앙 산 록
(四家語錄)
1. 행록
앙산(仰山 : 803~887) 스님의 휘(諱)는 혜적(慧寂)이며 소주(韶州) 회화(懷化) 땅 섭씨(葉氏)의 아들로, 아홉 살에 광주(廣州) 화안사(和安寺)의 통(通)스님*에게 출가하셨다. 열 네 살에 부모가 집으로 데리고 가서 결혼을 시키려 하였으나 따르지 않으셨다. 이윽고 손가락 두 개를 자르고 부모 앞에 꿇어앉아 정법(正法)을 닦아 키워주신 은혜에 보답하겠다고 맹세하니 부모가 허락하셨다.
다시 통(通)스님이 계시는 곳으로 가서 머리를 깎았다. 그러나 아직 구족계(具足戒)도 받지 않은 상태에서 이리저리 행각을 떠나셨다. 처음에 탐원(耽源)스님*을 배알하여 오묘한 이치를 알았고, 그 후 위산 영우(潙山靈祐 : 771~853)스님을 찾아 뵙고서 깨쳤다.
탐원스님께서 스님에게 말씀하셨다.
“혜충(慧忠)스님께서 당시에 육대조사(六代祖師)의 원상(圓相) 97개를 모두 전해받아다가 나에게 주시며 말씀하시기를, ‘내가 죽은 뒤 30년이 되면 남방에서 한 사미(沙彌)가 찾아와 이 가르침을 크게 일으키리니 계속하여 끊어지지 않게 하라’고 하셨다. 이제 이 원상(圓相)을 그대에게 줄 터이니 잘 받들어 지니거라.”
하고는 그 그림을 가져다 건네주셨는데 스님께서는 한번 보고는 바로 불태워 버리셨다.
탐원스님께서 하루는 스님에게 말씀하셨다.
“지난번에 준 여러 원상들은 깊숙이 잘 간직해야 하네.”
“그때 보고 나서 바로 태워 버렸습니다.”
“우리 불법은 혜충스님과 여러 조사, 그리고 큰 성인 말고는 알 사람이 없는데, 그대는 무엇 때문에 그 원상을 불살랐는가?”
“저는 한번 보고 그 뜻을 다 알아버렸습니다. 그러므로 그저 활용할 뿐 그림에는 집착하지 않습니다.”
“비록 그렇기는 하네만, 그대라면 모르겠지만 뒷사람은 믿음이 미치지 못할걸세.”
“스님께서 필요하시다면 다시 그리는 것은 어렵지 않습니다.”
그리고는 다시 한 개를 그려서 바쳤는데 조금도 잘못된 곳이 없었다. 이것을 보고 탐원스님은 “과연 그렇구나”하셨다.
탐원스님께서 상당(上堂)하시자 스님이 대중 가운데서 나와 ○ 모양을 만들어 손으로 들어 받치고는 차수(叉手)를 하고 섰다. 탐원스님께서 양손을 맞대서 주먹을 쥐어 보이자 스님은 앞으로 세 걸음 나아가 여인처럼 절을 하였다. 탐원스님께서 머리를 끄덕이자 스님은 바로 절을 올렸다.
앙산스님이 누더기를 빨고 있는데 탐원스님께서 물으셨다.
“이럴 때는 어찌하는가?”
“이럴 때를 어디서 보셨습니까?”
뒷날 위산스님을 찾아뵈었더니 스님께서 물으셨다.
“너는 주인이 있는 사미냐, 주인이 없는 사미냐?”
“주인이 있습니다.”
“주인이 어디 있느냐?”
스님이 서쪽에서 동쪽으로 와 서자 위산스님께서 이상하게 여기시니 스님이 여쭈었다.
“어디가 참된 부처가 계시는 곳입니까?”
“생각이 있는 동시에 없기도 한 묘함으로 끝없이 타오르는 신령한 불꽃을 돌이켜 생각하면 생각이 다하여서 본래자리로 되돌아가 성품[性]과 형상[相]이 항상하고 사(事)와 이(理)가 둘이 아니어서 참 부처가 여여(如如)하리라.”
스님은 이 말씀 끝에 단박 깨닫고 이로부터 위산스님을 15년간 시봉하였다.
---------------------------------
* 통(通)스님 : 선가에서는 이 스님을 말수가 적은 분이라 하여 말 안하는 통스님[不語通]이라고 한다.
* 탐원(耽源)스님 : 생몰연대는 불확실하나 남양 혜충(南陽慧忠 : ?~775) 스님의 시자(侍者)로서, 원상(圓相)에 대해 주로 공부했다고 한다.
'선림고경총서 > 위앙록潙仰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앙산록/ 사가어록(四家語錄)] 2. 상당 10~18. (0) | 2015.04.28 |
---|---|
[앙산록/ 사가어록(四家語錄)] 2. 상당 1~9. (0) | 2015.04.27 |
[위산록/ 조당집(祖堂集)] 3. 천화 (0) | 2015.04.27 |
[위산록/ 조당집(祖堂集)] 2. 시중 · 대기 18~22. (0) | 2015.04.27 |
[위산록/ 조당집(祖堂集)] 2. 시중 · 대기 1~17. (0) | 2015.04.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