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록] 양근 사나사 원증국사 사리석종비 <終> 양근 사나사 원증국사 사리석종비 (楊根舍那寺圓證國師舍利石鐘碑) 소재 : 경기도 양평군 용문면 연수리 사나사 (京畿道楊平郡龍門面延壽里舍那寺) 연대 : 고려 우왕(禑王) 12년(1386) 중현대부 성균관제주 지제 교정도전찬 (中顯大夫成均館祭酒知製 敎鄭都傳譔) 고려 국사 이웅존자(利.. 선림고경총서/태고록太古錄 2015.07.07
[부록] 비명 비명(碑銘) 비명* 추충보절동덕찬화공신 삼중대광 한산부원군 영예문춘추관사 신이색 봉교찬(推忠保節同德贊化功臣 三重大匡 漢山府院君 領藝文春秋館事 臣李穑 奉敎撰) 전봉익대부 판전교사사진현관제학 신권주 봉교서단 병전액(前奉翊大夫判典校寺事進賢舘提學 臣權鑄 奉敎.. 선림고경총서/태고록太古錄 2015.07.07
[부록] 행장 4. 행 장 4. 정유년(1357) 2월에 스님은 귀신같이 기미를 알아채고 게송을 지어 왕사의 직을 사퇴하기를 청하셨다. 왕의 마음은 더욱 간절했으나 스승은 몸을 빼서 소설산으로 들어가셨다. 현릉은 스님의 뜻을 알고 법복과 인장을 스님에게 보냈다. 그때에 고담 적조 현명(古潭寂照玄明)선사라.. 선림고경총서/태고록太古錄 2015.07.07
[부록] 행장 3. 행 장 3. 8월 3일에 호주를 떠나 10월 16일에 연도(燕都)에 닿으니, 정신은 대방(大方)에 놀고 이름은 중원(中原)에 퍼졌다. 때에 영녕사 장로 여철강(如鐵舡)과 공덕주(功德主) 원사(院使) 곽목적립(郭木的立)은 스님을 본사(本寺 : 영녕사)에 거처하도록 하였다. 그 뒤에 남북 양성(兩城)의 여.. 선림고경총서/태고록太古錄 2015.07.07
[부록] 행장 2. 행 장 2. 그 해 7월에 스님은 옷깃을 떨치고 호주 하무산 천호암(天湖庵)으로 가서 석옥화상을 찾아뵈었다. 노을 속에 도인의 풍채는 기운이 늠름하였다. 스님은 위의를갖추고 그 앞에 우뚝 섰고, 석옥화상은 눈을 뜨고 바라보았다. 스님도 눈을 뜨고 마주 바라보다가 절하고 물러났다. 이.. 선림고경총서/태고록太古錄 2015.07.07
[부록] 행장 1. 행장(行狀) 행 장* 1. 문인 유창(文人維昌) 지음 현겁 제 4존 대각 능인(賢劫第四尊大覺能仁)의 57대 손이시며 인천의 스승이신 삼한 양조 국사 이웅존자(三韓兩朝國師利雄尊者)의 휘(諱)는 보우요, 원래 이름은 보허(步虛)이며, 호는 태고(太古)다. 성은 홍(洪)씨로서 홍주(洪洲) 사람이다. 아.. 선림고경총서/태고록太古錄 2015.07.02
[부록] 5. 개당방(開堂榜) 5. 개당방(開堂榜) 강서원주로 청천산연수선사 장로 선남순중(江西 袁州路 淸泉山 延壽禪寺 長老 善南詢仲) 지음 대원국(大元國) 대도 영녕선사에서는 태자(太子)의 생신을 만나, 삼가 성지(聖旨)를 받들어 고려국 만수선사를 중흥한 주지 태고화상에게 종문의 가르침을 연설케 하고 방(榜.. 선림고경총서/태고록太古錄 2015.07.02
[부록] 4. 대도(大都) 여러 절의 장로들이 조정에 아뢰어 개당을 청하는 글 4. 대도(大都) 여러 절의 장로들이 조정에 아뢰어 개당을 청하는 글 도가 사람을 크게 하는 것이 아니라 사람이 도를 크게 하는 것입니다. 그러므로 부처님과 부처님이 주고 받고, 조사와 조사가 서로 전하여 선정(禪定)의 등불이 다함이 없고 지혜의 수명이 끊이지 않는 것입니다. 지금 태.. 선림고경총서/태고록太古錄 2015.07.02
[부록] 3. 석옥화상의 답서 3. 석옥화상의 답서 답을 씁니다. 이별한 뒤로 노병이 날로 더하여 문을 닫고 들어앉아 정양하며 구차히 날을 보내고 있던 중, 무자 10월 13일에 문득 정자사(淨慈寺)에서 전인(專人 : 어떤 일에 특별히 보내는 사람)이 장로의 편지를 가지고 왔기에 반가이 읽었습니다. 그리고 태고의 시절과.. 선림고경총서/태고록太古錄 2015.07.02
[부록] 2. 석옥화상께 올리는 글 2. 석옥화상께 올리는 글 제자 고려국 중흥선사(重興禪寺)의 보우는 9배(九拜)하고, 본사(本師) 하무산 석옥 대화상 좌하에 삼가 글을 올립니다. 8월 1일에 하직한 뒤로 사모하지 않은 날이 없었습니다. 길이 좋아 10월 15일에 대도(大都)에 돌아왔습니다. 주머니 속의 송곳 끝이 조금 삐져나.. 선림고경총서/태고록太古錄 2015.07.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