

대 중 (大 中) 원 년

 

 

 

 

 

정묘

 

 

 

 

 

847

 

 

 

 

 

스님의 나이 스물 여섯이었는데, 나라의 명을 받들고 다시 불가로 되돌아가에 되었다. 스님은 홍조스님께 두 번 절하고 스스으로 모셨다.

 

26

 

 

 

 

2

무진

848

 

27

3

  

기사

 

 

849

 

 

스님의 나이 스물 여덟이었는데, 유주(幽州) 보찰사(寶刹寺)에 가서 계를 받았다.

28

 

 

4

경오

850

 

29

5

    

 

신미

      

 

851

      

 

스님의 나이 서른이었는데, 이해 5월 9일에 홍조스님이 입적하였다.

30

 

 

6

임신

852

 

31

7

 

 

 

 

 

 

 

 

 

 

 

 

 

 

 

 

 

 

 

 

 

 

 

 

 

 

 

 

 

 

 

 

 

 

 

 

계유

 

 

 

 

 

 

 

 

 

 

 

 

 

 

 

 

 

 

 

 

 

 

 

 

 

 

 

 

 

 

 

 

 

 

 

 

853

 

 

 

 

 

 

 

 

 

 

 

 

 

 

 

 

 

 

 

 

 

 

 

 

 

 

 

 

 

 

 

 

 

 

 

 

스님의 나이 설흔 둘이었는데, 증씨 집안을 하직하고 행각을 하였다. 이때 게송을 지었다.

 

예전에 울다라 입기를 허락받고서

지금까지 베틀의 북 움직이지 않았네

오늘 다시 구름따라 물따라 떠나가노니

오리가 거위될 날을 뉘라서 기다릴 수 있겠나.

 

마침내 암두(巖頭)스님과 함께 대자사(大慈寺)의 환중(寰中)스님 회하에 있으면서 환중스님의 상수제자인 흠산 문수(欽山文邃)스님과 도반이 되었다. 세 분은 강남 땅에 이르러 세 번 투자산(投子山)에 오르고 아홉 번 동산(洞山)에 올랐다.

스님이 동산스님 회하에 공양주로 있을 때, 하루는 쌀을 이는데 동산스님께서 물으셨다.

“모래를 먼저 걸러내느냐, 쌀을 먼저 걸러내느냐?”

“모래와 쌀을 한꺼번에 걸러냅니다.”

“그러면 대중은 무엇을 먹느냐?”

스님께서 쌀 쟁반을 뒤엎어버리자 이에 동산스님께서 말씀하셨다.

“그대의 인연은 이곳에 있지 않다.”

그리하여 스님은 마침내 덕산 선감(德山宣鑑)스님을 찾아뵈었다.

32

 

 

 

 

 

 

 

  

 

 

 

 

 

 

 

 

 

 

 

 

 

 

 

 

 

 

 

 

 

 

 

 

 

 

 

8

갑술

854

 

33

9

 

  

 

 

 

 

 

 

 

 

 

 

 

 

 

을해

 

 

 

 

 

 

 

 

 

 

 

 

 

 

 

 

855

 

 

 

 

 

 

 

 

 

 

 

 

 

 

 

 

스님의 나이 설흔 넷이었다.

하루는 동산스님이 스님에게 물으셨다.

“무엇을 하고 왔느냐?”

“물통감을 자르고 왔습니다.”

“도끼질을 몇 번 하여 잘랐느냐?”

“단번에 잘랐습니다.”

“그래도 그것은 아직 이쪽편에 있는 일이다. 저쪽편 일은 어떻게 되었는가?”

“당장에 손댈 곳이 없습니다.”

“그래도 그것은 아직 이쪽편 일이다. 저쪽편 일은 어떻게 하겠나?”

스님은 그만두었다.

34

 

 

 

 

 

 

 

 

 

 

 

 

 

 

 

 

10

병자

856

 

35

11

정축

857

 

36

12

무인

858

 

37

13

기묘

859

 

38

의종(懿宗)황제

함 통 (咸 通) 원 년

 

경진

 

860

 

 

39

2

 

  

 

 

 

 

 

 

신사

 

 

 

 

 

 

 

 

 

 

861

 

 

 

 

 

 

 

 

 

 

스님의 나이 마흔이었는데, 덕산스님을 찾아 뵙고 여쭈었다.

“예로부터 내려오는 종승(宗乘) 안의 일에 저도 한 몫이 있습니까?”

덕산스님이 몽둥이로 한 차례 때려주며 “뭐라고!” 하시자 스님은 속이 탁 트이면서 마치 물통바닥이 쑥 빠져나간 듯하였다.

40

 

 

  

 

 

 

 

 

 

3

임오

862

 

41

4

 

 

 

 

 

 

 

 

 

 

 

 

 

 

 

 

 

 

 

 

 

 

 

 

 

 

 

 

 

계미

 

 

 

 

 

 

 

 

 

 

 

 

 

 

 

 

 

 

 

 

 

 

 

 

 

 

 

 

 

 

 

 

 

 

 

863

 

 

 

 

 

 

 

 

 

 

 

 

 

 

 

 

 

 

 

 

 

 

 

 

 

 

 

 

 

 

 

 

 

 

 

스님의 나이 마흔 둘이었는데, 덕산스님의 회하에서 공양주를 맡아보고 있었다. 어느 날 밥이 늦어지자 덕산스님이 손수 발우를 들고 법당으로 내려오셨다. 스님은 밥수건을 햇볕에 말리고 있다가 보고는 “이 늙은이가 종도 아직 치지 않았는데 발우를 들고 어디로 가는가?”라고 하자 덕산스님은 방장으로 돌아가셨다.

