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제
나호야록(羅湖野錄)은 송대(宋代)에 효영 중온(曉瑩仲溫)스님이 편집한 것으로 스님들과 유학자 등 약 100여 명의 불법에 대한 기연 및 게송 등을 수집하고 각각의 일화마다 그 끝에 효영스님 자신의 의견을 붙여 두었다.
효영스님이 직접 서문을 쓴 시기는 소흥(紹興) 을해(1155)년이고, 또 이 책에 대해 묘총(妙總)스님이 발문을 쓴 시기는 소흥(紹興) 경진(1160)년이다.
수록된 스님들은 주로 임제종의 황룡 혜남(黃龍慧南, 1002~1069)스님과 양기 방회(楊岐方會, 993~1046)스님의 제자들로서 황룡파와 양기파의 스님들을 치우침없이 널리 수록하고 있으며, 수록된 스님중 가장 늦은 연대는 설당 도행(雪堂道行, 1088~1151)스님이다.
그 외에도 천의 의회(天衣義懷, 992~1064)스님을 비롯한 운문종 스님에 대한 것이 많고, 조동종 · 법안종 등의 스님에 대한 것도 수록하였다.
그리고 번역과정에서 이 책에 수록되어 있는 임제종 및 운문종의 계보를 정리하여 함께실었다.
송(宋) 원우(元祐, 1086~1093) 연간에는 특히 스님들과 유학자와의 교류가 많았던 시기로서 조변(趙抃), 장상영(張商英), 황정견(黃庭堅), 부필(富弼) 등 유학자와 스님들과의 교류관계가 비교적 소상하게 적혀 있다. 또 일반적인 사서(史書)에서처럼, 이 나호야록에서도 조사당(祖師堂)의 성립, 양서암(洋嶼菴)의 생활 규칙 등을 통해서 선원생활의 변화등을 살펴 볼 수 있다.
이 책을 편집한 효영스님은 임제종 대혜스님의 법제자로서, 자는 중온(仲溫)이다. 스님의 생몰연대는 알 수 없으나, 만년에 나호(羅湖)에 주석하면서 이 나호야록(羅湖野錄)을지었다. 그 외에도 감산(憨山)의 운와암(雲臥菴)에서 「 운와기담(雲臥記譚) 」2권을 저술 하였다.
<임제종 법계도>
임제 의현
(臨濟義玄)
ㅣ
수산 성념 -- 섭현 귀성 -- 부산 법원
(首山省念)ㅣ (葉縣歸省) ㅣ (浮山法遠)
ㅣ ㅣ
ㅣ - 보응 법소
ㅣ (寶應法昭)
ㅣ
--분양 선소 -- 파초 곡천
ㅣ (汾陽善昭)ㅣ (芭蕉谷泉)
ㅣ ㅣ
ㅣ ㅣ-낭야 혜각 - 정혜 초신 - 궁륭지원
ㅣ ㅣ (瑯瑘慧覺) (定慧超信) (穹窿智圓)
ㅣ ㅣ
ㅣ -석상 초원 - 청소 시자
ㅣ (石霜楚圓)ㅣ (淸素)
ㅣ ㅣ
ㅣ ㅣ-자복선
ㅣ ㅣ (資福善)
- 광혜 원련 - 양억 ㅣ
(廣慧元璉) (楊億) ㅣ-취암 가진 - 진여 모철---
ㅣ (翠巖可眞) (眞如慕喆) ㅣ
ㅣ ------------
ㅣ ㅣ
ㅣ ㅣ - 보융 도평 - 만암 성
ㅣ ㅣ ㅣ (普融道平) (蹣庵成)
ㅣ-황룡 혜남 ㅣ ㅣ
ㅣ (黃龍慧南) ㅣ-ㅣ-늑담 경상 - 계하 덕굉
ㅣ ㅣ (泐潭景祥) (啓霞德宏)
ㅣ ㅣ
- 양기방회 -동명 인천
(楊岐方會) (東明仁遷)
황룡 혜남 -- 상남 순 --- 소철 - 소산 요상 / 도솔 혜조 / 자운 명감 /
(黃龍慧南)ㅣ (上藍順) (蘇轍) ㅣ(疎山了常) (兜率慧照) (慈雲明鑒)
ㅣ ㅣ 청계 지언 / 나한 혜의 /
ㅣ- 진정 극문--도솔 종열 --- 장상영 (淸谿志言) (羅漢慧宜)
ㅣ (眞淨克文)ㅣ(兜率從悅) (張商英) 양기 자원 / 광혜 수진 /
ㅣ ㅣ (楊岐子圓) (廣慧守眞)
ㅣ ㅣ-혜일문아 -- 감천 지선
ㅣ ㅣ (慧日文雅) ㅣ (灨天智宣)
