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림고경총서/나옹록懶翁錄

[어록] 1. 상당법어 24~27.

쪽빛마루 2015. 7. 8. 04:57

24. 승하하신 대왕의 빈전(殯殿)에서 소참법문을 하다

 

 스님께서 향을 들고 말씀하셨다.

 "손 가는대로 향을 집어 향로에 사르는 것은 승하하신 대왕 각경선가(覺穀仙駕 : 공민왕을 말함)께서 천성(千聖)의 이목을 활짝 열고 자기의 신령한 근원을 증득하게 하려는 것입니다."

 그리고는 향을 꽂으셨다. 스님께서는 법좌에 기대앉아 한참을 잠자코 있다가 주장자를 들고 말씀하셨다.

 "대왕은 아십니까. 45년 동안 인간세상에 노닐면서 삼한(三韓)의 주인이 되어 뭇 백성들을 이롭게 하다가, 이제 인연이 다해 바람과 불은 먼저 떠나고 흙과 물은 아직 남아 있습니다. 대왕은 자세히 들으소서. 텅 비고 밝은 이 한 점은 흙이나 물에도 속하지 않고 불이나 바람에도 속하지 않으며, 과거에도 속하지 않고 현재에도 속하지 않았으며, 가는 것에도 속하지 않고 오는 것에도 속하지 않으며, 나는 것에도 속하지 않고 죽는 것에도 속하지않습니다. 아무 것에도 속하지 않는다면 그것은 지금 어디로 가겠습니까?"

 주장자를 들고는 "이것을 보십니까?" 하고 세 번 내리치고는 "이 소리를 들으십니까?" 하고 한참을 잠자코 있다가 말씀하셨다.

 "허공을 쳐부수어 안팎이 없어 한 티끌도 묻지 않고 당당히 드러났다. 몸을 뒤쳐 위음왕불(威音王佛) 뒤를 바로 뚫고 가시오. 둥근 달 차가운 빛이 법상(法滅)을 비춥니다."

 향대를 한 번 내리치고 자리에서 내려오셨다.

    

 

25. 납월 8일 한 밤의 법문[晩參]

 

 스님께서 자리에 오르자 동당 · 서당의 스님들이 문안인사를 드렸다.

 스님께서는 죽비를 들고 말씀하셨다.

 "산승이 방장실에서 나와 이 자리에 오르자, 시자도 인사하고 수좌도 인사하고 유나(維那)도 인사하였다. 인사가 다 끝났는데 또 무슨 일이 있는가?"

 한 스님이 나와 말하였다.

 "오늘은 납월(臘月) 8일입니다."

 스님께서는 "대중 속에 들어가라" 하고 죽비를 들고 말씀하셨다.

 "우리 집에 한 물건이 있는데 위로 보아도 머리가 없고 밑으로 보아도 꼬리가 없다. 해같이 밝고 옷칠같이 검으며 세계가 생기기 전이나 산하가 멸한 후에도 허공에 가득 차 있다. 3세의 부처님네도 그것을 어찌할 수 없고, 역대의 조사님네도 그것을 어찌할 수 없으며, 천하의 큰스님들도 그것을 어찌할 수 없다. 그대들은 어찌할 수 있겠는가."

 한참을 잠자코 있다가 죽비로 탁자를 한 번 내리치고는, "산산조각이 났도다. 안녕히 계시오" 하고 자리에서 내려오셨다.

    

 

26. 경술 9월 16일 나라에서 시행한 

      공부선장(工夫選場)에서 법어를 내리다

 

  스님께서는 법좌에 올라가 한참 있다가 말씀하셨다.

  "고금의 격식을 깨부수고 범성의 자취를 모두 쓸어버리고 납승의 목숨을 끊어버리고 중생의 알음알이를 없애버려라. 죽이고 살리는 변통이 모두 때에 맞게 하는 데 있고 호령과 저울대가 모두 손아귀에 돌아간다. 3세의 부처님네도 그저 그럴 뿐이고 역대의 조사님네도 그저 그럴 뿐이며, 천하의 큰스님들도 그저 그럴 뿐이다.