스님이 암두스님에게 이야기하였더니 암두스님이 말하기를 “가엾은 덕산스님이 말후구(末後句)가 있는 줄을 몰랐구나!”라고 하였다. 덕산스님이 이 말을 전해 듣고 시자를 시켜 암두스님을 불렀다. 암두스님이 오자 덕산스님이 “그대는 나를 인정하지 않느냐?”라고 하니 암두스님이 가만히 자기 생각을 사뢰자 덕산스님은 그만 두었다.

그 이튿날 덕산스님이 승당에 올랐는데 과연 평소와 다르니 암두스님이 승당 앞에 와서 손뼉을 치고 크게 웃으며 말하였다.

“기쁘다! 당두(堂頭 : 주지) 늙은이가 말후구를 알았구나! 앞으로는 세상에 그 누구도 그를 어찌할 수 없을 것이다. 그렇긴 하나 그는 겨우 3년밖에 더 못 살 것이다.”

42

 

 

 

 

 

 

 

 

 

 

 

 

 

 

 

 

 

 

 

 

 

 

 

 

 

 

 

 

 

 

  

 

 

 

5

갑신

864

 

43

6

 

 

 

 

 

 

 

 

 

 

 

 

 

 

 

 

 

 

 

  

 

 

 

 

 

 

 

 

을유

 

 

 

 

 

 

 

 

 

 

 

 

 

 

 

 

 

 

 

 

 

 

 

 

 

 

 

 

 

865

 

 

 

 

 

 

 

 

 

 

 

 

 

 

 

 

 

 

 

 

 

 

 

 

 

 

 

 

 

스님의 나이 마흔 넷이었는데, 암두스님과 함께 덕산스님의 회하를 떠났다. 어느 날 스님은 암두스님과 동행하여 예주(澧州)의 오산진(鼇山鎭)에 이르렀는데 눈으로 길이 막혔다. 이때 암두스님은 자다 깨서 우뚝이 앉아 있는 스님을 보고 꾸짖었다.

“의존형! 의존형! 왜 잠을 자지 않소? 마치 세 집 사는 마을의 토지신 같은 꼴이구려!”

스님이 가슴을 가리키며 말하기를 “나는 이 안에 풀리지 않은 것이 남아 있습니다”라고 하였다.

암두스님이 “그대의 견처(見處)를 하나하나 말해 보시오”라고 하자 스님은 염관 제안(塩官齊安), 동산 양개(洞山良价), 덕산 선감(德山宣鑑)스님을 뵙고 문답했던 기연을 들려 주니 암두스님은 모두 부정하였다. 스님은 이 말 끝에 크게 깨닫고는 벌떡 일어서 오면서 “사형! 사형! 오늘에야 비로소 이 오산진에서 도를 이루었습니다!”라고 하였다.

44

 

 

 

 

 

 

 

 

 

 

 

 

 

 

 

 

 

 

 

  

 

 

 

 

 

 

 

 

7

 

 

 

 

 

 

 

 

 

 

 

 

 

 

 

 

 

 

 

 

 

 

 

병술

 

 

 

 

 

 

 

 

 

 

 

 

 

 

 

 

 

 

 

 

 

 

 

866

 

 

 

 

 

 

 

 

 

 

 

 

 

 

 

 

 

 

 

 

 

 

 

스님의 나이 마흔 다섯이었다. 암두, 흠산스님과 함께 임제 의현(臨濟義玄)스님을 뵈러 길을 떠났다가 도중에서 정상좌(定上座 : 임제스님의 法嗣)를 만났는데, 임제스님은 이미 4월 10일에 입적하셨다고 말하였다. 스님이 말하기를 “내가 복이 없어 스님을 만나지 못했구나. 스님께서 무슨 법문을 남기셨는가?”라고 하자 그는 ‘무위진인(無位眞人)’의 말씀을 들려 주었다. 이때부터 세 사람은 서로 헤어져 암두스님은 용산(龍山 )으로 가고, 흠산스님은 예양(澧陽)에서 머물렀으며, 스님은 민(閩) 땅으로 돌아가게 되었다. 이윽고 가는 길에 건안(建安)을 지나다가 이곳에 암자를 짓고 살게 되니 지금의 황룡사(黃龍寺)와 쌍석사(雙石寺)가 바로 그곳이다.

45

 

 

 

 

  

 

 

 

 

 

 

 

 

 

 

 

 

 

 

 

 

 

8

정해

867

 

46

9

 

 

 

 

 

 

 

 

 

 

 

 

  

무자

 

 

 

 

 

 

 

 

 

 

 

 

 

 

868

 

 

 

 

 

 

 

 

 

 

 

 

 

 

스님의 나이 마흔 일곱이었는데, 예전 부용산(芙蓉山)의 영훈(靈訓)스님 회하에서 공부하던 때를 돌이켜 마침내 부용산으로 돌아가 그 석실(石室)에 머무니 곧 지금의 영통암(靈洞巖)이 그곳이다. 이 해에 위산(潙山)의 나안(懶安)스님이 문도를 거느리고 왔다. 대장군 이경(李景)이 편지를 보내 스님을 청하고 성의 서쪽 이산(怡山)에 선원을 열게 하였는데 이곳은 왕진인(王眞人)이 승천한 곳이며 지금의 서선사(西禪寺)이다.

