차례
해제
선림보훈서(禪林寶訓序)
선림보훈 上
1. 도보다 높고 덕보다 아름다운 것은 없다/ 명교 계숭(明敎契嵩)
2. 명예를 피하여 절개를 지키다/ 원통 거눌(圓通居訥)
3. 말세학인은 안위를 살펴야 한다 / 대각 회연(大覺懷璉)
4. 늙고 가난할수록 뜻을 굳게 가져야 하는 것이다/ 효순 노부(曉舜老夫)
5. 대중을 받드는 요점을 말하다/ 법원 녹공(法遠錄公)
6. 계행이 청정해야 명성을 얻는다/ 오조 법연(五祖法演)
7. 도는 사람을 떠나지 않으나 사람이 도를 버린다/ 백운 수단(白雲守端)
8. 활짝 트인 것이 도인의 마음 씀슴이다/ 회당 조심(晦堂祖心)
9. 대중을 얻는 요점은 사람 마음을 살피는 데 있다/ 황룡 혜남(黃龍慧南)
10. 공안을 설명하는 어리석음을 경계하다/ 홍영소무(洪英邵武)
11. 도인이 가니 총림이 시들다/ 진정 극문(眞淨克文)
12. 도덕있는 사람은 대중과 같이 즐긴다/ 담당 문준(湛堂文準)
선림보훈 中
13. 화복과 길흉은 한 울타리안에 있다/ 영원 유청(靈源惟淸)
14. 도는 믿음에 달려있고 믿음은 진실에 달려있다/ 원오 극근(圓悟克勤)
15. 납자의 본연은 어디에도 끄달리지 않는 것이다/ 불감 혜근(佛鑑慧懃)
16. 남에게는 엄격하고 자기에게 둔해짐을 경계하다/ 불안 청원(佛眼淸遠)
17. 늙고 병든 스님을 뒷바라지하다/ 고암 선오(高庵善悟)
18. 사대부에 아첨하여 불도를 손상시킴을 경계하다/ 귀운 여본(歸雲如本)
19. 「변영편」에 발문(跋文)을 붙이다/ 원극 언잠(圓極彦岺)
20. 상주물을 사사로이 씀을 경계하다/ 동산 혜공(東山慧空)
21. 혜공스님의 답서를 평하다/ 절옹 여담(浙翁如琰)
22. 출가한 뜻을 저버리지 않다/ 설당 도행(雪堂道行)
23. 이익을 구하는 자는 도를 얻지 못한다/ 황룡 사심(黃龍死心)
24. 사념이 일어나기 전에 다스리다/ 초당 선청(草堂善淸)
25. 생사의 갈림길에서도 도를 바탕삼다/ 산당 도진(山堂道震)
선림보훈 下
26. 깨닫고 교화하는 일은 혼자서만으로는 될 수 없다/ 묘희 종고(妙喜宗杲)
27. 시초에서 조심하여 재앙에 대비하다/ 수좌 음(音)
28.적시에 폐단을 고쳐 종풍을 간직하다/ 만암 도안(萬庵道顔)
29. 도를 간직하고 뜻대로 살다/ 소각 대변(昭覺大辯)
30. 납자는 총림을 보호하고 총림은 도덕을 보호한다/ 불지 단유(佛智端裕)
31. 한끼 먹고 눕지 않으며 선정을 닦다/ 수암 단일(水庵端一)
32. 성급하게 제자 지도함을 경계하다/ 월당 도창(月堂道昌)
33. 교외별전을 해설하는 폐단을 경계하다/ 심문 운분(心聞雲賁)
34. 큰도는 어리석음도 지혜로움도 없다/ 졸암 덕광(拙庵德光)
35. 티끌 세속에서 불사를 짓다/ 밀암 함걸(密庵咸傑)
36. 근본을 체득하여 지말을 바르게 하다/ 자득 혜휘(自得慧輝)
37. 선지식의 요점은 사람을 알아보는 데 있다/ 혹암사체(或庵師體)
38. 안을 다스려 밖을 대하다/ 할당 혜원(瞎堂慧遠)
39. 미물까지 덮는 자비를 베풀다/ 간당 행기(簡堂行機)
40. 조계의 정통을 다시 일으켜 주기를 간청하다/ 자수 회심(慈受懷深)
41. 비방과 참소를 잘 분별해야 한다/ 영지 원조(靈芝元照)
42. 선과 교에서 모두 무상(無上)의 도를 말하다/ 뇌암 도추(懶庵道樞)
'선림고경총서 > 선림보훈禪林寶訓' 카테고리의 다른 글
3. 말세학인은 안위를 살펴야 하는 것이다 (0) | 2014.12.22 |
---|---|
2. 명예를 피하여 절개를 지키다 (0) | 2014.12.22 |
선림보훈(上) 1. 도보다 높고 덕보다 아름다운 것은 없다 (0) | 2014.12.22 |
선림보훈서(禪林寶訓序) (0) | 2014.12.22 |
해 제(解題) (0) | 2014.12.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