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기를 바로 봅시다

『자기를 바로봅시다』일승법(一承法)과 방편(方便)

쪽빛마루 2011. 11. 9. 12:20

일승법(一承法)과 방편(方便)(1981년 음 11월 15일, 방잦 대중법어)




  시방 국토 가운데


  오직 일승법만 있고


  이승도 없고 상승도 없는데


  부처님의 방편설도 빼놓는다.




  쉽게 말하자면 온 시방세계는 이대로가 항상 있는 세계이고 걸림


이 없는 세계이고, 하나의 참 진리의 세계인데, 이것을 무상애법계


라고 하는 것입니다. 또 이것을 일승법이라고 합니다.


  우리 불교가 있음으로써 무애법계, 무장애법계가 있는 것이 아니


고, 본시 이 시방세계라 하는 것은 일진법계, 무애법계, 무장애법계


인데 부처님이 그것을 바로 아시고 그것을 중생에게 소개하신 것입


니다. 그래서 시방세계라 하는 것은 전체가 일승뿐입니다. 무애법


계, 일승법계뿐이지 그 외에는 하나도 없습니다. 딴 것은 없습니다.


  그런데 부처님은 이런저런 말씀을 하시고, 온갖 말씀을 다 하셨


습니다. 일승 이외의 법문을 많이 하셨습니다. 그러면 그것은 어떻


게 처리할 것인가?


  그것은 딴 것이 아니라 못 알아들으니까 방편으로 이런 말씀


저런 말씀을 하신 것이지 그것이 실설은 아닌 것입니다. 그래서


참으로 부처님 법문을 알려면 일승법계의 소식을 알아야만 부


처님의 뜻을 알 수 있는 것이지 그 외의 방편설로는 모릅니다. 방편


설은 실제가 아니라는 말입니다.


  부처님이 성도하시고서 '돈설화엄'이라고, 처음 한꺼번에 [화엄경]


을 설해 버렸습니다. [화엄경]을 설해 놓으니 귀가 막히고 눈이


멀어서 아무도 보는 사람이 없고 듣는 사람도 없고 하니, 아무도


알아듣지 못합니다. 모르는 것을 부처님 혼자 아무리 미래겁이 다


하도록 말씀하신들 무슨 소용이 있겠습니까


  말씀하시나 안 하시나 중생에게는 아무 소용이 없습니다. 아무래


도 이 사람들이 귀가 어둡고 눈이 어두워 이러하니, 차차 키워 가지


고 귀도 조금 듣고 눈도 조금 밝게 해 가지고 일승법문을 해야 되


겠다. 하고 물러섰습니다. '퇴설삼승'이라 물러서서 삼승법문을 설


한 것입니다.


  거기에서 여러 가지 잡동사니가 막 나옵니다. 이런저런 말도 나


오고 유치원 아이를 보면 유치원 아이에 해당하는 법문을 하고, 초


등학교 아이들을 보면 또 그에 해당하는 법문, 중학생, 고등학생, 대


학생 등 이렇게 여러 가지 수기설법을 합니다.


  이것은 사람 보아 가면서 옷 해 입히는 식입니다. 키 작은 사람은


옷을 짧게 해서 입히고, 키가 큰 사람에게는  옷을 길게 해서 입히고,


이런 식입니다.


  그러니 팔만 사천 법문이 벌어진 것입니다. 중생 근기가 팔만 사천


으로 모두 다 각각 다르니, 그게 소위 방편설입니다.


그것은 전부 실설이 아닙니다.


  처음에 일승법문, 돈설화엄 할 때 그때에 모두 알아 버렸으면 눈


깔사탕 따위는 필요 없는 것 아닙니까. 유치원 이야기, 초등학교, 중


학교, 대학 이야기 모두 할 필요 없는 것입니다. 그런데 못 알아들


으니까 할 수 없이 유치원부터 대학교에 이르기까지 법문이 모두


나오는 것입니다.


  그렇게 하다가 어느 정도 커졌습니다. 부처님 법문을 알아들을


만큼 근기가 성숙한 것입니다. 그래서 최후에 [법화경]과 [열반경]


을 설한 것입니다. 이것은 방편으로 말한 연유를 말한 것입니다.