47

 

 

 

 

 

 

 

 

 

 

 

 

  

10

 

 

 

 

 

 

 

 

 

 

 

 

 

기축

 

 

 

 

 

 

 

 

 

 

 

 

 

869

 

 

 

 

 

 

 

 

 

 

 

 

 

스님의 나이 마흔 여덟이었다. 석실에서 좌선을 하고 지내는데 문도들 중에 세상에 나가기를 권하는 사람이 있었으나 스님은 극구 거절하였다. 이때 같이 공부하던 행실(行實) 큰 사형이 말하기를, “스님은 성품과 도풍이 중후하고 취령(鷲嶺)이나 후강(猴江)과 같은 좋은 땅이 아니면 스님을 맞아드릴 곳이 못된다” 하면서 상골봉(象骨峰)이 어떻겠느냐고 묻자 스님은 이를 받아들였다.

48

 

 

  

 

 

 

 

 

 

 

 

 

11

 

 

 

 

 

 

 

 

 

 

 

 

 

 

 

 

 

 

 

 

 

 

 

 

 

 

 

 

 

 

 

 

  

 

 

 

 

 

 

 

 

 

 

 

 

경인

 

 

 

 

 

 

 

 

 

 

 

 

 

 

 

 

 

 

 

 

 

 

 

 

 

 

 

 

 

 

 

 

 

 

 

 

 

 

 

 

870

 

 

 

 

 

 

 

 

 

 

 

 

 

 

 

 

 

 

 

 

 

 

 

 

 

 

 

 

 

 

 

 

 

 

 

 

 

 

 

 

 

 

 

 

 

 

스님의 나이 마흔 아홉이었다. 이해 3월에 큰 사형인 행실스님이 상골봉 기슭에 터를 잡기 위하여 여러 어른들을 찾아가 절터를 잡아 달라고 부탁하였다. 이때 이 산의 동쪽에 사는 신도 방훈(方訓)과 사효(謝效), 진좌(陳佐) 등이 다투어 따르면서 절터를 바치겠다고 발원하였고, 홍원표(洪元表)라는 신도는 진양(陳洋) 땅의 반을 시주하기까지에 이르러 마침내 성양(檉洋)의 양영대(凉映臺) 북쪽에 암자를 짓고 스님을 맞아들여 살게 하였다. 스님이 와서 자리에 앉아 기뻐하면서 행실스님에게 말하기를, “이 자리를 고르느라 수고하였습니다. 나는 이곳에 살겠습니다”라고 하였다.

이 해 겨울에 스님은 행실스님과 함께 상골봉 꼭대기에 올라가 아름다운 산세를 둘러보고 돌아와서 산 이름을 의논하였다. 어떤 사람은 나무꾼이 산마루에서 코끼리뼈를 줍는 형세라 하였고, 또 어떤 사람은 이 산꼭대기에는 사시사철 눈이 쌓여 있다고 하여 상골봉(象骨峰)과 설봉(雪峰)의 두 이름을 같이 쓰자고 하였다. 이에 스님은 웃으면서 “이 위로 3백보를 더 오르면 좋은 터를 만나게 된다”라고 하였다.

이보다 앞서 행실스님은 암자터를 방공(方公)에게서 샀는데, 방공은 그의 산림을 시주하였고 사씨와 진씨 두 사람도 따라서 기꺼이 시주하였다. 이때부터 신도들이 모여들어 어떤 사람은 재물은 시주하고 어떤 사람은 밭을 마련하여 절의 살림을 넓혔다.

49

 

 

 

 

 

 

 

 

 

 

 

 

 

 

 

 

 

 

 

 

 

 

 

 

 

 

 

 

 

 

 

 

 

  

 

 

 

 

 

 

 

 

 

 

 

12

 

 

 

신묘

 

 

 

871

 

 

 

스님의 나이 쉰이었다. 건물짓는 불사를 크게 일으켜 심지어 목수까지도 힘을 다 쏟아 빨리 준공하니 대중들이 기뻐하였다.

50

 

 

 

13

임진

872

 

51

14

 

  

 

 

 

계사

 

 

 

 

 

 

873

 

 

 

 

 

 

스님의 나이 쉰 둘이었다. 남은 토목공사를 하는 틈틈이 기회 닿는대로 법을 연설하면서 조금도 게을리하는 일이 없으니 이에 납자들이 다 수용할 수 없을 정도로 모여들었다.

52

 

 

 

 

 

 

희종(禧宗)황제

건 부 (乾 符) 원 년

 

 

 

 

 

갑오

 

 

 

 

 

874

 

 

 

 

 

스님의 나이 쉰 셋이었다. 이때 황소(黃巢)가 동산(東山)에서 반란을 일으켰는데 스님은 나라의 운수가 어렵게 되고 백성들이 도탄에 빠지는 것을 안타깝게 여겼다.

 

53

 

 

 

 

2

 

  

 

 

 

 

 

 

 

 

 

을미

 

 

 

 

 

 

 

 

 

 

 

 

875

 

 

 

 

 

 

 

 

 

 

 

 

스님의 나이 쉰 넷이었는데, 관찰사 위공(韋公)이 3백 꾸러미의 돈을 희사하여 불사에 쓰게 하였다. 경인년에 이 절에 온 지 6년 동안에 절이 다 되었으므로 지랑(智朗)스님이 장안에 가서 절의 일을 보고하고 절 이름을 현판에 써서 하사해 달라고 부탁하였다. 때마침 응천절(應天節)을 맞아 마침내 ‘응천설봉사(應天雪峰寺)’란 이름이 하사되었다.

