증도가證道歌
1 君不見가 그대 보지 못하였는가.
2 絶學無爲閑道人은 배움이 끊어진 하릴없는 한가한 도인은
不除妄想不求眞이라 망상도 없애지 않고 참됨도 구하지 않으니
3 無明實性이 卽佛性이요 무명의 참 성품이 곧 불성이요
幻化空身이 卽法身이로다 허깨비 같은 빈 몸이 곧 법신이로다.
4 法身을 覺了無一物하니 법신을 깨달음에 한 물건도 없으니
本源自性이 天眞佛이라 근원의 자성이 천진불이라
5 五陰浮雲이 空去來하고 오음의 뜬구름이 부질없이 가고 오며
三毒水泡虛出沒이로다 삼독의 물거품은 헛되이 출몰하도다.
6 證實相無人法하니 실상을 증득하여 인(人) · 법(法)이 없으니
刹那에 滅却阿鼻業이라 찰나에 아비지옥의 업을 없애버림이라
7 若將妄語誑衆生하면 거짓말로 중생을 속인다면
自招拔舌塵沙劫이로다 진사겁토록 발설지옥 보를 스스로 부르리로다.
8 頓覺了如來禪하니 여래선을 단박에 깨치니
六度萬行이 體中圓이라 육도만행이 본체 속에 원만함이라
9 夢裏엔 明明有六趣러니 꿈속에선 밝고 밝게 육취가 있더니
覺後에 空空無大千이로다 깨친 후엔 비고 비어 대천 세계가 없도다.
10 無罪福無損益하니 죄와 복이 없고 손해와 이익도 없나니
寂滅性中에 莫問覔하라 적멸한 성품 가운데서 묻고 찾지 말라.
11 比來에 塵鏡을 未曾磨러니 예전엔 때 낀 거울 미처 갈지 못했더니
今日에 分明須剖析이로다 오늘에야 분명히 닦아 내었도다.
12 誰無念誰無生고 누가 생각이 없으며 누가 남이 없는가.
若實無生無不生이니 진실로 남이 없으면 나지 않음도 없나니
13 喚取機關木人問하라 기관목인을 불러 붙들고 물어 보라.
求佛施功早晩成이로다 부처 구하고 공 베품을 조만간 이루리로다.
14 放四大莫把捉하고 사대를 놓아 버려 붙잡지 말고
寂滅性中에 隨飮啄이어다 적멸한 성품 따라 먹고 마실지어다.
15 諸行이 無常一切空하니 모든 행이 무상하여 일체가 공하니
卽是如來大圓覺이로다 이는 곧 여래의 대원각이로다.
16 決定說表眞乘을 결정된 말씀과 참됨을 나타낸 법을
有人이 不肯任情徵이라 어떤 사람은 긍정치 않고 정에 따라 헤아림이라
17 直截根源佛所印이요 근원을 바로 끊음은 부처님 인가하신 바요
摘葉尋枝는 我不能이로다 잎 따고 가지 찾음은 내 할 일 아니로다.
18 摩尼珠를 人不識하니 마니주를 사람들은 알지 못하니
如來藏裏에 親收得이라 여래장 속에 몸소 거두어 들임이라
19 六般神用空不空이요 여섯 가지 신통묘용은 공하면서 공하지 않음이요
一顆圓光色非色이로다 한 덩이 두렷한 빛은 색이면서 색이 아니로다.
20 淨五眼得五力은 오안을 깨끗이 하여 오력을 얻음은
唯證乃知難可測이라 증득해야만 알 뿐 헤아리긴 어렵도다.
21 鏡裏에 看形見不難이나 거울속의 형상 보기는 어렵지 않으나
水中捉月爭拈得가 물속의 달을 붙들려 하나 어떻게 잡을 수 있으랴.
22 常獨行常獨步하니 항상 홀로 다니고 항상 홀로 걷나니
達者同遊涅槃路로다 통달한 이 함께 열반의 길에 노닐도다.
23 調古神淸風自高여 옛스러운 곡조 신기 맑으며 풍채 스스로 드높음이여
貌悴骨剛人不顧로다 초췌한 모습 앙상한 뼈 사람들 돌아보지 않는도다.
24 窮釋子口稱貧하나 궁색한 부처님 제자 입으로는 가난타 말하나
實是身貧道不貧이라 실로 몸은 가난해도 도는 가난치 않음이라.