산승도 다만 그런 법으로 우리 주상전하께서 만세 만세 만만세토록 색신(色信)과 법신(法身)이 무궁하시고 수명과 혜명(慧命)이 끝이 없기를 봉축하는 것이다. 바라건대 여러분도 모두 진실로 답안을 쓰고 부디 함부로 소식을 통하지 말라."

 학인들이 문에 이르자 스님께서 다시 말씀하셨다.

 "행은 지극한데 말이 지극하지 못하면 그것은 좋은 행이 될 수없고, 말은 지극한데 행이 지극하지 못하면 그것은 좋은 말이 될수 없다. 그러나 말도 지극하고 행도 지극하다 하더라고 그것은 다 문 밖의 일이다. 문에 들어가는 한마디는 무엇인가?"

 학인들은 모두 말없이 물러갔다.

 

 

입문삼구(入門三句)

 

문에 들어가는 한마디[入門句]는 분명히 말했으나

문을 마주한 한마디[當門句]는 무엇이며

문 안의 한마디[門裏句]는 무엇인가.

入門句分明道

當門句作麼生

門裏句作麼生

 

 

삼전어(三轉語)

 

산은 어찌하여 묏부리에서 그치고

물은 어찌하여 개울을 이루며

밥은 어찌하여 흰 쌀로 짓는가.

山何嶽邊止

水何到成渠

飯何白米造

 

 

17일에 법어를 내리다

 

 스님께서 향을 사른 뒤에 법좌에 올라가 한참을 잠자코 있다가 말씀하셨다.

 "의심덩이가 풀리는 곳에는 마침내 두 가지 풍광이 없고, 눈구멍이 열리는 때에는 한 항아리의 봄빛이 따로 있으니 비로소 일월의 새로움을 믿겠고 바야흐로 천지의 대단함을 알 것이다. 그런 뒤에 반드시 위쪽의 관문을 밟고 조사의 빗장을 쳐부수면 물물마다 자유로이 묘한 이치를 얻고 마디마디 종지와 격식을 뛰어넘을 것이다.

한 줄기 풀로 장육금신(丈六金身)을 만들고 장육금신으로 한 줄기 풀을 만드니, 만드는 것도 내게 있고 쓸어버리는 것도 내게 있으며, 도리를 말하는 것도 내게 있고 도리를 말하지 않는 것도 내게 있다. 왜냐하면 나는 법왕이 되어 법에 있어서 자재하기 때문이다."

 주장자로 한 번 내리치고 말씀하셨다.

 "과연 그런 납승이 있다면 나와서 말해 보라. 나와서 말해 보라."

 학인들이 문에 이르자 스님께서 또 말씀하셨다.

 "한 걸음 나아가면 땅이 꺼지고 한 걸음 물러나면 허공이 무너지며, 나아가지도 않고 물러나지도 않으면 숨만 붙은 죽은 사람이다. 어떻게 걸음을 내딛겠는가?"

 학인들은 모두 말없이 물러갔다.

 

 

공부십절목(工夫十節目)

 

1. 세상 사람들은 모양을 보면 그 모양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소리를 들으면 그 소리에서 벗어나지 못한다. 어떻게 하면 모양과 소리를 벗어날 수 있을까.

2. 이미 소리와 모양에서 벗어났으면 반드시 공부를 시작해야 한다. 어떻게 그 바른 공부를 시작할 것인가.

3. 이미 공부를 시작했으면 그 공부를 익혀야 하는데 공부가 익은때는 어떤가.

4. 공부가 익었으면 나아가 자취[鼻孔]를 없애야 한다. 자취를 없앤 때는 어떤가.

5. 자취가 없어지면 담담하고 냉랭하여 아무 맛도 없고 기력도 전혀 없다. 의식이 닿지 않고 마음이 활동하지 않으며 또 그때에는 허깨비몸이 인간세상에 있는 줄을 모른다. 이쯤 되면 그것은 어떤 경계인가.

6. 공부가 지극해지면 동정(動靜)에 틈이 없고 자고 깸이 한결같아서, 부딪쳐도 흩어지지 않고 움직여도 잃어지지 않는다. 마치 개가 기름이 끓는 솥을 보고 핥으려 해도 핥을 수 없고 포기하려 해도 포기할 수 없는 것 같나니, 그때에는 어떻게 해버려야 하겠는가.