54

 

 

 

 

 

 

 

 

 

 

 

 

3

  

 

 

 

 

병신

 

 

 

 

 

 

876

 

 

 

 

 

 

스님의 나이 쉰 다섯이었다. 암두스님에게 편지를 보내서 말하기를, “사형께 글을 올립니다. 저는 오산진에서 도를 이루고 나서부터는 지금까지 배가 불러 주린 적이 없습니다”라고 하였다.

55

  

 

 

 

 

4

 

 

  

 

 

 

 

 

정유

 

   

 

 

 

 

 

 

877

 

     

 

 

 

 

 

 

스님의 나이 쉰 여섯이었다. 하루는 절 밖에 나갔다가 이어 진양(陳洋)에 이르러 말하였다.

“내가 처음 이 산에 왔을 때 세 가지 경계를 얻었는데 이곳이 그 세 번째이다. 여기에는 탑을 세울 만한 곳이다.”

지금의 탑자리가 바로 이곳이다.

56

 

  

 

  

 

 

 

 

5

 

 

  

 

 

무술

 

 

 

 

 

 

878

 

 

 

 

 

 

스님의 나이 쉰 일곱이었는데, 도적 황소의 무리가 절강(浙江)에서 민(閩)으로 들어왔다. 또 이 해에 능도자(稜道者 : 長慶慧稜스님)가 와서 법을 물었는데 그는 염관(塩官)사람이다.

57

 

  

 

 

 

6

기해

879

 

58

광 명 (廣 明) 원 년

  

경자

 

 

880

 

 

스님의 나이 쉰 아홉이었다. 도적 황소의 무리가 광주(廣州)에서 상주(湘州)로 들어왔다.

59

  

중 화 (中 和) 원 년

 

 

 

  

 

 

 

 

 

 

 

신축

 

 

 

 

 

 

 

 

 

 

 

 

881

 

 

 

 

 

 

 

 

 

 

 

 

스님의 나이 예순이었는데, 이제 대중이 1천 5백명에 달했다. 스님은 학인이 찾아와 법을 물으면 언제나 나무공 세 개를 굴려 보였다. 그때의 나무공은, 한 개는 침실에 남겨두었고, 두 개는 탑 안에 갈무리하고 있었다. 또 이 해에 사비두타(師備頭陀)가 세상에 나와 매계장(梅溪場)의 보응사(普應寺)를 주지하게 되었는데 그 후 현사(玄沙) 땅으로 옮겨갔다.

60

 

 

 

 

 

 

 

 

 

 

 

 

2

 

 

  

 

 

 

  

 

 

 

 

 

 

 

 

 

 

 

 

 

 

 

 

 

 

 

임인

 

 

 

 

 

 

 

 

 

 

 

 

 

 

 

 

 

 

 

 

 

 

 

 

 

 

 

 

882

 

 

 

 

 

 

 

 

 

 

 

 

 

 

 

 

 

 

 

 

 

 

 

 

 

 

 

 

스님의 나이 예순 하나였다. 염주(廉州) 대장군인 이경(李景)이 10만 꾸러미의 돈을 희사하였고, 사공(司空) 벼슬을 한 영천(穎川)의 진공(陳公)이 3백 꾸러미의 돈을 희사하였고, 관찰사 위처빈(韋處濱)이 20만 꾸러미의 돈을 희사하여 태평왕반장(太平王坂庄)에 갔다 두었다. 벼슬에서 퇴직한 농서(隴西)의 이공(李公)이 138관의 돈을 희사하여 이어 성서(城西)의 대목해사(大睦廨寺)를 창건하였다.

이 해에 한 내관(內官)이 민 땅에서 서울로 돌아가 스님의 성품과 도를 말씀드렸다. 희종황제의 명을 받들어 마침내 복주(福州)의 담당관에게 조서를 내려 스님의 도행을 자세하게 보고하라고 하였다. 이때 민 땅 사람 진연교(陳延郊)가 그 사실을 써서 상소를 올리니 이에 나라에서 ‘진각대사(眞覺大師 )’란 법명과 자색가사를 내렸다.

61

 

 

 

 

 

 

 

 

 

 

 

 

 

 

 

 

 

 

 

 

 

 

 

 

 

 

 

 

3

계묘

883

 

62

4

 

 

 

 

 

갑진

 

 

 

 

 

884

 

 

 

 

 

스님의 나이 예순 셋이었는데, 이극용(李克用)이 태산(太山)의 호구(虎口)에서 황소의 무리를 물리치니 스님은 이 소식을 듣고 기뻐하였다.

63

 

 

  

 

광 계 (光 啓) 원 년

을사

885

 

64

2

병오

886

 

65

3

  

 

 

 

 

 

정미

 

 

 

  

 

 

 

 

887

 

 

 

 

 

 

 

 

스님의 나이 예순 여섯이었다. 이해 4월 8일에 암두스님이 도적들의 습격을 받아 외마디소리를 질렀는데, 그 소리가 수십리 밖에까지 들렸다고 하며 목숨이 끊어져 다비를 하자 무수한 사리가 나왔다고 한다. 스님은 이 소식을 듣고 슬퍼하며 참담해 하셨다.

66

 

 

  

 

 

 

 

문 덕 (文 德) 원 년

무신

888

 

67

소종(昭宗)황제

용 기 (龍 紀) 원 년

 

 

 

  

 

 

 

 

 

 

 

 

 

 

 

 

 

 

 

 

 

 

 

 

 

 

 

 

기유

 

 

 

 

 

 

 

 

 

 

 

 

 

 

 

 

 

 

 

 

 

 

 

 

 

 

 

 

 

889

 

 

 

 

 

 

 

 

 

 

 

 

 

 

 

 

 

 

 

 

 

 

 

 

 

 

 

 

 

스님의 나이 예순 여덟이었는데, 진양에 터를 닦아 탑을 세우니 전에 ‘세번째 경계’라고 하던 곳이다. 이해 7월 7일에 탑에 준공되자 스님은 스스로 탑명(塔銘)을 지었다. 또 이때에 큰 사형 행실스님이 입적하였다. 스님은 통곡으로 애도하며 동산(東山)의 서쪽 언덕에 묻고 탑기를 지었다.

