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림고경총서/총림성사叢林盛事

차례

쪽빛마루 2015. 9. 24. 09:59

차례

 

해제(解題)

서(序)

발문(跋文)

 

총림성사 上

 

1. 황룡스님을 참방하다 / 정대경(程大卿)

2. 소동파의 옥대를 벗기다 / 불인 요원(佛印了元)선사

3. 양차공과 한위공에게 답하다 / 부용 도해(芙蓉道楷)선사

4. 대우산에 살 때 / 진정 극문(眞淨克文)선사

5. 편지를 전하다 / 승천 전종(承天傳宗)스님

6. 원두 소임을 맡아서 / 흥양 청부(興陽淸剖)선사

7. 운문의 정종을 잇다 / 원통 법수(圓通法秀)선사

8. 투자사의 전좌가 되다 / 부용 도해(芙蓉道楷)선사

9. 한 납자를 제접하다 / 정인사 고목 법성(枯木法成)선사

10. 총림을 소란케 하다가 / 불심 본재(佛心本才)선사

11. 「능가경」을 보다 / 장안도(張安道)

12. 부모를 찾아뵙다 / 설당 도행(雪堂道行)선사

13. 소치는 노래 / 전우(典牛)스님

14. 하늘을 꾸짖는다[罵天]는 호를 가진 스님 / 불등 수순(佛燈守珣)선사

15. 시기를 받다 / 개복사 영도자(寧道者)

16. 원오스님에게 귀의하다 / 응암 담화(應菴曇華)선사

17. 수견송(水筧頌) / 목암 안영(木菴安永)선사

18. 묘희스님에게 참구하다 / 직도자[一庵善直]

19. '정신없이 바쁜 사람'이라는 별명이 붙다 / 혹암 사체(或菴師體)선사

20. 원오스님의 늦제자가 되다 / 할당 혜원(瞎堂慧遠)선사

21. 깨진 사기그릇 / 밀암 함걸(密菴咸傑)선사

22. 천동사의 수좌 / 차암 수인(且菴守仁)선사

23. 참부처는 어디에 / 백양 법순(白楊法順)선사

24. 개복사 영도자를 뵙고 / 월암 선과(月菴善果)스님

25. 조주감파 화두에서 의심이 풀리다 / 곡산 단(谷山旦)스님

26. 묘희스님에게 따끔한 지적을 받다 / 나암 정수(懶菴鼎需)선사

27. 초산 풍월정을 읊은 한 관리의 시를 평하다 / 월암 선과(月菴善果)스님

28. 꿈 속에서 지은 시 한 수 / 굉지 정각(宏智正覺)선사

29. 개당할 때 스승의 은혜를 잊지 않다 / 원극 언잠(圓極彦岑)스님

30. 상당법문 / 혼원 담밀(混源曇密)스님

31. 승려를 업신여기는 형조관리에게 따끔한 편지를 쓰다 / 부정공(富鄭公)

32. 어제는 숲 속의 나그네, 오늘은 법당의 주지 / 초당 선청(草堂善淸)선사

33. 나한상을 닮은 스님 / 자항 요박(慈航了朴)선사

34. 운문의 도가 그에게서 끊기다 / 이암 심(已菴深)선사

35. 너무 준엄하여 제자를 두지 못하다 / 월당 도창(月堂道昌)선사

36. 선림의 장원감 / 귀산 미광(龜山彌光)선사

37. 난리가 났는데도 / 자득 혜휘(自得慧暉)선사

38. 개선 도겸(開善道謙)선사의 전기

39. 달마스님 찬 / 정당 명변(正堂明辨)선사

40. 죽원암주(竹原菴主)의 법문

41. '한 번 찧은 쌀'이라는 별명이 붙은 스님 / 수암 사일(水菴師一)선사

42. 분양스님의 십지동진(十智同眞) 법문에서 깨치다 / 무명 법여(無明法如)선사

43. 차암 수정(此菴守淨)선사의 대중법문

44. 만암 도안(卍菴道顔)선사의 대중법문

45. 모르는 공안이 없었어도 / 무암 법전(無菴法全)선사

46. 태주 태수 우연지(尤延之)

