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6. 법구비유경(法句譬喩經) 법구비유경(法句譬喩經) “세상을 아름답게 하는 마음” 서진시대 법거.법립 공동번역 선행.악행 비유 삶의 의미 밝혀 어느 날 부처님이 설법을 하고 돌아오던 길이었다. 제자인 비구들이 부처님을 에워싸고 함께 동행하고 있었다. 얼마쯤 왔을 때 길가에 버려진 휴지조각이 있었다. 부처님이 이를 보.. 경전안내 2011.06.05
35. 화엄경(華嚴經) 화엄경(華嚴經) 수행의 대요로 ‘보현행원’ 설파 <화엄경(華嚴經)>은 대승경전 가운데 최고의 경전으로 평가 받는 경전이다. 일찍이 중국 불교사에서 이 경전을 소의로 화엄종이라는 종파가 탄생했으며, 또 화엄학이라는 불교교학 가운데 최고의 학파가 형성되기도 하였다. 원 이름은 <대방광.. 경전안내 2011.06.05
34. 심지관경(心地觀經) 심지관경(心地觀經) 마음의 정체 아는 것이 ‘수행의 요체’ 여러 대승경전의 모든 교의 총망라 “보은 외면하고는 佛種子 못돼”설법 인도에서 일어난 대승불교의 후기에 들어와 여러 대승경전에 설해져 있는 모든 교의를 종합하여 이루어진 경전이 하나있다. <대승본생심지관경>이라는 이 경.. 경전안내 2011.06.05
33. 마등가경(摩登伽經) 마등가경(摩登伽經) "사람의 신분에는 차이가 없다" 불경의 이름에 여성의 이름이 들어가 있는 경전이 가끔 있다. <승만경>이나 <옥야경>이 그렇고 <마등가경(摩登伽經)>도 여성의 이름으로 제목이 된 경이다. 이 경에 설해져 있는 내용은 좀 특이한 점이 있다. 인도의 카스트제도인 사성계.. 경전안내 2011.06.05
32. 지장십륜경(地藏十輪經) 지장십륜경(地藏十輪經) 말법시대 수행의 본보기 보여줘 <지장십륜경(地藏十輪經)>의 원이름은 <대승대집지장십륜경(大乘大集地藏十輪經)>인데 줄여서 <십륜경>이라 부르기도 한다. 이역본으로는 역자 미상의 <대방광십륜경>이 있는데 북량 때 번역되었다 하여 북량본이라 부른다. .. 경전안내 2011.06.05
31. 목련경(目連經) 목련경(目連經) 목련존자의 孝經 <목련경(目連經)>은 부처님 10대 제자 중 신통이 제일이었던 목련존자의 이름을 따서 제목을 삼은 경이다. 효심이 지극했던 목련존자의 효도에 관한 이야기가 설해져 있으므로 예로부터 이 경을 <부모은중경>처럼 효경으로 취급해 왔다. 송나라 때 법천(法天).. 경전안내 2011.06.05
30. 비화경(悲華經) 비화경(悲華經) “정토에 안주 말고 예토서 성불하라” 자비의 연꽃이라는 뜻을 가지고 있는 <비화경(悲華經)>의 비화라는 말은 석가모니 부처님을 가리키는 말이다. 이는 석가모니 부처님이 부처님의 정토에 안주하지 않고 사바세계 곧 예토(穢土)에서 성불하여 중생들을 제도해 준 것을 찬양하.. 경전안내 2011.06.05
29. 보적경(寶積經) 보적경(寶積經) “보리심은 허물이 없다” 불경 가운데 가장 많은 양의 긴 경문으로 이루어진 경전이 <보적경(寶積經)>이다. 글자 그대로 법의 보배를 쌓아 놓았다는 뜻을 가지고 있는 이 경은 <대보적경>이라 부르지만 약칭하여 <보적경>이라 한다. 120권의 방대한 량에 49회 77품으로 되어 .. 경전안내 2011.06.05
28. 약사경((藥師經) 약사경((藥師經) “보살도 실천을 통한 정토구현” 담아 중생 질병 고쳐주는 부처님이 ‘약사여래’ 정토 기본인 타력신앙과 밀교요소 지녀 불교의 부처님은 곧잘 병을 치료해 주는 의사에 비유된다. 부처님을 법왕(法王)이라 부르는 것처럼 때로는 의왕(醫王)이라 부르기도 한다. <약사경((藥師經)).. 경전안내 2011.06.05
27. 금강경(金剛經) 금강경(金剛經) “일체 번뇌 없애는 진리의 말씀” 집착 끊고 공을 통한 지혜 체득 강조 가장 널리 알려져…조계종 소의경전 <금강경(金剛經)>은 부처님의 일대소설 중 반야부에 속해 있는 경으로 600부 가운데 577권 째에 해당하는 경이다. <금강반야바라밀다경>을 약칭하여 <금강경> 혹은 .. 경전안내 2011.06.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