  그래서 처음에 [화엄경]을 설한 것이 일승법문이고 최후에 또


[법화경]을 설한 것이 일승법문인데, 화엄, 법화 중간에 40년 동안


설한 그것은 전부 다 방편설입니다.


  거기에 가면 온갖 법문이 다 있습니다. 온갖 것이 다 있는데 그것


도 실제로 꼭 필요한 것입니다. 사람 키우기 위해서는 필요하지 않


을 수 없는 것입니다. 그러면 일승이란 것은 과연 어떤 것이냐, 이


것도 생각해 봐야합니다. 그것은 실법이니까




  화엄과 법화가 일승을 대표한다고 말합니다. 그런데 화엄, 법화


는 어떤 진리에 서 있는가? 그 내용은 어떤 것인가?


  일승 원교의 교리를 근본적으로 조직하여 집대성한 사람이 천태


지자선사입니다. [법화경]에 대해 천태선사가 정의한 말씀이 있


습니다.




  원교라 함은 중도를 나타낸 것이니 양변을 막아 버렸다




  일승원교란 것은 실지 그 내용이 중도인데 중도란 것은 양변을


여읜 것이라는 말입니다.


  양변이란 유와 무, 시와비, 선과악, 이것이 전부 양변입니다.


상대세계에서는 모든 것이 전부 양변으로 되어 있는데, 그 차별적


양변이란 것은 실법이 아닙니다.


  그리고 또 이렇게 말씀하셨습니다.




  마음이 밝고 깨끗하면 양변을 쌍으로 막고


  정히 중도에 들면 이제를 쌍으로 비춘다.




  말하자면 도를 자꾸자꾸 많이 닦아 가지고 마음이 깨끗해졌다는


말입니다. 그러면 마음이 자연히 맑을 것 아닙니까


  수도를 많이 해서 마음이 완전히 밝고 깨끗해져 버리면, 번뇌망


상이 하나도 없이 얼음알같이 그렇게 깨끗해져 버리면, 그러면


양변을 여의는 것입니다. 그런 동시에 정히 중도에 들어갈 것 같


으면 진제와 속제, 그것도 양변과 같은 것인데 2제를 쌍으로 비


춘다는 말입니다.


  앞에서는 마음이 밝아 가지고 확철히 도를 개칠 것 같으면 쌍으


로 이변을 막아 버린다. 이변을 초월한다고 했고, 그러면 그것이 중


도에 들어간 것입니다.


  중도에 들어가면 '2제를 쌍으로 비춘다'는 말은 진속이 서로 통


한다는 말입니다. 그러면 2제, 진과 속이 서로 합하고 선과 악이


서로 합합니다. 서로 융합한다는 말입니다.


  결국 차별적인 선악이나 유무의 양변을 완전히 초월하는 동시에


이것이 완전히 융합하는 것을 중도라 하며, 이것이 원교이고, 이것


이 일승이다 그 말입니다.


   천태스님 말씀은 [법화경] 위주인데, [법화경]의 '제법실상'이란


것은 '현실 이대로가 절대'라는 말로, 이것은 그 원리가 어느 곳에


있느냐 하면, 현실의 모든 차별적 양변을 완전히 떠나서 양변이 서


로 융합한다는 말에 있습니다.




  그러면 '차'와 '조'라 하는 말, 양변을 초월한다와 양변이 서로


통한다, 라는 이것이 어떻게 다른가?


  양변을 여읜다, 초월한다는 이 말은, 비유를 하자면 하늘에 구름


이 꽉 끼어 있어 해가 안 보이지만 구름이 확 걷히면 해가 확연히


드러난다는 말과 같습니다. 양변을 초월한다는 말은 '구름이 걷힌


다'는 말과 마찬가지입니다.


  또 양변이 서로 통한다 하는 것은 '해가 드러났다' 이 말입니다.


