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경 수행]
42. 주력수행이란 무엇인가
“眞言, 맘속에 담아 청정심 구현을”
수행이란 자신의 마음과 몸을 닦아나가는 것을 말한다. 몸과 마음을 닦아서 맑은 호수처럼 고요한 상태에서 자신의 참 모습을 발견하여 걸림 없이 잘 사는 것이 수행의 목적이다.
그러나 몸과 마음을 닦는다 하지만, 몸은 마음 가는대로 그려지며 몸 또한 마음과 분리된 몸이 아니요 마음의 또 다른 표현이기 때문에 수행은 마음을 닦는다 하여 수심(修心)이라고도 하고 마음에 낀 때를 닦아낸다 하여 세심(洗心)이라고도 한다.
오염된 마음을 닦아 나 자신의 본래 마음을 찾는 것이 수행에선 무엇보도 중요하다. 나의 본래 모습, 자신의 진정한 모습은 어디에도 걸리지 않는 자유로움 그 자체이며 마음이 푹 쉰 부처님의 모습이다. 그것은 마음이 한 없이 편안해져 지극히 행복하고 평화로운 상태이다. 수행을 통해서 우리는 이 영원히 행복하고 평화로운 모습을 확인하면서 궁극적으로는 그것을 완전히 회복하는 것이다.
궁극적으로 불교 수행은 부처님을 닮아가는 것이다. 부처님을 차츰차츰 닮아가다가 마침내 부처가 되는 길도 있고, 단박에 자신이 부처임을 보는 수행도 있다. 어찌 되었건 불교 수행은 부처님이 말씀하신 그 가르침을 내 몸에서 실현하는 것이다. 연기, 무아, 중도, 공의 이치를 이 몸과 마음으로 구현해 내는 것이다.
주력은 진리담은 말에서 비롯
꾸준한 수행으로 내면 밝혀야
그렇다면 주력수행이란 무엇인가? 바로 주력을 가지고 수행하는 것이다. 주력을 통해 마음을 밝혀 부처님처럼 되는 것이다. 주력(呪力)이란 진실한 말의 힘을 말한다. 그 진실한 말은 진짜 말이요 참 말이다. 그래서 그것은 한자로 진언(眞言)이라 한다. 이 진언을 외워서 내 몸과 마음을 닦아 나 자신의 청정하고 깨끗하며 평화로운 모습을 찾는 것이 주력 수행인 것이다.
말에는 힘이 있다. 오묘한 힘이 있다. 우리는 말을 통해서 의사를 전달하며 자신의 마음을 표현한다. 말의 의미가 곧 말의 힘이 된다. 힘은 에너지다. 사물을 지탱하고 움직이는 것은 이 힘이 있기 때문에 가능하다. 그래서 말에는 마음을 전달하는 힘이 있기 때문에 상대방의 마음을 움직일 수 있는 것이다.
흔히 말 한 마디에 천냥 빚을 갚는다고 한다. ‘아’ 다르고 ‘어’ 다르다고 한다. 한 마디 말이 상대방 가슴에 비수를 꽂게도 하며 한 마디 말이 절망에 빠진 사람을 살리기도 한다. 말은 양날의 칼이 있으며 그 만큼 한 마디 말이라도 함부로 쓸 수 없는 것이다.
말이 상대방을 헤아리고 배려하는 좋은 말일 때, 감동을 주는 말일 때 사람의 마음을 움직이는 힘이 크다. 특히 거짓 없는 진실한 말, 순수한 말, 꾸밈이 없는 말은 사람의 마음을 바로 움직여 변화의 길로 나서게 한다. 이러한 말의 힘이 종교와 결부되면 어떤 특별한 말은 인간세계를 비롯한 우주에 편만한 진리를 함축하게 된다. 그것은 우주적인 힘이다. 그래서 사람들은 그 말 자체만으로도 일생생활에서 진리를 끌어낼 수 있다고 믿게 된다.
특히 최고의 진리를 표현하고 있는 말은 진실한 말이기에 여기에는 모든 것이 간직되어 있으며 모든 것을 유지하고 보존하는 힘이 있다. 우주를 생성, 보존, 파괴하는 힘이 진실한 말에 내장되어 있다는 것이다. 이러한 진실한 말을 외움으로써 그것이 내 마음을 중심에 빈틈없이 들어와 박혀 힘을 얻게 되면 실현 불가능할 것 같던 소원도 성취하고 업장도 소멸하며 내면을 밝히게 된다.
주력, 즉 진언은 진리를 담고 있다. 진언을 외우는 일 자체가 진리를 설한 말씀이나 경전을 잊지 않고 간직하게 하는 힘을 발휘하게 된다. <반야심경>을 독송할 때 맨 나중에 진언을 외우는 이유도 부처님 말씀을 마무리하면서 응축된 언어인 진언을 통해서 <반야심경>의 전체 의미를 내 마음 속에 담아내는데 있는 것이다.
간경수행에 들어가기 앞서 경전을 펼칠 때도 구업을 깨끗이 하는 정구업진언(淨口業眞言)이나 진리의 말씀을 여는 개법장진언(開法藏眞言)을 외운다. 이렇게 진언은 부처님 말씀의 처음과 마무리를 장식할 정도로 중요하다.
우리나라 근현대의 여러 선지식들이 주력 수행으로 힘을 얻고 깨달은 사례까지 있다. 성철스님은 선방 수좌들에게도 능엄주력을 권했다.
조계종 포교연구실
'수행이란 무엇인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수행이란 무엇인가] 간경 수행 - 44. 주력 수행의 원리 (0) | 2014.03.02 |
---|---|
[수행이란 무엇인가] 간경 수행 - 43. 주력의 의미와 역할 (0) | 2014.03.02 |
[수행이란 무엇인가] 간경 수행 - 41. 간경 수행과 선 (0) | 2014.03.02 |
[수행이란 무엇인가] 간경 수행 - 40. 간경수행의 공덕과 효과 (0) | 2014.03.02 |
[수행이란 무엇인가] 간경 수행 - 39. 간경 수행체계 (0) | 2014.03.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