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교기본교리 요약 무구(無咎)의 불교기본교리 요약 I. 불교와 예절 (1) 종교 종교는 인간을 정화하고 이상적 사회를 건설하며, 현실의 고통을 해소하고 죽음의 공포로부터 벗어나 영원한 행복을 추구하는 것이 공통된 목적을 가지고 있다. - 마르크스: 종교는 인민의 아편 (종교가 그 사회에 바람직한 역할과 기능을 수행.. 불교 기초 2011.01.09
선사들의 ‘좌탈입망(坐脫立亡)’ 일화와 사진들 <전등록>으로 본 ‘좌탈입망(坐脫立亡)’ 일화들 중국 선종의 역사서인 <전등록>에 보면 좌탈입망(坐脫立亡)한 예를 볼 수 있다. 자신의 죽음을 미리 예고한 다음 선택한 시간에 열반을 맞이한 선사들을 살펴보기로 한다. #자신의 제사를 먼저 치르게 한 화산덕보 선사 먼저 임제종 황룡파의 화.. 불교 기초 2010.10.26
석가모니 부처님의 팔상록 석가모니 부처님의 팔상록 1. 도솔래의상 (兜率來儀相) 석가모니가 과거에 쌓은 공덕으로 도솔천왕으로 머물다 부처님이 되기 위해 인간 세상에 태어나기 전의 장면들을 묘사한 그림이다. 주요 부분을 보면, 1. 부처님께서 사위국의 태자로 태어나기 전의 전생(前生)을 나타낸 부분으로 소구담(小瞿曇).. 불교 기초 2010.10.26
부처님 오신날의 유래와 의의 부처님 오신날의 유래와 의의 부처님 오신 날 또는 석가탄신일(釋迦誕辰日). 초파일(初八日)은 불교에서 석가모니가 탄생한 날로, 음력 4월 8일이다. 8일이므로 ‘초파일’이라고도 부른다. 여러 나라의 부처님오신날 대한민국, 중화민국, 마카오, 홍콩에서 공휴일이다. 대한민국에서는 1975년 공휴일로.. 불교 기초 2010.10.26
부처님전에 등을 밝히는 뜻 부처님전에 등을 밝히는 뜻 등불의 유래 우리나라는 매년 부처님 오신날을 맞이하여 형형색색의 등을 정성스럽게 제작하여 각 사찰 도량과 부처님전 또 각 신도가정에 밝히고 있다. 또한 각 사찰에서는 인등 . 자명등이라는 이름으로 법당안 부처님전에 불을 밝히고 있다. 이렇게 부처님전에 등을 밝.. 불교 기초 2010.10.26
불교의 상징 - 염주(念珠) 불교의 상징 - 염주(念珠) 우리는 주변에서 스님들이나 재가 불자들이 염주(念珠)를 목에 걸거나, 또는 손으로 돌리는 모습을 흔히 볼 수 있다. 이러한 염주는 인도에서 비롯된 불교인의 법구(法具)의 하나로서 수주(數珠), 송주(誦珠), 주주(呪珠)라고도 하고, 범어(梵語) 음역으로는 발새막(鉢塞莫)이라.. 불교 기초 2010.10.26
백중,우란분절 이야기 백중,우란분절 이야기 법상스님 음력 7월 15일은 백중절(百中節), 중원일(中元日), 백종일(百種日) 백종일(白踵日),망혼일(亡魂日),머슴날 그리고 불교에서는 우란분절(盂蘭盆節)이라 하여 우리 조상들의 소중한 민족 명절로 내려오고 있습니다. 먼저 이렇게 많은 이름이 붙여진 연유부터 살펴보겠습니.. 불교 기초 2010.10.26
겁(劫)의 종류와 인연겁 겁(劫)의 종류와 인연겁 겁(劫, Kalpa)은 겁파(劫波)라고도 한다. 분별시분(分別時分), 장시(長時), 대시(大時)라 번역. ① 인도에서 말하는 시간 단위. 색계 범천(梵天)의 하루. 환산하면 인간의 4억3천2백만 년. ② 불교에서 연월일을 알 수 없는 긴 시간의 표시. ㉠ 개자겁(芥子劫) 둘레가 40리 되는 큰 성이 .. 불교 기초 2010.10.22
절을 두 번, 세 번 하는 까닭은? 절을 두 번, 세 번 하는 까닭은? 부처님전에 올리는 절은 왜 세 번일까? 그 까닭은 삼보(三寶)에 대한 예를 올리는 것이기 때문이다. 부처님과 부처님의 가르침과 부처님의 교단[승가]이 있음으로 해서 불교가 있으니 이것이 삼보. 불당에는 상·중·하 세단이 있다. 상단에는 불·보살님을, 중단에는 신.. 불교 기초 2010.10.04
한국의 불교 종파 한국의 불교 종파 아래는 현재 '한국불교종단협의회'에 등록된 종단명들입니다. 이외에 종단협의회에 등록되지 않은 종단도 부지기수입니다. 1. 대한불교조계종 2. 한국불교태고종 3. 대한불교천태종 4. 대한불교진각종 5. 대한불교관음종 6. 대한불교총화종 8. 대한불교보문종 9. 대한불교원융종 10 불.. 불교 기초 2010.09.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