 

몸은 유위(有爲)를 떠났고

탑은 무봉(無縫)으로 돌아갔다

송산(松山)은 한결같은 참모습이요

학령(鶴嶺)은 천추에 영원하도다.

 

스님의 법명은 행실(行實)이며 속성은 고씨(高氏)로 영가(永嘉)사람이다. 부용산에서 공부하였고 기축년부터 이 산에 절터를 닦기 시작하였다. 이때 행실스님은 지리(地理)에 밝았으므로 지맥의 천황(天荒 : 풍수지리설에서 집터의 富脈에 장애가 되는 바위나 돌출물 등)을 깨뜨려 산문을 세우고 물길을 틔워 처음에서 끝까지 절을 창건함에 그 공로가 적지 않았다. 이 해 8월 14일에 옛 절에서 입적하니 세수는 67세, 법랍은26세였다.

 

68

 

 

 

 

 

 

 

 

 

 

 

 

 

 

 

 

 

 

 

 

 

 

 

 

 

 

 

대 순 (大 順) 원 년

경술

890

 

69

2

  

 

 

신해

 

 

 

 

891

 

 

 

 

이 해에 스님의 나이 일흔이었는데, 두 번째오 오월(吳越)지방을 둘러보고 처음으로 천우산(天右山) 용천사(湧泉寺)를 찾았다.

70

 

  

 

경 복 (景 福) 원 년

 

  

 

 

 

임자

 

 

 

 

 

 

892

 

 

 

 

 

 

스님의 나이 일흔 하나였는데, 이 해 여름 스님은 영은사(靈隱寺)에 머무셨다. 그 후 국청사(國淸寺)로 갔다가 다시 부강(浮江)에 이르고 다음에 육왕사(育王寺)에 계셨는데 곳곳마다 문답한 기연이 있다.

71

 

 

 

 

 

 

2

계축

893

 

72

건 녕 (건 寧) 원 년

 

 

 

  

 

 

 

 

 

 

 

 

 

 

 

 

 

 

갑인

 

 

 

 

 

 

 

 

 

 

 

 

 

 

 

 

 

 

 

894

 

 

 

 

 

 

 

 

 

 

 

 

 

 

 

 

 

 

 

스님의 나이 일흔 셋이었는데, 다시 민 땅으로 돌아와 진양의 탑 있는 곳에 머무셨다. 이때 진양부의 사도(司徒) 낭공(郎公)이 스님을 부중(府中)으로 모셔 깊은 법요(法要을)를 청하고는 곧 재물을 보시하여 탑정(塔亭)에 법당을 세웠다. 이 해에 스님은 선원을 진양으로 옮겼는데 지금의 선원이 바로 이곳이다. 스님에게 귀의하여 기연이 맞아 법을 잇고 큰 법을 널리 편 문인들도 종종 있어 56명이나 되었다. 그 중에 현사 사비(玄沙師備), 아호지부(鵝湖智孚), 동암 가휴(洞巖可休), 초경 혜릉(招慶慧稜), 운문 문언(雲門文偃), 고산 신안(鼓山神晏)스님 등이 있다.

73

 

 

 

 

 

 

 

 

 

 

 

 

 

 

 

 

 

 

 

2

 

 

 

 

 

 

 

 

 

 

 

 

 

 

 

 

 

 

 

 

 

 

 

 

 

 

 

 

 

 

 

 

 

 

 

 

 

 

 

 

 

 

 

 

 

 

 

 

 

 

 

 

  

 

 

 

을묘

 

 

 

 

 

 

 

 

 

 

 

 

 

 

 

 

 

 

 

 

 

 

 

 

 

 

 

 

 

 

 

 

 

 

 

 

 

 

 

 

 

 

 

 

 

 

 

 

 

 

 

 

 

 

 

 

 

895

 

 

 

 

 

 

 

 

 

 

 

 

 

 

 

 

 

 

 

 

 

 

 

 

 

 

 

 

 

 

 

 

 

 

 

 

 

 

 

 

 

 

 

 

 

 

 

 

 

 

 

 

 

 

 

 

 

스님의 나이 일흔 넷이었다. 대중을 거느리고 남쪽 지방을 다녔는데, 이때 황열반(黃涅槃)스님이 오실 것을 미리 알고 지팡이에 몸을 기댄 채 앞질러 마중하여 소계(蘇溪)에서 만나게 되었다. 이에 스님이 물었다.

“어디에서 왔습니까?”

“벽지암(辟支巖)에서 왔습니다.”

“벽지암에도 주인이 있습니까?”

그러자 열반스님이 대나무 지팡이로 스님의 가마를 때리니 스님이 마침내 가마 밖으로 나와 서로 만났다. 열반스님이 “증씨 아들은 만복하십니까?”라고 하니 스님이 갑자기 남자 절을 하자 열반스님은 여자 절을 올렸다. 스님이 “여자잖아!” 하자 열반스님은 절 두 번을 더 하고 마침내 지팡이로 땅에 금을 그으며 스님의 가마를 오른편으로 세 바퀴 맴돌았다.

스님이 말하였다.

