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림고경총서/고애만록枯崖漫錄

차례

쪽빛마루 2015. 11. 14. 08:49

차례

 

해제(解題)

서(1)

서(2)

발문

 

  고애만록 上


1. 견처(見處) / 원통사(圓通寺) 종조암주(宗照庵主)
2. 산새 울음소리를 듣고 / 자혜 조파(慈慧祖派)선사
3. 선 공부로 노년을 마무리한 정승 / 장정공 황조순(黃祖舜)
4. 옛사람 화두에서 기용(機用)을 환히 보다 / 절옹 불심(浙翁佛心)선사
5. 고상한 기풍, 뛰어난 운치 / 서향 열(瑞香烈)암주
6. 밀암스님의 개당법회에서 / 철편 윤소(鐵鞭允韶)선사
7. 불탄절법문 / 만암 치유(萬庵致柔)선사
8. 한 차례의 뺨따귀 / 개당 총(芥堂牕)선사
9. 황룡의 골수를 얻은 자손 / 진원 혜일(眞源慧日)선사
10. 똥더미 위에 부처님 / 애당 묘담(愛堂妙湛)선사
11. 불행 숭(佛行菘)선사의 상당법문
12. 긍당 언충(肯堂彦充)선사의 염송
13. 산문 밖을 나서지 않다 / 보봉사(寶峰寺) 단(端)암주
14. 목동으로 출가하여 / 월림 사관(月林師觀)선사
15. 조원 도생(曹源道生)선사의 대중법문
16. 송원 숭악(松源崇岳)선사의 깨침
17. 지옹 상(止翁祥)선사의 대중법문
18. 월림 사관(月林師觀)선사 회중의 탁발승
19. 스승의 말씀을 지키며 살다 / 복당 명(福唐明) 수좌
20. 절옹 불심(浙翁佛心) 선사가 여찬(如璨) 스님에게 내린 법어
21. 보수개당(保壽開堂)의 기연을 염(拈)하다 / 명극 혜조(明極慧祚)선사
22. 사천(四川) 중 파암 조선(破庵祖先)선사
23. 개로일(開爐日) 설법 / 묘봉 희(妙峯喜)선사
24. 야반백주(夜半白晝) 화두를 들어 설법하다 / 백졸 선등(百拙善登)선사
25. 야운 처남(野雲處南)선사의 대중법문
26. 거미를 노래함 / 순암 정(淳庵淨)선사
27. 퇴암 도기(退庵道奇)선사의 대중법문
28. 욕지거리 불사(佛事) / 방광 조(方廣照)선사
29. 단하(丹霞)스님 찬과 스스로 지은 묘지문 / 귤주 보담(橘州寶曇)선사
30. 무제 요파(無際了派)선사의 상당법문과 게송

31. 나암 조(螺庵肇) 선사의 조사찬과 영정에 붙인 글
32. 답변을 시험해 보려는 태도 / 금화사(金華寺) 원(元)수좌
33. 일심발원, 용맹정진 / 몽암 총(蒙庵聰)선사
34. 행각하고 참선하고 / 소옹 묘감(笑翁妙堪)선사
35. 사람마다 분수가 있는 법 / 자목 겸(自牧謙)선사
36. 정진과 법문 속에 보내는 노년 / 묘봉 지선(妙峯之善)선사
37. 천동사 여정(如淨)선사의 게송과 법문
38. 고원 조천(高原祖泉)선사의 법문
39. 공수 종인(空叟宗印)선사의 선재동자 게송
40. 상주물에 대하여
41. 퇴곡 의운(退谷義雲)선사의 기변
42. 적조 명(寂照明)수좌의 게송
43. 쌍경사(雙徑寺) 불심(佛心)선사의 법석
44. 은산 요찬(隱山了璨)선사의 상당법문과 열반일 법문
45. 「증도가」 한 구절에 / 고원 조천(高原祖泉)선사
46. 은산(隱山)선사와 막재거사(莫齋居士) 장불(蔣芾)
47. 풍번화두에 대한 두 스님의 지도 / 천목 문례(天目文禮)선사
48. 송원(松源)스님 영정찬 / 소실 목(少室睦)선사
49. 깊은 골짜기에서 일생을 마치리라 마음먹고 / 본진(本眞)서기
50. 조주선사와 문원사미의 이야기를 거량하다 / 수암 서(秀嵓瑞)선사

