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6. 여우 같은 의심이 다하여 맑아지면 바른 믿음이 고루 발라지며
狐疑가 淨盡하면 正信이 調直이라
호 의 정 진 정 신 조 직
자기의 일체 변견과 망견을 다 버리면 의심이 없어진다는 말입니다.
그러므로 바른 믿음이 화살같이 곧게 서 버렸다는 것입니다.
바른 믿음(正信)이란 신(信).해(解).오(悟).증(證)의 전체를 통한 데서
나오는 믿음이며, 처음 발심하는 신심(信心)을 의미하는 것은 아닙니다.
구경을 성취하면 바른 믿음이라 하든 정각(正覺)이라 하든 여기서는 뭐라
해도 상관 없으니, 이것이 일정한 법칙이 있지 않는 것입니다.
바른 믿음이 수행의 지위가 낮고 정각은 수행의 지위가 높은 것으로
생각할는지 모르겠으나, 근본을 바로 성취한 사람을 믿음이라, 각(覺)이라,
부처라, 중생이라, 조사라, 무어라 해도 상관 없습니다. 실제에 있어서는
변견을 여의고 중도를 바로 성취했느냐 못했느냐 하는 것이 문제이지,
이름은 무엇이라 해도 괜찮은 것입니다.
57. 일체가 머물지 아니하여 기억할 아무 것도 없도다.
一切不留하야 無可記億이로다
일 체 불 류 무 가 기 억
객관적으로 일체가 머물지 못한다거나 주관적으로 일체를 머물게 하지
않는다고 하면, 어떤 머물 것이 있고 머물지 못할 것이 있는 것처럼 됩니다.
때문에 여기에는 능(能).소(所)가 붙으므로 바른 해석이 되질 않습니다.
여기서는 바른 믿음이 곧고 발라서 진여자성이 현전해 있기 때문에 일체가
머물지 못하고 또한 일체를 머물게 하지 않는다는 것입니다. 그렇게 되면
무엇을 기억할래야 할 것이 없습니다. 거기에는 부처도 조사도 찾아 볼 수
없는데 무슨 기억을 할 수 있겠냐는 뜻입니다.
'신심명' 카테고리의 다른 글
30. [신심명] 眞如法界엔 無他無自라 (0) | 2010.02.02 |
---|---|
29. [신심명] 虛明自照하야 不勞心力이라 (0) | 2010.02.02 |
27. [신심명] 究竟窮極하야 不存軌則이요 (0) | 2010.02.02 |
26. [신심명] 止動無動이요 動止無止니 (0) | 2010.02.02 |
25. [신심명] 一如體玄하야 兀爾忘緣하야 (0) | 2010.02.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