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4. 삼관화두에 붙인 게송 / 보본 혜원(報本慧元)선사
호주(湖州) 보본사(報本寺) 원(慧元)선사가 황벽사에서 혜남(慧南)산사를 시봉할 때였다. 어느 날 달(達)상좌를 위해 물어보기 위하여 방장실에 들어가자 혜남스님이 말하였다.
"이미 통달[達]하였는데 무슨 일로 다시 찾아 왔는가?"
혜원선사가 "작은 일이라고 귀찮아 하지 마십시오"하자 혜남선사가 말하였다.
"네가 그놈을 두들겨 주고 내 쫓아라! 그는 나의 시자가 될 수 없다."
"일방적으로 그렇게 할 수는 없습니다."
마침내 혜남선사가 방장실로 들어가는데 혜원스님이 "가엾은 황벽이 용머리에 뱀꼬리가 되었구나" 하니 혜남선사는 미소를 지을 뿐이었다.
이어 동오지방을 돌아다니다가 고소산(姑蘇山) 남봉난야(南峰蘭若)에 머물면서 높은 기상을 지니고 산천을 즐기며 생활하였는데, 얼마 후 곤산(崑山) 혜엄(慧嚴)선사의 문하에서 공부한 관리들이 혜원(慧元)선사를 제 1세로 추대하였다.
그는 혜남스님의 화두에 풀이를 달았다. 혜남스님은 스님들을 보면 으레 먼저 "사람마다 태어난 인연[生緣]이 있는데 상좌의 인연은 무엇인고?"라고 묻고 그 다음엔 "내 손은 어찌하여 부처님의 손을 닮았고, 내 다리는 어찌하여 당나귀 다리를 닮았는가?" 를 물었다. 원선사는 여기에 두 수의 게송을 지어 붙였다.
만나면 으레 태어난 인연을 물으니
이 한 구절의 기봉은 가장 심오한 것
달마스님 소림사에 한 쪽 신발 남겨두고
총령으로 가셨다는 말씀 거짓이 아니구려.
相逢不免問生緣 一句當鋒旨最玄
達磨少林遺隻履 却登蔥嶺不虛傳
선문의 최고 관문을 뚫으려거든
부처님 손과 나귀 다리를 밝혀야 하네
가짜 황금으로 황금을 도금할 수 없는 법
제호를 독약으로 착각 말게나.
欲透宗門向上關 須明佛手與驢脚
眞金不使假金牧 莫認醍醐爲毒藥
혜원선사의 어록이 오늘날 모두 남아있는데 진정선사가 담당(湛堂)선사에게 물은 부분은 다소 표현이 다르기는 하지만 뜻은 같은 것으로 보인다. 그런데 지금 총림에서는 '부처님의 손, 나귀 다리'를 앞으로 하고, '태어난 인연'을 뒤로 놓았다. 이는 처음 물은 본 뜻과는 매우 어긋나므로 여기서 밝히지 않을 수 없다.
'선림고경총서 > 나호야록羅湖野錄' 카테고리의 다른 글
36. 하루종일 고목처럼 앉아 정진하다 / 조원(祖元)선사 (0) | 2015.08.21 |
---|---|
35. 오고 감에 자유롭게 / 우(祐)상좌 (0) | 2015.08.21 |
33. 적음존자의 참선 (0) | 2015.08.21 |
32. 회당선사께 법문을 청하는 글 / 서희(徐禧) (0) | 2015.08.21 |
31. 세 번 도전에서 세 번 낙방하다 / 상방 악(上方岳) 선사 (0) | 2015.08.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