 고애만록 中


1. 토굴을 떠나지 않는 이유 / 토낭산(土囊山) 조현(祖賢)수좌
2. 철편 소(鐵鞭韶)선사의 개당법문
3. 벼슬도 마다하고 삭발을 / 각암 조찬부(覺庵趙贊府)
4. 파암 조선(破庵祖先)선사의 참선
5. 마조대사의 일면월면(日面月面)에 붙인 게송 / 수암 서(秀巖瑞)선사
6. 경산 겸(徑山謙)수좌가 주자(朱子)에게 보낸 편지
7. 북간 거간(北磵居簡)선사의 게송
8. 문충공 진덕수(文忠公眞德秀)의 꿈
9. 백암 응(栢巖凝)선사의 대중법문
10. 수암 서(秀巖瑞)선사와 목암(木庵)선사의 만남
11. 쌍삼(雙杉)선사를 인가하다 / 철편 소(鐵鞭韶)선사
12. 도반의 마음씨 / 소암 요오(笑庵了悟)선사와 송원 무용(無用)선사
13. 율종을 진작하다 / 소옹 묘감(笑翁妙堪)선사
14. 암자를 기다리는 법의 / 송원 숭악(松源崇岳)선사
15. 불탄일 설법 / 절조 감(絶照鑑)선사
16. 긍암 원오(肯庵圓悟)선사의 황벽사 부임
17. 한채 임공우(林公遇) / 벼슬에 뜻없이 불법에 심취하다
18. 동산 도원(東山道源)선사의 게송
19. 정씨 집안의 훌륭한 스님들
20. 태사 사위왕(史衛王)의 존경을 받다 / 고선 자경(枯禪自鏡)선사
21. 무제(無際)선사의 개당법회에서 / 오봉 정(鼇峰定)선사
22. 성도절 상당법문 / 별포 법주(別浦法舟)선사
23. 국사(國史) 진귀겸(陳貴謙)의 「종경록」간행에 부쳐 / 쌍삼 원(雙杉元)선사
24. 서산 양(西山亮)선사의 게송

25. 까마귀 머리 무준 불감(無準佛鑑)선사의 깨침

26. 동짓날 소참법문 / 정산 밀(井山密)선사
27. 즉암 자각(卽庵自覺)선사의 게송
28. 설두 무상(雪竇無相)선사의 상당법문
29. 무명 혜성(無明慧性)선사의 염고(拈古)
30. 백암사 선사의 산수화와 시
31. 중암 적(中巖寂)선사의 대중법문
32. 천목 문례(天木文禮)선사의 게송
33. 한가위에 도반에게 보낸 게송 / 단봉 원(短蓬遠)
34. 개로일(開爐日) 상당법문 / 석전 법훈(石田法薰)선사
35. 혼원 담밀(混源曇密)선사의 대중법문
36. 국사 진귀겸(國史陳貴謙)이 사인 진덕사(舍人眞德秀)에게 보낸 편지
37. 대천 보제(大川普濟)선사의 게송
38. 산음 청(山陰淸)수좌의 산초나무 송(頌)
39. 몽당 승(夢堂升)선사의 염고(拈古)
40. 파암(破庵) 노스님의 말씀 / 석전 법훈(石田法薰)선사
41. 썰렁한 절에서 만난 눈썹 하얀 노승 / 소옹 묘감(笑翁妙堪)선사
42. 문장 좋아하는 병통을 경계함 / 철우 인(鐵牛印)선사
43. 친척권속과 인연을 끊고 혼자 살다 / 민산거사 유경현(閩山居士 兪景賢)
44. 쌍삼 원(雙杉元)선사의 정진 / 장락 규(長樂珪)장주
45. 석실 휘(石室輝)선사의 행리
46. 국사 진귀겸(國史陳貴謙)과 월림 사관(月林師觀)선사와의 만남
47. 무량 숭수(無量崇壽)선사가 태사 사위왕(史衛王)에게 보낸 편지
48. 석전 법훈(石田法薰)선사의 고구정녕한 말씀
49. 불법대의 / 죽암 묘인(竹巖妙印)선사
50. 거짓말 하는 도반을 나무라다 / 대천 제(大川濟)선사
51. 사대육신에 대하여 / 요당 제(拗堂濟)선사

