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 혜공스님
惠空은 신라 선덕여왕(632-646) 때 사람인 天眞公의 집 종의 아들로서,
아명(兒名)은 憂助였읍니다.
그는 어릴 때부터
남이 생각만 하고 말은 하지 않아도
그것을 다 알아맞추는 등의 신기한 일이 많았읍니다.
그래서 천진공은 그에게 예배하며
"지극한 성인이 내 집에 계신다"고 크게 존경하였읍니다.
그가 자라서 스님이 되어서는
항상 술을 많이 먹고 거리에서 노래 부르고 춤추며
미친 사람 같이 돌아다녔읍니다.
또 번번히 깊은 우물 속에 들어가서 여러 달 동안 나오지 않곤 하였읍니다.
만년에는 항사사에 있었는데,
그 때에 원효 대사가 경전의 주해를 지으며
어렵고 의심이 나는 것은 혜공에게 물었읍니다.
하루는 원효와 같이 강에 가서 고기를 잡아 먹고 똥을 누는데
산 고기가 그대로 나왔읍니다.
혜공이 원효를 보고 말하기를
"너는 똥을 누고 나는 고기를 눈다"라고 하니,
그 뒤로 절 이름을 오어사(吾魚寺)로 고쳐 불렀다고 합니다.
하루는 구담 공이 많은 사람들과 산에 놀러 갔다가
길에 혜공스님이 죽어서 그 시체가 썩어 있는 것을 보고 크게 슬퍼하였읍니다.
그런데 城中에 돌아와 보니
혜공스님은 여전히 술에 취해서 노래 부르고 춤추며 돌아다니고 있는 것이었읍니다.
또 이런 일이 있었읍니다.
그 무렵 진언밀종의 고승 明郞이 금강사를 새로 짓고 낙성을 하는데,
당대의 유명한 승려는 다 왔으나 오직 혜공스님만이 오지 않았읍니다.
그래서 명랑이 향을 꽂고 마음으로 청하자,
혜공스님이 그것을 알고
"그렇게 간절히 청하므로 할 수 없이 온다"하며 그곳에 왔읍니다.
그 때에 비가 몹시 왔으나
옷이 조금도 젖지 않았을 뿐더러 발에 흙도 묻지 않았읍니다.
혜공스님은 승조 법사가 지은 [초론]을 보고
자기가 전생에 지은 것이라고 하였읍니다.
그 말은 자신이 전생에 승조 법사였다는 것입니다.
승조 법사고 깨달음을 얻어 자유자재한 분이었읍니다.
혜공스님이 배운 바 없어도
이처럼 원효스님이 모르는 것을 물어볼 정도이며
또 신통이 자재햐여 분신까지 하는 것을 보면,
스님의 말을 거짓말이라 하여 믿지 못할 까닭이 없는 것입니다.
혜공스님은 죽을 때에 공중에 높이 떠서 죽었는데,
나중에 화장을 하니 사리가 수없이 많이 나왔읍니다.
'영원한 자유' 카테고리의 다른 글
59. 제 5편 영원한 자유인. 9. 달마스님 (0) | 2011.01.30 |
---|---|
58. 제 5편 영원한 자유인. 8. 법연스님 (0) | 2011.01.30 |
56. 제 5편 영원한 자유인. 6. 혜숙스님 (0) | 2011.01.30 |
55. 제 5편 영원한 자유인. 5. 은봉스님 (0) | 2011.01.30 |
54. 제 5편 영원한 자유인. 4. 智者스님 (0) | 2011.01.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