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장음(書狀音)

[서장 書狀] 종범스님 - 05 / 증개에게 보낸 두번째 편지 ①

쪽빛마루 2011. 11. 16. 20:56

▒ 서장 - 05 / 증개에게 보낸 두번째 편지 ① ▒ 

 

 

 

경주 장항리사지

사진 : 박근재

 

 

 又
公이 處身富貴호대 而ㅣ不爲富貴에 所折困하니 非ㅣ夙植般若種智면 焉能如是리요 但恐中忘此意하고 爲ㅣ利根耳怱明에 所障하야 以ㅣ有所得心이 在前頓放故로 不能於古人直截徑要處에 一刀兩段하야 直下休歇하나니 此病은 非獨賢士大夫라 久參*衲子도 亦然하야 多不肯退步하야 就ㅣ省力處ㅣ 做工夫하고 只以耳怱明意識計較思量으로 向外馳求하며 乍聞知識의 向ㅣ耳怱*明意識思量計較外하야 示以本分草料하야는 多是當面蹉過하고 將謂從上古德이 有ㅣ實法與人이라하나니 如ㅣ趙州放下著*과 雲門須彌山之類ㅣ 是也라하니라 巖頭ㅣ 曰ㅣ 卻物이 爲上이요 逐物이 爲下라하며 又曰大統綱宗은 要須識句니 甚麽是句오 百不思時를 喚作正句라하며 亦云居頂이라하며 亦云得住라하며 亦云歷歷이라하며 亦云惺惺이라하며 亦云恁麽時라하나니 將ㅣ恁麽時하야 等破一切是非니 纔恁麽면 便不恁麽라 是句도 亦剗이며 非句도 亦剗이니 如ㅣ一團火相似하야 觸著*便燒라 有ㅣ甚麽向傍處리요 今時士大夫ㅣ 多以思量計較로 爲窟宅하야 聞ㅣ恁麽說話하면 便道호대 莫落空否아하나니 喩ㅣ似舟未飜에 先自跳下水去라 此는 深可憐愍이로다 近至江西하야 見ㅣ呂居仁호니 居仁이 留心此段因緣이 甚久호대 亦深有此病이라 渠豈不是耳怱*明이리오만은 某嘗問之曰ㅣ 公이 怕落空하니 能知怕者는 是空耶아 是不空耶아 試道看하라 渠佇思하야 欲ㅣ計較祗對어늘 當時에 便與一喝호니 至今茫然하야 討巴鼻不著*이로다 此蓋以求悟證之心이 在前頓放하야 自作障難이요 非干別事니라 公은 試ㅣ如此做工夫하야 日久月深하면 自然築著磕著*이어니와 若欲將心待悟하면 將心待休歇인댄 從ㅣ月卻下參*하야 到ㅣ彌勒下生이라도 亦不能得悟이며 亦不能得休歇하고 轉加迷悶耳이니라 平田和尙이 曰ㅣ神光이 不昧하야 萬古徽猷니 入此門來인댄 莫存知解*라하며 又古德이 曰ㅣ此事는 不可以有心求며 不可以無心得이며 不可以語言造며 不可以寂黙通이라하니 此是第一等ㅣ 入泥入水인 老婆說話어늘 往往*에 參*禪人이 只ㅣ恁麽念過하고 殊不子細看ㅣ 是甚道理오하나니 若是箇ㅣ有筋骨底인댄 聊聞擧著*하고 直下에 將ㅣ金剛王寶劒하야 一截에 截斷此ㅣ四路葛藤則ㅣ生死路頭도 亦斷이며 凡聖路頭도 亦斷이며 計較思量도 亦斷이며 得失是非도 亦斷하야 當人의 月卻*跟下ㅣ 淨倮倮ㅣ 赤灑灑하야 沒可把하리니 豈不快哉며 豈不暢哉아 不見가 昔日에 灌谿和尙이 初參*臨濟할새 濟見來코 便下繩牀하야 驀胸擒住한댄 灌谿ㅣ 便云領領커이다 濟ㅣ 知其已徹하고 卽便推出하야 更無言句로 與之商量하니 當ㅣ恁麽時하야 灌谿ㅣ 如何思量計較로 祗對得이리요 古來에 幸有如此牓扌羕이어늘 如今人은 緫不將爲事하고 只爲麤心이로다 灌谿ㅣ 當初에 若有一點이나 待悟待證ㅣ待休歇底心이 在前이런들 時에 莫道被擒住便悟하라 便是縛卻*手月卻*하고 遶ㅣ四天下하야 拕一遭라도 也不能得悟하며 也不能得休歇하리라

 

[종범스님 불전연구소]

http://budcanon.or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