'구름이 겉혔다' 하면 으레 '해가 드러났다'는 말이 되는 것이고 '해


가 드러났다'고 하면 '구름이 걷혔다'라는 말이 되는 것입니다. 그


래서 '차'와 '조'가 둘이 아닙니다. 그래서 쌍차쌍조, 쌍으로 걷히


고 쌍으로 초월하고! 쌍으로 비추고 쌍으로 통하고!


  쌍으로 통한다 하는 것은 초월한다는 말입니다. 그래서 일승원교,


중도라 하는 것은 모든 차별을 초월하고 모든 차별들이 원융무애하


여 서로 융통자재한다. 이 말입니다. 이런 세계를 일승원교라 하는


것입니다.


  그리고 일전법계라 하는 것은 모든 것이 다 평등하여 전부 진여


뿐입니다. 그렇게 되면 모든 것이 융통자재해지는 것입니다. 이것


을 무애법계라 합니다.


  유무도 가림이 없고, 시비도 가림이 없고, 선악도 가림이 없고,


이래서 모든 것이 무애자재, 무애법계인 것입니다. 일진법계 즉


무애법계이고, 무애법계 즉 일진법계인데, 이것을 중도라 하고


이것을 원교라 하는 것입니다.


  법화에서는 이렇게 설명했는데, 원교대종이라고 하는 화엄에서


는 일승을 어떻게 설명했는가, 그것을 한번 생각해 보아야 하겠습


니다.


  화엄이라고 하면 요새 강원에서 배우는 [화엄청량소]라는 것이


있는데, 청량스님이 여기에서 화엄종취에 대해 정확히 정의를 내


리고 있습니다.




  곧 비우며 막고 곧 막으며 비추니


  쌍으로 비추며 쌍으로 막아서 둥글게 밝아 일관하면


  이 종취에 계합하는도다




  즉조이차, 곧 비추면서 막는다, 결국 모든 것이 융통자재했다.


즉 모든 것을 초월했다는 말입니다. 그런 동시에 즉차이조니 모


든 것이 융통한다는 말입니다.


  즉 모든 것을 초월할때에 모든 것이 다 융통해 버리고, 모든 것


이 융통할 때 모든 것이 다 초월해 있다는 말입니다. 그러니 쌍조쌍


차가 되지 않습니까. 쌍으로 다 통하고 양변을 초월했다, 즉 양변


이 서로서로 융통하고 양변이 서로서로 초월했다는 말입니다.


그렇게 되면 원명일관, 둥글게 밝다, 모든 것이 다 원만구족해진다


는 것입니다. 그렇게 일관할 것 같으면 계사종취, 화엄종취에


맞다 그 말입니다


  근본요지는 어느 곳에 있느냐 하면 화엄종취라는 것은 다른 곳에


있는 것이 아니고 쌍차쌍조에 있다. 그 말입니다. 쌍차쌍조라 하는


것을 확실히 바로 알면 이 화엄종취를 알 수 있습니다. 이것이 청량


국사의 화엄종취에 대한 정의입니다.




  천태스님은 말씀하시기를 "중도란 것이 쌍차쌍조이니 이것을 바


로 알면 중도인 동시에 일승이고 원교이고 법화도리다"라고 말씀하


셨으며, 청량스님은 "화엄이 원교인데 화엄도 또한 딴 것이 아니라


쌍차쌍조인데, 이 도리를 분명히 알 것 같으면 화엄도리의 종취를


알 수 있다"고 말씀했습니다.


  화엄에 대해 천태스님과 청량스님의 말씀이 다른 것은, 원교라는


것은 같은데 화엄종에서는 [법화경]을 대승종교라 해서 '최후의 교


리'이지 '원만원교'는 못 된다고 말씀하신 것이나, 그것은 서로서


로 입장이 다르기 때문에 이리도 표현하고 저리도 표현한 것입니다


  이랬든 저랬든 간에 불교에서 가장 구경인 최후 원리를 설한 경


을 화엄, 법화라 하는데, 이를 총칭하여 일승원교라 합니다. 그러니


일승원교란 그 대표적인 천태스님과 청량스님의 말씀과 정의에


의하면 쌍차상조하는 중도에 서 있는 것이 즉 화엄이요, 법화이다


이것입니다.