- 보본 혜원 ㅣ ㅣ
ㅣ(報本慧元) ㅣ-각범혜홍 ㅣ
ㅣ ㅣ(覺範慧洪) ㅣ
ㅣ ㅣ ㅣ
ㅣ- 조각 상총 ㅣ-담당 문준 ㅣ
ㅣ (照覺常總) ㅣ (湛堂文準) ㅣ
ㅣ ㅣ -구선 법청
ㅣ ㅣ-광도자 (九仙法淸)
ㅣ ㅣ (廣道者)
ㅣ- 잠암 청원 ㅣ
ㅣ (潛庵淸源) -원오두
ㅣ (源五斗)
ㅣ
- 운거 원우 -- 나한 소남
ㅣ(雲居元祐) (羅漢小南)
ㅣ
- 앙산 행위 -- 곡은 정현
ㅣ(仰山行偉) (谷隱靜顯)
ㅣ
- 회당 조심 ---- 영원 유청 - 고선사
ㅣ(晦堂祖心) ㅣ (靈源惟淸)
ㅣ ㅣ
ㅣ ㅣ-초당 선청 - 황룡진
- 운개 수지 ㅣ (草堂善淸) (黃龍震)
(雲蓋守智) ㅣ
ㅣ-사심 오심 - 보수좌 / 화산 혜방 / 공실 도인 / 숭각공
ㅣ (死心悟信) (普) (禾山慧方) (空室道人) (崇覺空)
ㅣ
ㅣ- 황정견
ㅣ (黃庭堅)
ㅣ
- 오순
(吳恂)
양기 방회 -- 백운 수단 -- 낭야 계 --- 금릉 유도파
(楊岐方會)ㅣ (白雲守端) ㅣ (瑯瑘啓) (金陵兪道婆)
ㅣ ㅣ
ㅣ ㅣ- 오조 법연 -- 원오 극근 -- 대혜 종고 -- 중온 효영
ㅣ ㅣ (五祖法演) ㅣ (圓悟克勤) ㅣ(大慧宗杲) ㅣ(仲溫曉瑩)
ㅣ ㅣ ㅣ ㅣ ㅣ
ㅣ ㅣ ㅣ ㅣ-법제 선사 ㅣ- 회암 미광
- 보령 인용 ㅣ ㅣ-오조 표자 ㅣ (法濟禪師) ㅣ (晦庵彌光)
ㅣ ㅣ (五祖表自)ㅣ ㅣ
ㅣ ㅣ ㅣ-호구 소륭 ㅣ-능인 조원
-곽공보 ㅣ-원례 수좌ㅣ (虎丘紹隆) ㅣ (能仁祖元)
(郭功甫) ㅣ (元禮) ㅣ ㅣ
ㅣ ㅣ-화장 안민 ㅣ-천복 오본
ㅣ ㅣ (華藏安民) ㅣ(薦福悟本)
ㅣ ㅣ ㅣ :
- 태평 혜근ㅣ-차암 경원 ㅣ 총상좌
ㅣ(太平慧懃)ㅣ(此庵景元) ㅣ (聰)
ㅣ ㅣ ㅣ
ㅣ -보조 봉승 - 지도 각
ㅣ (普照奉勝) (智度覺)
ㅣ
-불안 청원 -- 성도 세기
(佛眼淸遠) ㅣ (成都世奇)
ㅣ
- 설당 도행
ㅣ(雪堂道行)
ㅣ
- 고암 선오 -- 용상 굉
(高庵善悟) (龍翔宏)
<운문종 법계도>
운문 문언 --- 천의 의회 ---원조 종본 --- 투자 옹 -- 부필
(雲門文偃) ㅣ (天衣義懷 ) ㅣ (圓照宗本) ㅣ (投子顒) (富弼)
ㅣ ㅣ ㅣ
ㅣ ㅣ ㅣ-장여 숭신 -- 자수 회심
ㅣ ㅣ ㅣ (長廬崇信) (慈受懷深)
ㅣ ㅣ ㅣ
ㅣ ㅣ - 법진 수일
ㅣ ㅣ (法眞守一)
ㅣ ㅣ-삼조 충회
ㅣ ㅣ (三祖沖會)
ㅣ ㅣ
ㅣ ㅣ-법운 법수 -- 장영숙
ㅣ ㅣ (法雲法秀) (蔣潁叔)
ㅣ ㅣ
ㅣ - 천발 중원 -- 조변
ㅣ (天鉢重元) (趙抃)
ㅣ
ㅣ-동산 효총 -- 운거 효순 -- 장산 법천
ㅣ (洞山曉聰) ㅣ (雲居曉舜) (蔣山法泉)
ㅣ ㅣ
ㅣ - 명교 설숭
ㅣ (明敎契崇)
ㅣ
ㅣ-오조 사계 -- 북탑 광 -- 옥천 승호
ㅣ (五祖師戒) ㅣ (北塔廣) (玉泉承皓)
ㅣ ㅣ
ㅣ -늑담 징 -- 대각 회련
ㅣ (泐潭澄) (大覺懷璉)
- 개선 선섬
(開先善暹)
'선림고경총서 > 나호야록羅湖野錄' 카테고리의 다른 글
2. 사자 춤을 보고 깨치다 / 정단(淨端)선사 (0) | 2015.08.21 |
---|---|
나호야록 上 1. 선법을 깨닫고 자유롭게 살다간 노인 / 조변(趙抃) (0) | 2015.08.21 |
차례 (0) | 2015.08.21 |
발문 (0) | 2015.08.21 |
서 (0) | 2015.08.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