차례
해제
서문(1)
서문(2)
발문(1)
발문(2)
인천보감
1. 승보 / 담광(曇光) 법사
2. 법화선문 / 대선(大善) 선사
3. 두타행 / 좌계 현랑 (左溪玄朗) 존자
4. 자기 부처 / 무상(無相) 선사
5. 조계 근원 / 덕소(德韶) 국사 6. 소금 한줌 / 지자 지의(智者智顗) 선사 7. 무작계(無作戒) / 택오(擇梧) 율사 8. 불법을 위해 죽는다면 / 진종(眞宗) 황제 9. 대중은 없어도 / 법창 의우(法昌倚遇) 선사 10. 나태함을 일깨운 입적 / 법지 지례(法智知禮) 존자 11. 소동파의 신규각 비문 / 대각 회련(大覺懷璉) 선사 12. 공덕(功德) / 보지(寶誌) 선사 13. 화엄경을 칭송함 / 손사막(孫思邈) 14. 참학(參學) 하는 일/ 양억(楊億) 15. 전생에 쓴 능가경 / 장문정공(張文定公) 16. 몹쓸 병으로 죄값을 치르다/ 기(頎) 선사 17. 석란문(繹亂文) / 희안(希顔) 수좌 18. 공양할 때든, 목욕할 때든 / 범(梵) 법주 19. 사명 법지스님을 추억하며 / 자운 준식(慈雲遵式) 법사 20. 왕자로 태어나서 사문이 되다 / 용호 문 (龍湖聞) 선사 21. 방장실을 짓지 않고 대중과 함께하다 / 수기(修己) 선사 22. 전생의 원(願)을 이어 / 변재 원정(辯才元淨) 법사 23. 대중공사를 통해 살림의 법도를 정하다 / 부용 도해(芙蓉道楷) 선사 24. 부뚜막 앞에서 선정에 들다 / 지자 의(知者顗) 선사 25. 비구라는 말의 뜻/ 대지(大智) 율사 26. 주지살이 / 영원 유청(靈源惟淸) 27. 좋은 인연들 / 장구성(張九成) 28. 도반될 자격 / 지화(知和) 암주 29. 조산(曹山)의 가풍 / 조산 탐장(曹山眈章) 선사 30. 독설로 불사를 짓다 / 법운 법수(法雲法秀) 선사 31. 자기 제문을 짓다 / 고산 지원(孤山智圓) 법사 32. 소동파의 옥대 / 요원(了元) 선사 33. 원력의 영험 / 현장(玄藏) 법사 34. 고승의 진영 / 배휴(裴休) 35. 백련결사에서 공부한 거사 / 유정지(劉程之) 36. 정토수행을 한 거사 / 왕일휴(王日休) 37. 좌선의 요법 / 정상좌(靜上坐) 38. 노자의 도를 닦다가 불법을 만나다 / 오설초(吳契初) 39. 목선암(木禪菴) / 대수 법진(大隋法眞) 선사 40. 수도자는 가난해야 한다 / 광혜 원련(廣慧元璉) 선사 41. 화엄경을 읽다가 / 광효 지안(光孝志安) 선사 42. 정종기(正宗記) / 명교 설숭(明敎契嵩) 선사 43. 감통전기(惑通傳記) / 도선(道宣) 율사 44. 지자 지의대사의 행적 45. 30년을 절 안에서 살다 / 여산 혜원(廬山慧遠) 법사 46. 위산의 주인 / 위산 영우(潙山靈祐) 선사 47. 진영 찬(讚) / 정인 도진(淨因道臻) 선사 48. 법화경을 외우다가 깨침 / 증오 지(證悟智) 법사 49. 교 · 관을 닦음 / 동산 능행인(能行人) 50. 작은 지조, 큰 불법 / 분양 선소(汾陽善昭) 선사 51. 불로관(不老觀) / 도사 장평숙(張平淑) 52. 8만겁을 산다해도 / 도사 여동빈(呂洞賓) 53. 봉급을 털어 불경을 사다 / 풍즙(馮楫) 거사 54. 벼락소리에 깨치다 / 조변(趙抃) 55. 작은 석가 / 앙산 혜적(仰山慧寂) 선사 56. 승려의 자리를 지킴 / 도(道) 법사 57. 가장 모진 병 / 회암 미광(晦庵邇光) 선사 58. 지자대사의 두타행을 잇다 / 바야(波若) 스님 59. 연경정토원기(延慶淨土院記) / 정언 진료옹(正言陳了翁) 60. 훌륭한 스승과 훌륭한 제자 / 행소(行紹) 대사 · 행정(行靖) 법사 61. 승직을 버리고 은거하다 / 해월 변(海月辯) 선사 62. 출가자는 모두 석(繹)씨다 / 불인요원(佛印了元) 선사 63. 다라니를 외면 사리가 나오다 / 천축 오(悟) 법사 64. 선을 닦는 학인에게 고함 / 회당 조심(晦堂祖心) 선사 65. 3교 성인의 가르침 / 효종(孝宗) 황제 66. 