  쌍차쌍조라는 것, 이것이 이론적으로 들어가면 아주 어려운 것입


니다. 양변을 완전히 초월하여 양변이 완전히 합해서 통한다. 그러


면 화엄의 사법계가 벌어집니다.


  사법계는 '이법계, 사법계, 아사무애법계, 사사무애법계'를 말합니


다.


그런데, 결국 이사무애법계, 사사무애법계를 말하려고 이법계, 사법


계를 말한 것으로 이법계 중에 사법계가 있는 것이고, 사법계 중에


이법계가 있는 것이지, 이법게와 사법계가 따로 있는 것이 아닙니다.


  즉 이법계 사법계를 따로 세웠지만 각각 이법계 중에 사법계, 사


법계 중에 이법계, 이렇게 하여 이사가 무애입니다. 이사가 서로 거


리낌이 없다는 말입니다. 그러니 결국 천삼라 지만상이 하나도 무애


법계 아님이 없습니다. 그리하여 온 시방 세계의 모든 존재가 중도


아닌 것이 하나도 없고 절대 아닌 것이 하나도 없다, 이렇게 결론이


내려집니다. 이것이 화엄과 법화의 근본 이론입니다.


  그러면 현실 이대로가 절대로서, 내 말했듯이 극락세계를 딴 데


가서 구할 것 없고 천당을 딴 데 가서 구할 것이 없습니다. 실지 근


본원리인 쌍차쌍조하는 중도도리를 확실히 깨쳐 버리면 이대로


전체가 무애자재, 무장애법계인 것입니다.


  그러면 앉은 자리 선 자리가 극락입니다. 근본요지는 어디 있나


하면, 눈을 바로 떴나 못 떴나 이것입니다. 내가 항상 하는 소리이


지만 해가 아무리 떠 있다고 해도 눈감고는 광명이 안 보입니다. 아


무리 우리가 무애법계, 일승법계, 진여법계, 무장애법계에 살고 있


지만 눈을 감고 앉아서 자꾸 "안 보인다, 안 보인다"하면 그것 참


딱한 노릇 아닙니까


  참으로 다행한 것은 우리가 눈을 떴든지 감았든지 간에 이 무장


애법계, 광명의 세계가 있는 것은 사실이고, 거기에 살고 있는 것이


사실이라는 점입니다. 아무리 눈을 감고 엎어지고 자빠지고, 자빠지


고 엎어지고 하더라도 자기가 눈을 떠서 광명을 못 본다 그뿐이지


이 광명의 세계, 무애법계, 일진법계에 살고 있는 것은 사실입니다.


그러니 그 사실을 확신하고 노력하여 눈만 뜨면 모든 것이 다 해결


되는 것입니다.


  그런데 일진법계, 무애법계, 무장애법계, 이외에 그와 모순되는


말이 많이 있지만 그것은 전부 방편설입니다. 방편가설일 뿐 실설


이 아닙니다.


  그러니 어떻게 하든지 노력하여 실설을 따라가야지 방편가설인


줄 알면서 그것을 따라갈 필요는 없는 것입니다. 방편가설을 따라


간다면 그것은 좀 정신 없는 사람입니다.


  그렇지만 아직 나이 어려서 아무것도 모르는 유치원 꼬마들에게


아무리 대학 과정을 배우라고 해도 모르니 그것을 또 어떻게 해야


합니까. 그러니 할 수 없이 유치원 과정부터 배우는 것입니다. 일승


이 실지로 근본법은 근본법이지만 일승을 위해서는 방편가설이 전


부 다 필요한 것입니다.




  지금가지의 이야기를 종합해 보면, 시방국토 중에 유유일승법이라


일승법 뿐입니다. 본래 전체가 일승법계이고, 전체가 무애법계이고,


전체 이대로가 절대의 세계입니다.


  무이역무삼, 이승도 없고 삼승도 없는데 그러면 왜 부처님은 여러


가지 말씀을 하셨는가? 그게 모두 방편설입니다. 설사 아무리 방편


설을 설하였지만, 우리가 아무리 어둡다 어둡다 해대지만, 사람 개


개인 전체가 다 광명 속을 벗어나서 살 수는 없습니다. 눈을 감았


든가 떴든가 간에 눈을 감은 것과 뜬 것은 다르지만 광명속에, 일


진법계 속에, 무장애법계 속에 살고 있는 것만은 조금도 틀림이 없


습니다.