25 貧則身常披縷褐이요 가난한 즉 몸에 항상 누더기를 걸치고
道則心藏無價珍이로다 도를 얻은 즉 마음에 무가보(無價寶)를 감추었도다.
26 無價珍用無盡하니 무가보는 써도 다함이 없나니
利物應時終不悋이라 중생 이익하며 때를 따라 끝내 아낌이 없음이라
27 三身四智는 體中圓이요 삼신 · 사지는 본체 가운데 원만하고
八解六通은 心地印이로다 팔해탈 육신통은 마음땅의 인(印)이로다.
28 上士는 一決一切了하고 상근기는 한번 결단하여 일체를 깨치고
中下는 多聞多不信이라 중 · 하근기는 많이 들을수록 더욱 믿지 않는도다.
29 但自懷中解垢衣어니 스스로 마음의 때 묻은 옷을 벗을 뿐
誰能向外誇精進가 뉘라서 밖으로 정진을 사랑할건가.
30 從他謗任他非하라 남의 비방에 따르고 남의 비난에 맡겨두라.
把火燒天徒自疲로다 불로 하늘을 태우려 하나 공연히 자신만 피로하리로다.
31 我聞恰似飮甘露하야 내 듣기엔 마치 감로수를 마심과 같아서
鎖融頓入不思議로다 녹아서 단박에 부사의 해탈경에 들어가도다.
32 觀惡言이 是功德이니 나쁜 말을 관찰함이 바로 공덕이니
此則成吾善知識이라 이것이 나에게는 선지식이 됨이라
33 不因訕謗起怨親하면 비방 따라 원망과 친한 마음 일지 않으면
何表無生慈忍力가 하필이면 남이 없는 자비인욕의 힘 나타내 무엇할건가.
34 宗亦通說亦通이여 종취도 통하고 설법도 통함이여
定慧圓明不滯空이로다 선정과 지혜가 두렷이 밝아 공에 응체하지 않는도다.
35 非但我今獨達了요 나만 이제 통달하였을 뿐 아니라
河沙諸佛體皆同이로다 수 많은 모든 부처님 본체는 모두 같도다.
36 獅子吼無畏說이여 사자후의 두려움 없는 설법이여
百獸聞之皆腦裂이라 뭇 짐승들 들으면 모두 뇌가 찢어짐이라
37 香象은 奔波失却威하고 향상은 분주하게 달아나 위엄을 잃고
天龍은 寂聽生欣悅이로다 천룡은 조용히 듣고서 희열을 내는도다
38 遊江海涉山川하야 강과 바다에 노닐고 산과 개울을 건너서
尋師訪道爲參禪이라 스승 찾아 도를 물음은 참선 때문이라
39 自從認得曹溪路로는 조계의 길을 인식하고 부터는
了知生死不相干이로다 생사와 상관없음을 분명히 알았도다.
40 行亦禪坐亦禪이니 다녀도 참선이요 앉아도 참선이니
語默動靜體安然이라 어묵동정에 본체가 편안함이라
41 縱遇鋒刀常坦坦하고 창 · 칼을 만나도 언제나 태연하고
假饒毒藥也閑閑이로다 독약을 마셔도 한가롭고 한가롭도다.
42 我師得見燃燈佛하고 우리 스승 부처님께서 연등불을 뵈옵고
多劫에 曾爲忍辱僊이로다 다겁토록 인욕선인이 되셨도다.
43 幾廻生幾廻死오 몇번을 태어나고 몇 번인나 죽었던가.
生死悠悠無定止로다 생사가 아득하여 그침이 없었도다.
44 自從頓悟了無生으로 단박에 깨쳐 남이 없음을 요달하고부터는
於諸榮辱何憂喜아 모든 영욕에 어찌 근심하고 기뻐하랴.
45 入深山住蘭若하니 깊은 산에 들어가 고요한 곳에 머무니
岑崟幽邃長松下로다 높은 산 그윽하여 낙락장송 아래로다.
'선림고경총서 > 선림보전禪林寶典'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제5권 증도가(證道歌) 91~134. (0) | 2016.07.10 |
---|---|
제5권 증도가(證道歌) 46~90. (0) | 2016.07.08 |
제5권 증도가(證道歌) 머리말 (0) | 2016.07.07 |
제4권 신심명(信心銘) (0) | 2016.07.06 |
제4권 신심명(信心銘) 머리말 (0) | 2016.07.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