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제혜조선사 탑기(臨濟慧照禪師塔記)
스님의 휘(諱)는 의현(義玄)이시니, 조주(曹州) 남화(南華) 사람이시다. 속성은 형(邢)씨로서, 어려서는 남달리 영특하였으며 자라서는 효성으로 이름이 나셨다. 마침내 출가하여 구족계를 받고 강원에 계시면서 계율을 깊이 연구하시고 경론을 널리 공부하셨다. 그러다가 하루는 갑자기 "이는 세상 사람을 구제하는 약의 처방전일 뿐, 경전 밖에 따로 전하는 뜻은 아니다" 하며 탄식하시고는 곧 옷을 갈아입고 제방을 행각하였다. 맨 먼저 황벽스님을 참례하고 다음으로 대우스님을 친견하셨는데, 그 기연과 말씀들은 행록에 실려 있다.
황벽스님의 인가를 받고 하북으로 가서 진주성 동남쪽 호타하(滹沱河) 곁에 있는 작은 절에 머무셨으니, 그 '임제'라는 이름은 지역에서 붙여진 것이다. 그때 보화스님이 그곳에 먼저와서 거짓 미친 척하며 대중에 섞여 살았는데 성인인지 범부인지 헤아릴 수 없었다. 스님께서 그곳에 가시자마자 보좌해 드리다가 정작 스님께서 교화를 왕성하게 펴실 즈음에는 몸째로 가버렸으니, 이는 소석가(小釋迦)라 불리는 앙산스님의 예언에 부합된 것이었다. 그때 마침 난리가 나서 그곳을 떠나셨는데, 태위(太慰) 묵군화(默君和)가 성안에 있는 자기의 저택을 절로 희사하여 그대로 임제라는 액호로 현판(懸板)을 달고 스님을 맞아 계시도록 하였다.
뒤에 옷깃을 떨치고 남쪽으로 향하여 하북부(河北府)에 이르시니, 부주 왕상시가 제자의 예를 갖추어 맞이하였다. 얼마 되지 않아 곧 대명부(大名府)의 흥화사(興化寺)로 옮겨 동당에 기거하셨다. 스님께서는 병은 없으셨는데, 하루는 갑자기 옷깃을 여미고 자리에 앉으시더니 삼성(三聖)스님과 문답을 마치고 조용히 서거하셨다.
때는 당나라 함통(咸通) 8년 정해(丁亥, 867) 정월 열흘이었다. 문인들이 대명부 서북쪽에 탑을 세워 스님의 전신(全身)을 모시니 시호는 혜조선사(慧照禪師), 탑호는 징령(澄靈)이라 하였다. 합장하고 머리 숙여 스님의 약력을 쓰노라.
법제자 진주 보수사 주지 연소(延沼)는 삼가 쓰고,
법제자 대명부 흥화사 주지 존장(尊奬)은 교감하다.
師의 諱는 義玄이니 曹州南華人也라 俗姓은 邢氏니 幼而頴異하고 長以孝聞하니라 及落髮受具하야는 居於講肆하야 精究毘尼하고 博賾經論이러니 俄而歎曰 此는 濟世之醫方也요 非敎外別傳之旨로다 卽更衣遊方하야 首參黃檗하고 次謁大愚하니 其機緣語句는 載于行錄하니라 旣受黃檗印可하고 尋抵河北하야 鎭州城東南隅에 臨滹沱河側하야 小院住持하니 其臨濟는 因地得名이니라 時에 普化先在彼하야 佯狂混衆하니 聖凡을 莫測이라 師至卽佐之하야 師正旺化에 普化全身脫去하니 乃符仰山小釋迦之懸記也니라 適丁兵革하야 師卽棄去하니 大尉默君和가 於城中에 捨宅爲寺하니 亦以臨濟로 爲額하고 迎師居焉하니라 後에 拂衣南邁하야 至河府하니 府主王常侍가 延以師禮하니 住未幾에 卽來大名府興化寺하야 居于東堂하니라 師無疾하고 忽一日에 攝衣據坐하야 與三聖으로 問答畢하고 寂然而逝하니 時는 唐咸通八年丁亥 孟陬月十日也니라 門人이 以師全身으로 建塔于大名府西北隅하니 勅諡慧照禪師요 塔號澄靈이라 合掌稽首하야 記師大畧하노라
住鎭州保壽嗣法小師 延沼謹書
住大名府興化嗣法小師 存奬校勘
'선림고경총서 > 임제록·법안록臨濟錄·法眼錄' 카테고리의 다른 글
[법안록] 1. 행록 (0) | 2015.04.20 |
---|---|
[임제록] 후 찬 (0) | 2015.04.20 |
[임제록] 4. 행록 11~21. (0) | 2015.04.17 |
[임제록] 4. 행록 6~10. (0) | 2015.04.16 |
[임제록] 4. 행록 1~5. (0) | 2015.04.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