  그러면 이것이 가장 구경법이냐? 그건 아닙니다. 교리적으로 볼


때에는 일승법이 실이고, 삼승은 권이다. 이렇게 봅니다. 그러나


교리적으로 본다 해도 나중에 가서는 전체가 중도 아닌 것이 없습


니다. 삼승도 중도 아닌 것이 없게 되는 것입니다.


  그러면 그런 무애자재한 교리, 사법계라든지 제법실상이라든지


무애법계, 일승원교라 하는 것이 우리 불교의 구경이냐? 그게 아


닙니다. 교외별전인 선이란 것이 있습니다. 일승이니 하며 아무리


큰소리 해대지만 이것은 말에만 그칠 뿐, 말! 말이지 실은 아닙니


다. '교'라 하는 것은 뭐라고 하든 '말'이지 '실'은 아닙니다. 아무리


일승이 실법이라고 하지만 그것도 빨간 거짓말입니다.


  일승 이야기 아무리 해봤자 밥 이야기는 배 안 부릅니다. 아무 소


용없습니다. 이것 가지고는 해탈 못 한다. 그 말입니다. 이것만 가지


고서는! 밥은 실제 떠먹어야 됩니다. 그러니 오직 참으로 마음의 눈


을 뜨려면 참선을 해야 됩니다. 그것을 교외별전, 즉 선이라 하는


것입니다.


  '교'라 하는 것은 부처님 말씀이고, '선'이라 하는 것은 부처님 마


음을 전한 것인데, 말씀이란 것은 마음을 깨치기 위해 한 것이지 딴


것 아닙니다. 요리강의라는 것은 밥 잘 해 먹자는 것인데 밥 잘 해


먹자는 이외에 뭐가 있습니까, 요리강의를 천날 만날 해도 배가 부


르는가, 아무 소용없습니다.


  그러니 교외별전에서 볼 때는 일승 아니라 더한 일승이라도 이것


전부가 방편이고 전부 가설인 것입니다. 실지에 아무 소용없는 것


입니다. 진정스님 말씀이 있습니다.


 



  다함이 없는 자성바다는 한 맛이나


  그 한 맛마저 끊어져야 나의 선이다.




  무진성해 다함이 없는 자성바다, 자성바다 전체가 한맛이니, 일진


법계 무애법계다 그 말입니다. 일미라하는 그것이 즉 무애입니다.


어째서 일미가 무애냐 하면, 이 우주 세계라 하는 것은 차별로 되


어 있습니다. 선과 악이 다르다 그 말입니다.


  이것이 일미가 되려면, 한 맛이 되려면 서로 완전히 통해 버려야


됩니다. 안 통하면 한 맛이 안 됩니다. 결국 일미라 하는 것은 전부


가 통하는 세계, 색과 공이 통하고 모든 것이 다 통해 있는 세계인


것입니다.


  그러나 진정한 안목에서 볼 때는 일미상침시아선이라, 일미, 한


맛이란 것, 무애, 모든 것이 통했다는 것, 중도니 뭐니 해대지만 사


실에 있어 아무 소용이 없다. 그 말입니다. 실지와는 소용이 없는


것입니다. 그러니 항상 하는 소리 아닙니까


  "손가락을 가지고 달을 가리키면 달을 보지 손가락을 보지 말라"


일승불교가 "실이다, 실이다!"라고 하는 이것도 달을 가리키는 손


가락이지 달은 아닙니다. 그러니 여기에 얽매여도 안 됩니다. 결


국 화엄이니 법화니 하는 것이 "실이다, 실이다" 하고 자꾸 주장을


하지만 내용에 있어서는 달을 가리키는 손가락에 불과한 동시에 이


것도 방편가설입니다.


