十三. 性 空
今旣自歸依三寶 憁各各至心 與善知識 說摩訶般若금 기 자 귀 의 삼 보 총 각 각 지 심 여 선 지 식 설 마 하 반 야
波羅蜜法 善知識 雖念 不解 惠能與說各各聽 摩訶
바 라 밀 법 선 지 식 수 념 불 해 혜 능 여 설 각 각 청 마 하
般若波羅蜜者 西國梵語 唐言大智惠彼岸到 此法
반 야 바 라 밀 자 서 국 범 어 당 언 대 지 혜 피 안 도 차 법
須行 不在口念 口念不行 如幻如化 修行者 法身與
수 행 부 재 구 념 구 념 불 행 여 화 여 화 수 행 자 법 신 여
佛等也 何名摩訶摩訶者 視大 心量廣大 猶如虛空
불 등 야 하 명 마 하 마 하 자 시 대 심 량 광 대 유 여 허 공
莫空心坐 卽落無記空 虛空能含日月聖辰 大地山河
막 공 심 좌 즉 락 무 기 공 허 공 능 함 일 월 성 신 대 지 산 하
一切草木 惡人善人 惡法善法 天堂地獄 盡在空中
일 체 초 목 악 인 선 인 악 법 선 법 천 당 지 옥 진 재 공 중
世人性空 亦復如是 性含萬法 是大 萬法盡是自性
세 인 성 공 역 부 여 시 성 함 만 법 시 대 만 법 진 시 자 성
見一切人及非人 惡知與善 惡法善法 盡皆不捨 不
견 일 체 인 급 비 인 악 지 여 선 악 법 선 법 진 개 불 사 불
可染著 猶如虛空 名之爲大 此是摩訶行 迷人口念
가 염 착 유 여 허 공 명 지 위 대 차 시 마 하 행 미 인 구 념
智者心行 又有迷人 空心不思 名之爲大 此亦不是
지 자 심 행 우 유 미 인 공 심 불 사 명 지 위 대 차 역 불 시
心量廣大 不行 是小 莫口空說 不修此行 非我第
심 량 광 대 불 행 시 소 막 구 공 설 불 수 차 행 비 아 제
子
자
13. 性 空 (성 공)
“지금 이미 삼보에게 스스로 귀의하여 모두들 지극한 마음들일 것이니 선지식들을 위하여 마하반야바라밀법을 설하리라.
선지식들아, 비록 마하반야바라밀법을 생각은 하나 알지 못하므로 혜능이 설명하여 주리니, 각각 잘 들어라.
마하반야바라밀이란 서쪽 나라의 범어이다. 당나라 말로는 ‘큰 지혜로 저 언덕에 이른다’는 뜻이니라. 이 법은 모름지기 실행할것이요 입으로 외우는 데 있지 않다. 입으로 외우고 실행하지 않으면 꼭두각시와 같고 허깨비와 같으나, 닦고 행하는 이는 법신과 부처와 같으니라.
어떤 것을 마하라고 하는가?
마하란 큰 것이다. 마음의 한량이 넓고 커서 허공과 같으나 빈 마음으로 앉아 있지 말라. 곧 무기공에 떨어지느니라.
허공은 능히 일월성신과 대지산하와 모든 초목과 악한 사람과 착한 사람과 악한 법과 착한 법과 천당과 지옥을 그 안에 다 포함하고 있다. 세상 사람의 자성이 빈 것도 또한 이와 같으니라.
자성이 만법을 포함하는 것이 곧 큰 것이며 만법 모두가 다 자성인 것이다. 모든 사람과 사람 아닌 것과 악함과 착함과 악한 법 과 착한 법을 보되, 모두 다 버리지도 않고 그에 물들지도 아니하여 마치 허공과 같으므로 크다고 하나니, 이것이 곧 큰 실행이니라.
미혹한 사람은 입으로 외우고 지혜 있는 이는 마음으로 행하느니라. 또 미혹한 사람은 마음을 비워 생각하지 않는 것을 크다고 하나, 이도 또한 옳지 않느니라. 마음의 한량이 넓고 크다고 하여도, 행하지 않으면 곧 작은 것이다. 입으로만 공연히 말하면서 이 행을 닦지 아니하면 나의 제자가 아니니라.”
'육조단경' 카테고리의 다른 글
16.[육조단경] 十五. 根 機 (0) | 2010.02.03 |
---|---|
15.[육조단경] 十四. 般 若 (0) | 2010.02.03 |
13.[육조단경] 十二. 三 歸 (0) | 2010.02.03 |
12.[육조단경] 十一. 懺 悔 (0) | 2010.02.03 |
11.[육조단경] 十. 四 願 (0) | 2010.02.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