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심명

2.[신심명] 至道無難이요 唯嫌揀擇이니

쪽빛마루 2010. 2. 2. 12:04

1. 지극한 도는 어렵지 않음이요 오직 간택함을 꺼릴 뿐이니

   至道無難이요     唯嫌揀擇이니

     지 도 무 난            유 혐 간 택



지극한 도(道)란 곧 무상대도(無上大道)를 말합니다. 

이 무상대도는 전혀 어려운 것이 없으므로

오직 간택(揀擇)하지 말라는 말입니다. 

간택이란 취하고 버리는 것을 말함이니,

취하고 버리는 마음이 있으면 지극한 도는 양변(兩邊),

즉 변견(邊見)에 떨어져 마침내 중도의 바른 견해를 모른다는 것입니다. 

세간법(世間法)을 버리고 불법(佛法)을 취해도 불교가 아니며,

마구니(魔軍)을 버리고 불법을 취해도 불교가 아닙니다. 

무엇이든지 취하거나 버릴 것 같으면

실제로 무상대도에 계합되지 못한다는 뜻입니다. 

그러므로 누구든지 참으로 불법을 바로 알고,

무상대도를 바로 깨치려면 간택하는 마음부터 먼저 버리라 한 것입니다.

  




2. 미워하고 사랑하지만 않으면 통연히 명백하니라.

   但莫憎愛하면     洞然明白이라

     단 막 증 애            통 연 명 백

 

 

       미워하고 사랑하는 이 두 가지 마음만 없으면

       무상대도는 툭트여 명백하다는 것입니다.

 

부처는 좋아하고 마구니는 미워하며, 불법을 좋아하고 세간법은 미워하는

증애심(憎愛心)만 버리면 지극한 도는 분명하고 또 분명하다는 것입니다.

그러므로 누구든지 무상대도를 성취하려면 간택하는 마음을 버려야 하는데,

그 가운데 대표적인 것이 미워하고 사랑하는 마음, 즉 증애심입니다. 

이 증애심만 완전히 버린다면 무상대도를 성취하지 않을래야 않을 수 없습니다.

 

이상의 네 구절이 바로 「신심명」의 근본 골자입니다.

임제 정맥으로서 낭야 각(낭琊覺)선사라는 큰스님이 계셨습니다. 

그 스님에게 어느 재상이 편지로

"신심명은 불교의 근본 골자로서 지극한 보배입니다. 

이 글에 대하여 자세한 주해(註解)를 내려주십시요”하고 부탁했습니다. 

그랬더니 낭야 각선사가 답하기를

'至道無難이요 唯嫌揀擇이니 但莫憎愛하면 洞然明白이라

하는 첫 구절만 큼지막하게 쓰고,

그 나머지 뒷 구절들은 모두 조그맣게 써서 주해로 붙여버렸습니다. 

그렇게 한 뜻이 무엇일까요? 

「신심명」의 근본 골수는 크게 쓴 구절 속에 다 있으므로

이 구절의 뜻만 바로 알면 나머지 구절들은 모두 이 구절의 주해일뿐,

같은 뜻이라는 말입니다. 

낭야 각선사가 앞 네 구절만 크게 쓰고 뒷 구절은 주해로 써서

답장한 이것은 「신심명」에 대한 천고의 명 주해로서,

참으로 걸작이라는 평을 듣는, 역사적으로 유명한 사실이 되어버렸습니다.

 

  그러므로 누구든지 이 「신심명」을 바로 알려면

미워하거나 사랑하는 마음을 버려야 할 것입니다. 

이러한 중애심만 떠나면 중도정각(中道正覺)입니다. 

대주스님은 「돈오입도요문(頓悟入道要門)」에서

‘증애심이 없으면 두 성품이 공하여 자연히 해탈한다’고 말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이 첫 네 구절이

「신심명」의 핵심이고 뒷 구절들은 더 볼 필요가 없습니다. 

그러므로 실제로는 낭야 각선사의 말씀처럼 뒷 구절들은 주해의 뜻으로

이해하여야 할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