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원한 자유

60. 제 5편 영원한 자유인. 10. 승가스님

쪽빛마루 2011. 1. 30. 11:26

10. 승가스님

서기 708년 당나라의 중종황제가 僧伽 대사를 국사(國師)로 모셨읍니다.
대사의 속성은 하 씨인데,
어느 때는 몸을 크게도 나투고 어느 때는 작게도 나투고
또는 십일면관세음보살의 얼굴로도 나투고 하여
그 기이한 행동이 세상 사람들을 놀라게 하였읍니다.

스님께서 710년 3월 2일에 돌아가시자
중종이 장안 근처의 절에다 그 육신을 모셔두라고 하였읍니다.
그러자 갑자기 큰 바람이 일며 시체 썩는 냄새가 온 도성 안을 덮어서
사람들이 코를 들 수가 없었읍니다.

중종이 이상하게 생각하여 신하들에게 그 연유를 물으니,
"대사가 본래 사주 보광왕사에 많이 계섰는데
죽은 육신도 그리로 가고 싶은 모양입니다."
라고 신하들이 황제께 아뢰었읍니다.

그래서 중종은 향을 피우고 마음으로 축원하기를.
"대사의 육신을 보광왈사로 모시겠읍니다." 하자,
잠깐 사이에 온 장안에 향기가 진동하였읍니다.

그해 오월 보광왕사에다 탑을 세우고 대사의 육신을 모시니,
뒤로 탑 위에 자주 나타나서 일반 사람들에게 보였읍니다.
그리하여 사람들이 그 탑에 와서 소원성취를 빌게 되었고
그럴 때마다 가서 탑 위에 모습을 나타내곤 하였는데,
그 얼굴이 웃음을 띠우고 자비로우면 소원성취하고
찡그리면 소원성취하지 못하는 등 신기한 일이 많아서
세상에서 부르기를 사주대성이라 하였읍니다.

또 779년 7월에는 궁중에 나타나서
그 때에 천자로 있던 태종에게 법문을 하였읍니다.

이 일로 태종이 크게 감격하여
그 화상을 그려 궁중에 모셔놓고 항상 예배햐였읍니다.

822년에는 큰 화재가 나서 대사의 탑이 다 타버렸읍니다.
그러나 대사의 육신은 조금도 상함이 없이 그대로 앉아 있었읍니다.

869년 나라 안에 큰 난리가 났을 때에,
도적들이 사주로 쳐들어오다가
대사가 탑 위에 몸을 나타내자 놀라서 다 물러갔읍니다.
당시 의종황제가 그 이야기를 듣고 종성대사라는 호를 올렸읍니다.

1119년 당나라의 서울에 대홍수가 났을 때였읍니다.
대사가 또 궁중에 나타나므로
천자인 휘종황제가 향을 꽂고 예배하였읍니다.
그러자 대사가 육환장을 흔들며 성 위로 올라가니,
성 안의 온 백성들이 다 보고 기꺼워하는 가운데 큰 물이 곧 빠졌읍니다.

이상은 역사적으로 유명한 사실을 몇 가지 보기를 든 것일 뿐으로,
그밖에도 기이한 사적은 수 없이 많습니다.
이렇듯이 승가 대사가 사후에 보광왕사의 탑 위에 그 모습을 자주 나타낸 사실은
그 근방 사람들이 다 보게 됨으로써 천하가 잘 아는 사실이었읍니다.

그리하여 사실이 확실하여 의심할 수 없는 것을 가리켜
'사주 사람들이 대성을 보듯 한다(泗州人見大聖)'는 관용구가 생겨난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