47. 묘희스님의 인가를 받다 / 무착 묘총(無著妙總)선사

48. 40년 동안 산문을 나가지 않다 / 경수좌(瓊首座)

49. 여러 선지식을 천거하여 부처의 혜명을 잇다 / 이덕매(李德邁)

50. 법을 잇길 바랬지만 / 불조 덕광(佛照德光)스님

51. 정수리에 뼈가 솟다 / 도독 지책(塗毒智策)스님

52. 「총림변영편(叢林辨佞篇)」 / 귀운 여본(歸雲如本)스님

53. 효종황제에게 종문사를 일깨우다 / 나암 도추(懶菴道樞)선사

54. '빈 골짜기'라는 호를 가진 가난한 스님 / 송 공곡(竦空谷)스님

55. 오대산 초의문수상(五臺艸衣文像)

56. 수묵관세음보살상[水墨觀音]

57. 백당 남아(柏堂南雅)선사의 대중법문

58. 근본이 단정하며 / 광교 회(廣敎會)스님

59. 백장야호 화두에 붙인 게송 / 삼봉 인(三峰印)선사

60. 대나무를 노래함 / 자득 혜휘(自得慧暉)선사

61. 감 이암(鑑菴)스님의 염고(拈古)

62. 불성 법태(佛性法泰)스님의 염고(拈古)

63. 개선 도겸(開善道謙)선사의 '송고(頌古)'

64. 한림학사 범치령과의 만남 / 원통 도민(圓通道旻)스님

65. 추밀원 정사 오거후(吳居厚)

66. 관음경을 사경하다 / 진팽공 여림(陳彭空汝霖)

67. 도민스님을 뵙다 / 안상국(安相國)

68. 드센 터를 누르고 살다 / 이령암주(二靈菴主)

69. 인종(仁宗)이 대각 회련(大覺懷璉)선사를 뵙다

70. 효종(孝宗)이 경산 도잠(徑山道潛)스님에게 칙서를 내리다

 

총림성사 下

 

1. 꿈 속에 본 시구절 / 보봉 경상(寶峰景祥)스님

2. 살아서 복이 아무리 많았어도 / 보자 온문(普慈蘊聞)선사

3. 세속과 어울리지 않는 성품 / 철암 일대(鐵菴一大)선사

4. 행자에게 들려준 법어 / 설당 도행(雪堂道行)선사

5. 소자유(蘇子由)의 게송들

6. 3교의 가르침 / 광록대부(光祿大夫) 조형(晁迥)

7. 산 제사를 받고 입적하다 / 대원 지(大圓智)선사

8. 묘도도인(妙道道人)의 법문

9. 간당 행기(簡堂行機)선사의 살림살이

10. '납승 노인'이라는 별명을 가진 서림 조증(西林祖證)선사

11. 매천 순(罵天詢)스님과 불감(佛鑑)스님과의 문답

12. 미치광이 중, 분암주(分菴主)의 하안거 결제법문

13. 이암 유권(伊菴有權)스님

14. 고종 · 효종의 미륵찬[高宗孝宗贊彌勒]

15. 별봉 보인(別峰寶印)스님의 게송들

16. 도독(塗毒)스님을 애도하는 시와 영정찬 / 방옹(放翁)

17. 조동의 종지를 깨친 분 / 석창 법공(石窓法恭)선사

18. 효종과 불조(佛照德光)선사와의 만남

19. 바른 안목으로 종지를 밝게 깨치다 / 수암 연(誰菴演)스님

20. 선재동자를 노래함 / 별봉 운(別峰雲)스님

21. 우연지(尤延之)에게 대항해 주지를 내놓다 / 혜홍(慧洪)수좌

22. 자칭 '시골뜨기 중' / 설소 법일(雪巢法一)스님

23. 송원 숭악(松源崇岳)스님의 게송

24. 담광 남(曇廣南)스님의 '소금을 만들며'라는 게송

25. 책 만들며 암자에 살다 / 뇌암 정수(雷菴正受)수좌

26. 행자 조경(祖慶)에게 써준 대혜스님의 게송

27. 시자에게 남긴 임종게 / 회암 혜광(晦菴慧光)선사

28. 강원에 있는 원오스님에게 처음 행각을 권하다 / 승상 범백재(范伯才)