“나는 3계 안에 사는 사람이고 스님은 3계 밖에 사는 사람이니 스님이 의당 앞서 가야 합니다. 나는 뒤따라가겠습니다.”

이에 열반스님이 먼저 돌아가고 스님도 뒤따라 가서 낭산사(囊山寺)에 머물며 며칠을 쉬었는데, 열반스님은 따라온 문도대중에게까지 하나도 모자람이 없이 공양하고 잘 모셨다. 그런 다음 일행이 와관사(瓦官寺)에 이르렀을 때는 천주(泉州)의 태부(太傅) 왕연빈(王延彬)이 동미륵사(東彌勒寺), 자수선원(資壽禪院) 등을 창건해서 스님을 맞아 머물게 하고 더욱더 공경하고 예의를 다하였다.

이때 민의 왕인 왕심지(王審知)가 임시로 패권을 잡고 있었는데 그는 스님의 도를 우러러보았다. 한번은 스님이 천명의 대중을 거느리고 가서 동서채에서 왕을 위하여 설법하였다. 왕은 처음에는 돈 30만관을 희사하여 20칸 되는 횡실(橫室)을 세웠고, 다음에 또 30만관의 돈을 희사하여 법당 · 회랑 · 방장 등의 집채를 지었다.

74

 

 

 

 

 

 

 

 

 

 

 

 

 

 

 

 

 

 

 

 

 

 

 

 

 

 

 

 

 

 

 

 

 

 

 

 

 

 

 

 

 

 

 

 

  

 

 

 

 

 

 

 

 

  

 

3

병진

896

 

75

4

 

정사

 

897

 

이 해에 조주 종심(趙州從諗)선사가 입적하였다.

76

 

광 화 (光 化) 원 년

 

 

 

 

 

 

 

 

 

 

 

 

 

 

 

 

 

 

 

 

 

 

 

 

 

 

 

 

 

 

 

 

 

 

 

 

 

 

 

  

 

 

 

 

 

 

 

 

 

 

 

 

 

 

 

 

 

 

 

 

 

 

 

 

 

 

무오

 

 

 

 

 

 

 

 

 

 

 

 

 

 

 

 

 

 

 

 

 

 

 

 

 

 

 

 

 

 

 

 

 

 

 

 

 

 

 

 

 

 

 

 

 

 

 

 

 

 

 

 

 

 

 

 

 

 

 

 

 

 

 

 

 

 

 

898

 

 

 

 

 

 

 

 

 

 

 

 

 

 

 

 

 

 

 

 

 

 

 

 

 

 

 

 

 

 

 

 

 

 

 

 

 

 

 

 

 

 

 

 

 

 

 

 

 

 

 

 

 

 

 

 

 

 

 

 

 

 

 

 

 

 

 

스님의 나이 일흔 일곱이었다. 이해에 민왕이 스님과 현사스님을 초청해서 내전에 들어가 부처님의 심인(心印)을 논하게 하였다. 대왕은 두 스님의 설법을 듣고 큰 신심을 일으켜 큰 서원을 세워 지극한 마음으로 불법을 지녀 결코 물러나지 않을 뜻을 세웠다. 대왕은 다시 두 스님을 궁중으로 초청하여 불법을 강론케 하였는데 겹겹으로 향을 피우고 다른 것에 마음을 쏟지 않겠다고 하였다. 그리고는 궁내의 상서(尙書) 세 사람에게 명해서 휘장 밖에서 그 법어를 기록하게 하였다. 이에 스님은 모든 부처님과 용(龍)과 천신(天)을 청하여 왕을 위하여 부처님의 심인을 전수함을 증명하였다. 왕은 다시 40만정(鼎)의 돈을 희사하여 큰 불전과 천백여 칸의 집채를 짓게 하니 어느 것 하나 갖춰지지 않은 것이 없었다.

스님은 연초에 먼저 이 산에 왔는데 그때 산남(山南) 진양(陳洋)의 신도 남문경(藍文卿)이란 사람이 스님의 도를 알았다. 그리하여 자기가 기거하던 집의 동쪽 못 옆의 묵은 수양버들 옆에 암자를 짓고 스님을 맞아들여 그곳에 주석하게 하였는데 지금의 고목암(枯木菴)이 곧 그 자리이다. 이어 남문경이 성양장(檉洋庄)으로 절을 지어 스님을 초청해 그곳에 살게 하였는데 지금의 구원(舊院)이 그것이다.

그 후 남공은 대중이 많아지는 것을 보고 자기가 살던 집을 큰 사찰로 충당하고 스님을 그곳으로 옮겨 주지하게 하였다. 이에 다시 민왕인 충의왕(忠懿王)이 이 사실을 상세히 희종황제에게 아뢰니 시주 남문경을 위무절도사 명호후왕(威武節度使明護侯王)에 임명하되 장남 응조(應潮)는 통우신군(通祐神君)에 임명되고 아우인 승려 수원(守遠)은 자비존자(慈悲尊者)에 임명되는 은전(恩典)을 하사받게 되었는데 지금은 본산(本山)의 토지신(土地神)이 되었다.

그 후 남문경은 양대랑(楊大娘)과 차남인 응진(應辰) 등과 함께 묘양장(茆洋庄)에 옮겨 살면서 자기의 뜻을 성취해 나갔다. 그리하여 농토와 채소밭 20군데를 보시하니 지금의 남전(藍田)과 태평(太平)과 대목(大睦) 등의 장원이 그것이다.