  화엄, 법화 일승원교가 다 방편가설인 줄을 분명히 알아야만 비


로서 자기 마음을 깨치는 길로 들어갈 수 있는 것이지 "일승원교가


참으로 우리 불교의 진리다, 그것이 구경이다, 최고다" 이렇게 할 것


같으면 실제에 있어서 우리가 항상 손가락에만 매달려 있지 달은


영원히 못 보고 만다는 말입니다.


  그래서 오늘 내가 말하고자 하는 것은 시방세계가 전부 일승불교


이며 일승도리인데, 일승도리라 하는 것은 무애법계 즉 중도에 서


있습니다. 이 중도란 불생불멸입니다. 또 양변을 여읜 것, 생멸이 완


전히 통하는 무애법계란 말입니다.


  이것을  '교'에서는 실이라 하여 구경법이라 하는데, 참으로 사실


을 알고 보면 이것도 일종의 방편이고 가설이며, 달 가리키는 손가


락이지 달은 아니더란 말입니다. 그러니 우리는 화엄이고 법화고


일승이고 원교고 다 내버려야 된다 이 말입니다. 저 태평양 한복판


에, 그리고 어떻게든 노력해서 손가락만 보지 말고 달을 봐야 되겠


다 이것입니다. 예전에 늘상 하신 말씀이 있습니다.



 


  부처님과 조사를 원수같이 보아야만


  비로소 공부할 분이 있도다




  그러면 예전 조사 스님들의 어록은 모두 실인 것 같은 생각이 들겠


지요, 물론 화엄, 법화와는 틀립니다. 그러나 나중에 참으로 바로 깨


쳐 놓고 보면 조사스님의 어록도 사실에 있어서 '눈 속가시'다 그 말


입니다.


  그래서 참으로 초불월조, 부처도 초월하고 조사도 초월하는 이런 출


격대장부가 되어야만 비로소 횡행천하하고 "내 말 한번 들어보라"고


하든지 "내 말 듣지 말아라" 하든지 할 수 있는 것이지, 이 방편에 얽


히고 저 방편에 얽히고 하여 이리 넘어지고 저리 넘어지고 하면 영원


토록 살아나지 못하는 것입니다.


  내가 또 이렇게 말하니, "허, 그러면 다 필요 없네, 그 뭐 화엄, 법화


도 필요 없고 조사어록도 필요 없다고 하는데, 그러면 그런 것 다 뭐


할 필요 있나, '이 뭣고!'만 하면서 앉아 있으면 안 되겠나!"


  그야 물론 그렇습니다. 그리 하면 그만이지만 그러나 아직 그리하지


못하는 사람에게는 유치원에서 유치원 과정이 필요하고 초등학교에


서는 그 수준에 맞는 과정이 필요하듯이 모든 방편이 다 필요한 것


입니다. 아직까지 유치원 자격밖에 안 되는 사람이 일초 직입여래지


한다고 말만 그렇게 들었지 실제로는 그렇게 안 됩니다.


  생각을 해보십시오, 조그만 돌도 하나 못 드는 어린애가 큰 바위


를 들려고 한다든지 태산을 짊어지고 가려고 하면 되겠습니까 안된


다 이 말입니다.


  이렇듯 자기 역량에 따라서 방편도 실이 되고 실도 방편이 되는


것이니, 우리가 모든 것에서 한 법에 국집해도 못쓰고 또 한법이라도


함부로 버려도 안 됩니다. 사람 사람이 그 정도에 따라서, 경우에


따라서 취할 것은 취하고 버릴 것은 버려야 합니다.


  원 근본은 "부처도 초월하고 조사도 초월해서 불타와 조사 보기를


원수같이 보아야만 참으로 공부할 분이 있다" 이 말입니다. 이것이


근본목표가 되어야 합니다. 그때서야 참으로 크게 눈을 뜨고 살불  


살조 하는 그런 대출격장부가 될 것입니다.



  이만 했으면 무엇이다 하는 것, 그에 대해 무엇을 취하고 어떻게 해


야겠다는 것을 우리가 다 알 수 있게 되었을 것이니, 강원에서는 경


부지런히 익히고 선방에서는 화두 부지런히 해가지고 어떻게든 자기


하는 공부를 하루바삐 빨리 성취하도록 노력합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