 고애만록 下


1. 훌륭한 선지식을 두루 섬기다 / 몽암 총(蒙庵聰)선사
2. 무준 불감(無準佛鑑)선사의 염고(拈古)
3. 성리학으로는 해결할 수 없는 문제 / 이암 옥(伊巖玉)선사
4. 묘희(妙喜)스님이 시랑 장자소(張子韶)와 풍제천(馮濟川)에게 던진 질문

   / 진원 일(眞源日)선사
5. 동산 도원(東山道源)선사의 행리
6. 설소(雪巢)스님의 풍번(風幡)화두에 대한 거량 / 진원 일(眞源日)선사
7. 부도탑에서 읊은 게송 / 남산 융(南山隆)수좌
8. 회암 휘(晦嵓暉)선사의 하안거 해제 법문
9. 판관이라는 별명이 붙은 스님 / 절옹 순(岊翁淳)선사
10. 승천사(承天寺) 승당기(僧堂記) / 천산 태초(泉山太初)선사
11. 소암 울(嘯巖蔚)선사의 섣달 그믐 대중법문
12. 치절 도충(癡絶道冲)선사의 말년 법문
13. 절조 감(絶照鑑)선사의 상당법문
14. 석전 법훈(石田法薰)선사의 게송과 염고(拈古)
15. 자기 초상화에 글을 붙이다 / 진정대사 덕영(德英)
16. 월굴 청(月窟淸)선사의 출가와 수행
17. 청열(淸烈)암주의 입멸
18. 눈 내리는 날의 상당법문 / 낙암 원조(諾庵元肇)
19. 세 구절의 게송으로 제자를 가르치다 / 고월 조조(古月祖照)선사
20. 한재 임공우(寒齋林公遇)의 임종게
21. 용계 문(龍溪聞)선사의 행리
22. 절옹 순(岊翁淳)선사의 법문
23. 감당키 어려운 주지노릇 / 벽지암주(辟支巖主) 입견(立堅)
24. 동곡 광(東谷光)선사 영전에 바친 제문 / 동간 탕한(東澗湯漢)
25. 욕쟁이 질여 담(蒺藜曇)선사
26. 강원에서 공부하다가 행각을 떠남 / 엄실 개(掩室開)선사
27. 단오절 대중법문 / 쌍삼 원(雙杉元)선사
28. 화두를 깨닫고 다시 선지식을 찾아뵙다 / 형수 여각(荊叟如珏)선사
29. 반듯한 천성, 민첩한 기용 / 북산 신(北山信)선사
30. 말 많은 요즘 납자들 / 고선 자경(枯禪自鏡)선사
31. 항우의 초상화에 붙인 글 / 치절 충(癡絶冲)선사
32. 개석 지붕(介石智朋) 선사의 하안거 해제 야참법문
33. 영은사 주지가 되어 / 석전 법훈(石田法薰)선사
34. 돈으로 주지자리 사는 풍조에 대해 부당함을 조정에 알리는 상소

     / 쌍삼 중원(雙杉中元)선사
35. 고춘 담(枯椿曇)선사의 학인지도
36. 운소 암(雲巢巖)선사의 개로일 법문
37. 남옹 명(南翁明)선사의 발심과 수행
38. 서산 양(西山亮)선사의 종이이불
39. 눌당 변(訥堂辯)선사가 도반에게 보낸 게송
40. 별봉 진(別峰珍)화상의 사람됨과 수행 / 개석 붕(介石朋)선사
41. 불법을 묻든 세상사를 묻든 / 수징암주(守懲庵主)
42. 불해 심월(佛海心月)선사의 법문과 자취
43. 두타행을 하다 간 거사 왕공대(王孔大)
44. 서암 요혜(西巖了惠)선사의 대중법문
45. 승상 정청지(鄭淸之)와 묘봉 지선(妙峰之善)선사의 만남
46. 원(遠)상좌 다비식에서 / 월산사(越山寺) 법심(法深)선사
47. 은자 조창(祖昌)암주
48. 75세에 참회하고 빚갚은 노인 / 황윤(黃允)
49. 별옹 견(別翁甄)선사의 세존 정각송(正覺頌)에 대한 염(拈)을 평하다

'선림고경총서 > 고애만록枯崖漫錄'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고애만록 上 7~11.  (0) 2016.01.21
고애만록 上 1~6.  (0) 2016.01.20
발문  (0) 2015.11.14
서 (2)  (0) 2015.11.14
서 (1)  (0) 2015.11.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