파초와 대나무를 벗삼아 / 가구(可久) 스님 67. 정토에 오고감 / 양차공(楊次公) 68. 동정(動靜) 법문 / 현사 사비(玄沙師備) 선사 69. 불상이 허물어져도 / 문로공(文潞公) 70. 스스로 강에 장사지내다 / 묘보(妙普) 수좌 71. 정토를 눈앞에 보다 / 우(愚) 법사 72. 수식관(數息觀) / 소동파(蘇東坡) 73. 대지율사(大智律師)의 행적 74. 대혜 종고선사의 행적 75. 금강경 송(頌) / 야보 천(冶父川) 선사 76. 개에게는 불성이 없다는 화두를 들다가 / 덕산 연밀(德山緣密) 선사 77. 곳곳마다 고향 / 신조 본여(神照本如) 법사 78. 돌배나무의 무위(無爲)를 본받다 / 사암 엄(樝庵嚴) 법사 79. 세속의 명리를 좇다가 덕을 잃다 / 무명씨(無名氏) 80. 목욕탕에서 한 법문 / 무명씨(無名氏) 81. 먹고 쉴틈도 없이 화두를 들다 / 분암주(分庵主) 82. 밤낮으로 참구하다 / 영원 유청(靈源惟淸) 선사 83. 49일 동안 서서 공부하다 / 불등 수순(佛燈守珣) 선사 84. 선원없던 곳에 선원을 세우다 / 선섬(善暹) 선사 85. 선문에서 정토수행도 아울러 하다 / 원조 종본(圓照宗本) 선사 86. 행주좌와에 생사를 살펴라 / 앙산 원(仰山圓) 선사 87. 진여 철(眞如喆) 선사와 양기 회(楊岐會) 선사에 대한 평 / 대혜(大慧) 선사 88. 어머니의 충고 / 석창 법공(石牕法恭) 89. 불교의 효(孝) 90. 유교의 장부, 불교의 장부 / 목암 유붕(牧庵有朋) 법사 91. 천태의 도가 사명(四明)존자 때문에 망할 것이다 / 무외 구(無畏久) 법사 92. 대혜(大慧) 선사와 굉지(宏智) 선사 93. 조그만치의 게으름도 용납 않다 / 원각사 자(慈) 법사 94. 관음보살의 응화 / 마조(馬祖) 선사 95. 말세의 본보기가 될 만한 자비 / 고암(高庵) 선사 96. 참선의 기쁨 / 황태사(黃太史) 97. 죽은 고양이를 팔다 / 간당 기(簡堂機) 선사 98. 산 감자 구워 먹는 풍모 / 은산(隱山) 선사 99. 밤마다 관(棺)에 들어갔다가 / 오자재(吳子才) 100. 형(兄)에게 음식값을 받다 / 적실 광(寂室光) 선사 101. 참선과 법문으로 밥을 삼다 / 장령 탁(長靈卓) 선사 102. 불조선사에게 보낸 글 / 효종(孝宗) 황제 103. 제자들에게 내린 훈시 / 자항 박(慈航朴) 선사 104. 선종과 교종의 화합 / 초암록(草庵錄) 105. 황룡 심(心)선사의 행적 106. 살 터를 꿈속에서 미리 보다 / 천동 각(天童覺) 선사 107. 구양수가 만난 노승 108. 장경보시 발원문 / 풍제천(馮濟川) 거사 109. 경계하는 글 / 북봉 인(印) 선사 110. 묘총(妙總) 비구니의 행적 111. 자인삼매(慈忍三昧)를 얻고 / 도담(道曇) 법사 112. 철공장이 출신 곽도인(郭道人) 113. 이암 권(伊庵權) 선사의 행적 114. 부젓가락 하나라도 절 물건은 / 동산 연(東山淵) 선사 115. 남의 허물을 일러바친 제자를 내쫓다 / 별봉 인(別峯印) 선사 116. 잠시라도 정신이 딴 데 가면 / 단하 순(丹霞淳) 선사 117. 죽는 순간에도 정신 차리고 / 소각 조(昭覺祖) 수좌 118. 불교배척의 결과 119. 서왕(舒王)의 해박한 불교지식 120. 유위법만 닦다가 화두선을 하다 / 법진(法眞) 비구니 121. 몸을 잊고 구도하다 / 신광(神光) 스님 122. 종경록(宗鏡錄) / 영명연수(永明延壽) 선사
'선림고경총서 > 인천보감人天寶鑑' 카테고리의 다른 글
2. 법화선문 / 대선(大善)선사 (0) | 2015.07.20 |
---|---|
1. 승보 /담광(曇光) 법사 (0) | 2015.07.20 |
발 문 (2) (0) | 2015.07.20 |
발 문 (1) (0) | 2015.07.20 |
서 문 (2) (0) | 2015.07.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