7. 갑자기 120근 되는 짐을 내려놓는 것 같아서 단박 꺾이고 단박 끊긴다. 그때는 어떤 것이 그대의 자성(自性)인가.

8. 이미 자성을 깨쳤으면 자성의 본래 작용은 인연을 따라 맞게 쓰인다는 것을 알아야 한다. 무엇이 본래의 작용이 맞게 쓰이는 것인가.

9. 이미 자성의 작용을 알았으면 생사를 벗어나야 하는데, 안광(眼光)이 땅에 떨어질 때에 어떻게 벗어날 것인가.

10. 이미 생사를 벗어났으면 가는 곳을 알아야 한다. 4대는 각각 흩어져 어디로 가는가.

    

 

27. 왕사(王師)로 봉숭(封崇)되는 날 설법하다

      - 신해년 8월 26일 -

 

 스님께서 법좌에 올라 불자를 들고 한참을 잠자코 있다가 말씀하셨다.

 "그대들은 이 산승의 깊고 깊은 뜻을 아는가. 그저 이대로 흩어져버린다 해도 그것은 많은 일을 만드는 것인데, 거기다가 이 산승이 입을 열어 이러쿵저러쿵 지껄이기를 기다린다면 흰 구름이 만 리에 뻗치는 격이 될 것이다. 그러므로 말로는 사실을 그대로 표현할 수 없고 글로는 기연에 투합할 수 없다고 한 것이니, 말을 그대로 받아들이는 이는 뜻을 잃고 글귀에 얽매이는 이는 어둡다. 또한 마음으로 헤아리면 곧 어긋나고 생각을 움직이면 곧 어긋나며, 헤아리지 않고 움직이지도 않으면 물에 잠긴 돌과 같을 것이다.

 그러므로 우리 조사 문하에서는 길에서 갑자기 만나면 그대들이 몸을 돌릴 곳이 없고 영(令)을 받들어 행하면 그대들이 입을 열 곳이 없으며, 한 걸음 떼려면 은산철벽(銀山鐵璧)이요, 눈으로 바라보면 전광석화(電光石火)인 것이다. 3세의 부처님도 나와서는 그저 벼랑만 바라보고 물러섰고, 역대의 조사님네도 나왔다가는 그저 항복하고 몸을 감추었다.

 만일 쇠로 된 사람이라면 무심코 몸을 날려 허공을 스쳐 바로 남산의 자라코 독사를 만나고, 동해의 잉어와 섬주(陝州)의 무쇠소[鐵牛]*를 삼킬 것이며 가주(圈州)의 대상(大像)*을 넘어뜨릴 것이니, 3계도 그를 얽맬 수 없고 천 분 성인도 그를 가두어둘 수 없다. 지금까지의 천차만별이 당장 그대로 칠통팔달이 되어, 하나하나가 다 완전하고 낱낱이 다 밝고 묘해질 것이다.

 과연 그렇게 될 수 있겠는가. 그렇게 된다면 임금님의 은혜와 부처님의 은혜를 한꺼번에 갚을 수 있을 것이다."

 주장자를 들고 "그렇지 못하다면 이 주장자 밑의 잔소리를 들으라" 하고 내던지셨다.

-----------------------------------------------

* 섬주의 무쇠소 : 중국 섬주(지금의 하남성)에 있는 상징물. 황하를 수호하는 신으로서 머리는 하남에 있고 꼬리는 하북에 있다.

* 가주의 대상 : 당나라 현종 때에 사문 해통(海通)이 가주의 큰 강가에 높이 360척의 미륵불 석상을 만들었다.

'선림고경총서 > 나옹록懶翁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어록] 2. 짧은 글 1~8.   (0) 2015.07.08
[어록] 1. 상당법어 28~29.   (0) 2015.07.08
[어록] 1. 상당법어 19~23.  (0) 2015.07.08
[어록] 1. 상당법어 17~18.  (0) 2015.07.08
[어록] 1. 상당법어 13~16.   (0) 2015.07.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