29. 사대부들이 쓴 큰스님의 어록서문[士大夫序尊宿語]

30. 무구거사(無垢居士) 장구성(張九成)의 법문

31. 장산 찬원(蔣山贊元)스님의 법제자들

32. 긍당 언충(肯堂彦充)선사의 문장

33. 꼿꼿한 성격 때문에 / 공안 조수(公安祖殊)선사

34. 서암 순(瑞巖順)선사의 상당법어

35. 뒤를 이를 사람이 없다고 생각했는데 / 만수 요수(萬壽了修)선사

36. 대중공양으로 임무를 삼다 / 소암 요오(咲菴了悟)스님

37. 고목 조원(枯木祖元)선사의 대중법문

38. 위산 법보(潙山法寶)선사의 게송

39. 문장가 동산 혜공(東山慧空)스님

40. 암호(菴號)와 도호(道號)에 관하여

41. 욕심을 경계하는 글 / 안정군왕(安定郡王)

42. 사감(思鑑)이 간행한 전등록

43. 유게(遺偈)를 손수짓고 열반하다 / 치선 원묘(癡禪元妙)선사

44. 총림을 압도하는 기개 / 보안 가봉(保安可封)스님

45. 건상(建上) 사람 원통 영(圓通永)선사

46. 상락화산주(常樂和山主)

47. 황룡봉(黃龍峰) 4세조사(四世祖師) 산당 도진(山堂道震)선사

48. 도(道)보다 시(詩)의 경지가 널리 알려지다 / 야당 보숭(野堂普崇)선사

49. 꿈 속에 지은 게송 / 용구 혜인(龍丘慧仁)법사

50. 고소사(姑蘇寺) 비구니 조근(祖懃)선사

51. 제방의 주지를 경계하는 글[垂誡文]을 짓다 / 운거 서(雲居舒)선사

52. 금사여울목의 관세음보살상[金沙灘頭菩薩像]

53. 황룡파와 양기파

54. 웃으며 이야기하다가 입적하다 / 귤주 소담(橘洲少曇)스님

55. 당(唐) 우세남(虞世男)의 통력(通歷)

56. 운거 법여(雲居法如)스님의 상당법문

57. 불인 요원(佛印了元)스님의 대중법문

58. 선배들의 찬에는 격식이 있었다

59. 불심 본재(佛心本才)스님의 대중법문

60. 도첩을 거부하다 / 장노 조조(長蘆祖照)선사

61. 혹암 사체(或菴師體)스님의 대중법문

62. 소동파가 경구(京口)에 와서 불인(佛印)스님을 만남

63. 공주(贛住)사람 증문청공(曾文淸公)

64. 무주(婺州) 영응사(靈應寺)의 강주

65. 혼원 담밀(混源曇密)스님의 게송

66. 견용공(甄龍公)의 문장

67. 상전 범경(象田梵卿)선사

68. 백호광명에 싸여서 / 자은 법사(慈恩法師)

69. 30년을 한곳에서 보내다 / 둔암 종연(遯菴宗演)선사

70. 사천 사람 최암 도인(最菴道印)선사

71. 물음에 막힘없이 대답하다 / 형양군왕(榮陽郡王)

'선림고경총서 > 총림성사叢林盛事' 카테고리의 다른 글

총림성사 上 7~13.   (0) 2015.09.24
총림성사 上 1~6.  (0) 2015.09.24
발문(跋文)  (0) 2015.09.24
서(序)  (0) 2015.09.24
해제  (0) 2015.09.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