77

 

 

 

 

 

 

 

 

 

 

 

 

 

 

 

 

 

 

 

 

 

 

 

 

 

 

 

 

 

 

 

 

 

 

 

 

 

 

 

  

 

 

 

 

 

 

 

 

 

 

 

 

 

 

 

 

 

 

 

 

 

 

 

 

 

 

2

 

 

기미

 

 

899

 

 

스님의 나이 일흔 여덟이었다. 민왕이 사신을 보내서 은으로 만든 의자를 보내왔다.

78

 

 

3

 

 

경신

 

 

900

 

 

스님의 나이 일흔 아홉이었다. 황제의 분부로 절의 이름을 ‘응천광복사(應天廣福寺)’로 바꾸었다.

79

 

 

천 복 (天 復) 원 년

 

 

 

 

 

 

 

 

 

 

 

 

 

 

 

 

 

 

 

 

 

 

 

 

 

 

 

 

 

 

 

  

 

신유

 

 

 

 

 

 

 

 

 

 

 

 

 

 

 

 

 

 

 

 

 

 

 

 

 

 

 

 

 

 

 

 

 

 

901

 

 

 

 

 

 

 

 

 

 

 

 

 

 

 

 

 

 

 

 

 

 

 

 

 

 

 

 

 

 

 

 

 

 

스님의 나이 팔십이었다. 이 해 윤 6월 10일에 스님은 주지가 해야 할 사항과 스님들의 행동규칙을 지어 대중들에게 발표하였는데, 그 내용은 대략 다음과 같다.

“일은 크고 작고를 가릴 것 없이 모두 주지를 따라야하니 마치 모든 시냇물이 바다로 들어가고 수많은 강물이 같은 근원에서 흘러나오듯 해야 한다. 나라에는 두 사람의 왕이 없고 집안에는 두 사람의 주인이 없는 법이다. 더구나 스님의 생활은 말다툼이 없는 법이니 말다툼이 있으면 스님이 아니다. 마음이 편안하면 인화가 되어 생활의 계통을 잃지 않는다. 또 장원(庄院), 탑원(塔院)에 이르기까지 모두 규정을 짓고, 늙고 병든 사람은 도리를 다해 간호하고 시중들게 하라. 불사를 제창할 수 있는 사람은 외부의 인연에 응하게 하고 또 스님들의 행동에 과실이 있을 때는 경중을 따라서 벌하도록 하라. 소임자가 아니면 지팡이나 몽둥이를 휘둘러 학인들을 불안하게 하는 것을 허락하지 않는다. 모든 일을 부용(芙蓉)옛 스승님의 법규에 의거하면 참 뜻을 알수 있다.”

80

 

 

 

 

 

 

 

 

 

 

 

 

 

 

 

 

 

 

 

 

 

 

 

 

 

 

 

 

 

 

 

 

 

2

임술

902

 

81

3

 

 

  

 

 

 

 

 

 

 

계해

 

 

 

 

 

 

 

 

 

 

 

903

 

 

 

 

  

 

 

 

 

 

 

스님의 나이 여든 둘이었다. 대중이 날로 많아져서 일년에 들어오는 수입으로 쓰기에 모자랐다. 집채들은 차차 비가 새어들었으나 수리하자니 공사가 너무 커서 엄두를 못냈다. 무량(無量), 무열(無悅)이라는 두 스님이 발심해서 모연(募緣)을 권고하여 집들이 예전대로 복구되고 스님의 행을 따르게 되었다.

82

 

 

  

 

 

 

 

 

 

 

애제(哀帝)

천 우 (천 祐) 원 년

 

갑자

 

904

 

 

83

2

 

 

 

 

 

 

 

 

 

 

 

 

 

 

 

 

 

 

 

 

을축

 

 

 

 

 

 

 

 

 

 

 

 

 

 

 

 

 

 

 

 

905

 

 

 

 

 

 

 

 

 

 

 

 

 

 

 

 

 

 

 

 

스님의 나이 여든 넷이었다. 민왕은 다시 돈을 보시해서 고목암을 중건하고 또 큰 못을 만들었는데 공사에 참여한 사람들이 대략 만여명이나 되었다. 스님이 하루는 고목암에서 좌선하다가 그 옆에 물방앗간이 있어 햇볕에 보리 말리는 것을 보고 손수 여기에 글을 지었다.

 

암자 앞에는 영영 이리, 호랑이 없어지고

방앗간 밑에는 이 해가 다가도록 참새 사라져라.

이러한 스님의 타이름으로 해서 지금까지 그곳에는 호랑이와 참새가 없다.

84

 

 

 

 

 

 

 

 

 

 

 

 

 

 

 

 

 

 

 

 

3

  

 

 

 

 

 

 

 

 

병인

 

 

 

 

 

 

 

 

 

 

906

 

 

 

 

 

 

 

 

 

 

스님의 나이 여든 다섯이었다. 천주의 왕태부가 사신을 보내서 능도자를 초경사(招慶寺)의 주지로 보내 달라고 청하였다. 이에 스님이 현사스님에게 편지를 보내니 현사스님이 설봉산에 올라가 혜릉스님을 초경사 주지로 보냈다.

 

당나라의 국운은 이때에 와서 양(梁 : 後梁)에게 찬탈되었다.

85

 

  

 

 

 

 

 

 

 

양(梁) 태조(太祖)황제

개 평 (開 平) 원 년

 

 

 

 

 

 

 

 

  

 

 

 

 

정묘

 

 

 

 

 

 

 

 

 

 

 

 

 

 

907

 

 

 

 

 

 

 

 

 

 

 

 

 

 

스님의 나이 여든 여섯이었다. 스님은 몸소 자신의 탑모양을 그려서 사람을 시켜 민왕에게 바쳤다. 왕이 사신을 시켜 강서의 서적산(瑞迹山)에 가서 탑재(塔材)를 골라와 스님을 위해 탑과 세 칸짜리 진당(眞堂 : 영정을 모시는 집)을 지어 드렸다. 그리고 감함(龕函 : 사리 · 유골을 담는 그릇)을 만들었는데, 다 만들어졌다고 알려오자 스님이 말하였다.

