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0. ‘재’와 ‘삼매’의 뜻/ 왕문공(王文公)
왕문공(王文公 : 王安石)이 말하였다.
“부처님께서 비구들과 진사시(辰巳時 : 07~11시)에 공양하는 것은 ‘재(齋)’라 이름한 것은, 중생들을 대하는데 ‘엄숙[齊]’하지 않을 수 없기 때문이다. 또한 불성(佛性)이 있기 때문에 중생을 동등하게 보며, 귀신과 상대하는 도라고도 보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수능엄경」에서도 ‘몸가짐[威儀]을 가다듬고 재법(齋法)을 엄숙하게 받든다’고 하였다.”
또 말하였다.
“삼매(三昧)라는 범어는, 중국에서는 ‘정정(正定)’이라 하고 ‘정정’가운데에서 느끼는 경계를 ‘정수(正受)’라 하니, 이는 무명(無明)을 연(緣)하여 받은 경계와는 다른 것이다. 그러므로 「원각경」에서는 ‘삼매정수(三昧正受)’라 번역하고서 ‘범어로는 삼매(三昧)라 하지만 중국에서는 정수(正受)라 한다’고 풀이하였으니, 「보적경(寶積經)」에서 ‘삼매(三昧) 및 정수(正受)’라고 한 것은 잘못이다.”
'선림고경총서 > 임간록林間錄' 카테고리의 다른 글
32. 머무는대로 나타나는 선과 악/ 노안(老安)스님 (0) | 2015.01.03 |
---|---|
31. 규봉스님의 억지설/ 육조 혜능(六祖慧能)스님 (0) | 2015.01.03 |
29. 비밀장과 언설법신/ 「열반경」 (0) | 2015.01.03 |
28. 율종사찰을 선풍으로 쇄신함/ 달관 담영(達觀曇穎)스님 (0) | 2015.01.03 |
27. 기신론 등의 평등설법/ 운암(雲庵)스님 (0) | 2015.01.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