“법당 앞에 메고 와 보라. 너를 보니 어찌할 수 없구나!”

 

86

 

 

 

 

 

 

 

 

  

 

 

 

 

2

 

 

 

 

 

 

 

 

 

 

 

 

 

 

 

 

 

 

 

 

 

 

 

 

 

 

 

 

 

 

 

 

 

 

 

 

 

 

 

 

 

 

 

 

 

 

 

 

 

 

 

 

 

  

 

 

 

 

 

 

 

 

 

 

 

 

 

 

 

 

 

 

 

 

 

 

 

 

 

 

 

 

 

무진

 

 

 

 

 

 

 

 

 

 

 

 

 

 

 

 

 

 

 

 

 

 

 

 

 

 

 

 

 

 

 

 

 

 

 

 

 

 

 

 

 

 

 

 

 

 

 

 

 

 

 

 

 

 

 

 

 

 

 

 

 

 

 

 

 

 

 

 

 

 

 

 

 

 

 

 

 

 

 

 

 

 

 

 

908

 

 

 

 

 

 

 

 

 

 

 

 

 

 

 

 

 

 

 

 

 

 

 

 

 

 

 

 

 

 

 

 

 

 

 

 

 

 

 

 

 

 

 

 

 

 

 

 

 

 

 

 

 

 

 

 

 

 

 

 

 

 

 

 

 

 

 

 

 

 

 

 

 

 

 

 

 

 

 

 

 

 

 

 

이 해 3월에 스님은 미약한 병 증세를 보였다. 이에 민왕이 의원에게 진찰하라고 명하자 스님은 “나는 병든 것이 아니다”라고 하면서 끝내 약을 들지 않았다.

4월 15일에 스님은 법당에 앉아서 유계(遺誡) 등의 일을 지시하고 말씀하셨다. “이 절은 나이가 많고 지혜있는 사람이 지켜나가야 할 것이며, 이치에 어긋나게 함부로 떠벌려서는 안된다.”

4월 28일이 되자 대중에게 말씀하셨다.

“거품 같고 허깨비 같은 인연으로 생긴 것은 가고 옴이 정해져 있지 않다. 나는 거의 40년 동안 한번도 입이 아프게 여러분에게 권하지 않은 적이 없는데 요즘 불법이 흐려져서 신심있는 신도들까지도 오직 세속 일에만 은근히 마음이 쏠려 세상의 상식에만 은근한 기대를 갖게 되며, 심지어는 신도 · 시주 · 스님에 이르기까지 나에게 말하기를 ‘스님이 100년의 일생을 마치시고 끝내 돌아가셔도 거룩한 보은이 없다면 세상 이치와는 이미 서로 상응되지 아니하는 일이니 역시 조금은 성찰하시는 바가 있어야 합당할 것입니다’라고 하고 있다.

만약에 나의 4대가 흩어지거든 먼저 이미 마련한 나무 관과 석감이 있으니 모든 것을 예전 나의 뜻에 의거하여 진행하라! 만약에 마하(麻下 : 스님의 喪服)을 입고 눈물을 흘리는 사람이 있다면 우리 집안 사람이 아니다.“

대중들은 명을 받들고 함께 힘써서 탑제를 잘 정돈하여 급한대로 일은 마쳤으나 서쪽 덮개돌이 제대로 되지 않았다. 이날 밤에 몹시 사나운 바람이 불고 우레가 진동하여 숲과 골짜기를 뒤흔들더니 동산 위의 땅에 갑자기 지진이 일어나 땅이 갈라지고 거기서 10자 남짓 되는 숫돌같이 편편한 반석이 나왔다. 그것을 들어올려 함의 덮개에 맞추어 보았더니 치수가 딱 맞았다. 이에 보는 사람들이 모두 신기하다고 하였다.

5월 2일에 스님은 손수 백여자의 편지를 써서 민왕을 이별하였다. 아침에는 남전장을 돌아보시고 저녁에 돌아와서 목욕을 하고 이날 밤 18각(十八刻 : 오후 6시) 오른쪽으로 누워서 입적하였다. 세수는 87세, 법랍은 59년이였다.

초열흘에 이르러 본원의 방장에 부도를 세웠다. 민왕은 형부상서(刑部尙書)로 있는 아들 왕연품(王延稟)을 보내서 절에 들어와 통곡하고 제사 의례를 특별히 지시하였다.

5월 15일에 이르러 전신을 탑 안에 모셨다.

스님은 당나라 함통 경인년에 산문을 열고 절을 창건하여 후량(後梁) 개평(開平) 무진년에 입적하였으나 39년 동안 불법을 천양하였다.

87

 

 

 

 

 

 

 

 

 

 

 

 

 

 

 

 

 

 

 

 

 

 

 

 

 

 

 

 

 

 

 

 

 

 

 

 

 

 

 

 

 

 

 

 

 

 

 

 

 

 

 

 

 

 

 

 

 

 

 

 

 

 

 

 

 

 

 

 

 

 

 

 

 

 

 

 

 

 

 

 

 

 

 

 

끝.

설봉진각대사 연보.hwp

설봉진각대사 연보.hwp
0.1MB