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1. 한조의(韓朝議)에게 드리는 글
옛 불조께서 곧게 가리켜 보여주신 이 큰 법은, 사람 사람 서 있는 자리에 천 개의 해가 함께 나온 듯 환하게 비춥니다. 다만 밖으로 치달려, 오랫동앉 이렇게 위위당당하고 덕스러운 빛이 있는 줄을 스스로 믿지 못했을 뿐입니다.
오직 총명하고자 힘쓰고 지견을 세우는 데만 힘써서, 업혹(業惑) 속에 빠져 있으면서도 자기가 출중하다고 여기고 터득한 바를 가지고 현학적으로 뽐냅니다. 인간 세상에서 익힌 바 고금의 것들을 널리 연구하고 관찰하여 그것을 궁극의 공부라고 말하나 반딧불이 태양에 비할 수 없다는 사실을 조금도 몰랐다 하겠습니다.
그러므로 걸출했던 옛분들은 영민하게 훌쩍 벗어난 성품들을 가졌습니다. 가까운 예로 배상국 · 양대년 같은 분들은 온 마음을 다해 놓아버리고 종사에게 가서 결택을 받았습니다. 그리하여 티끌같이 들뜬 지견을 깎아 버리고 철저히 크게 깨달아, 비로소 훌쩍 뛰어넘어서 노련하고 뛰어난 선객들의 숭고한 행과 함께 할 수 있었습니다. 그렇게 실천하다가 합당히 납월 삼십일에 다다르면 스스로 손을 놓아버릴 줄 알아서 큰 해탈을 증득해냈으니, 어찌 작은 일이겠습니까.
지금 그대는 총명 민첩함이 과거의 선배들 못지 않은데 평소에 쌓은 학업과 재주는 세상길을 매진해 가는 것이었습니다. 오랫만에 종문에 이런 인연이 있음을 알긴 했으나 "내가 숭상하는 데서 벗어나지 않는다"고 말하여 전혀 관심을 두지 않으신 것입니다. 그러다가 숙세의 큰 인연 때문에 구봉(歐峰)에서 서로 만나 일년이 넘도록 함께 했습니다.
한 번 거량함을 듣자 즉시 깊은 믿음을 일으켜서 회광반조하여 인간세를 되돌아보면 마치 꿈같고 허깨비 같아서, 큰 변화를 따라 꺼져버리니, 허망할 뿐입니다. 천겁토록 파괴되지 않고 변하지 않는 이것만이 일체 성현의 근본이며 조물주의 연원으로서 자기를 형상지위 확정짓는 것입니다. 한 번 밝히면 칠통팔달하는데, 어디를 간들 자재하지 못하겠습니까. 이로써 숙세부터 훈습했던 것이 인연을 만나자 드러나고 일에 임하여 나타난다는 점을 알 수 있으니, 어찌 스스로 믿음이 아니겠습니까.
그러나 스스로 하루를 점검해보면 불법을 배우는 것도 이미 잡되게 쓰는 마음입니다. 그렇다면 불법도 버려야만 진실 청정한 세계 속에서 사는 것입니다.
오로지 이것만을 의지하고 이런저런 데 뒤섞이지 마십시오. 그러면 순일하고 환하여 애증이 없으며, 취사를 여의고 피아를 나누지 않으며 득실을 짓지 않습니다. 일체법이 평등하여 나의 불가사의한 경계로서, 정묘원명(淨妙圓明)하게 수용하는 물건일 뿐입니다.
반드시 이 마음을 오래도록 현전하게 하여 혼침에 떨어지지 않도록 하십시오. 총명한 지혜를 내지 말고 평등하고 편안하고 한가하고 적정한 경계에 들어가면, 어찌 이 본래 오묘한 광명을 흔들 악으로 짓는 업연(業緣)과 식정(識情)이 있겠습니까.
다만 눈앞에 경계가 임하면 모조리 잊고 여전히 어지럽고 혼란할까 염려스러울 뿐입니다. 그렇다면 감당하지 못하기 때문입니다.
옛사람의 수행도 스스로 증득해 들어간 것으로써 수시로 관조하여 티끌 번뇌를 끊고 활발하고 우뚝하게끔 하였습니다. 삼십년 이십년씩 오래도록 순수하게 익으면 생사에서 벗어나기가 어렵지 않았었습니다. 하는 것마다 힘이 착착 붙어서 한갓 고상한 빈 말에 그치지 않았으니, 옛사람 말에, "말로 한 길[丈]을 하느니 한 자(尺)를 가는 것이 낫다" 한 것입니다.
왜냐하면 정혜(定慧)의 힘이 업연(業緣)의 방향을 바꿔주기 때문입니다. 성성(惺惺)하게, 그리고 용맹 과감하게 결단해야 천백 생에 수용하게 됩니다. 그 나머지 옛사람의 기연이나 말은 굳이 다 알려 하지 않아도 됩니다. 하나를 분명하게 하면 착착 이와 같으니 천변만화라도 어찌 그의 능력과 작용을 변하게 할 수 있겠습니까.
내심이 텅 비고 나면 바깥 인연도 고요합니다. 옷 입고 밥 먹는 것이 본래 그대로가 천진이라, 갈고 다듬을 것이 없습니다. 가령 혹시라도 훌륭하다는 견해를 세우고 자신의 능력을 자부한다면 큰일입니다. 부디 관조하고 살펴서 이런 작태를 짓지 말아야 합니다.
이렇게 해서 무아의 진실한 경계, 부동불변한 경계, 정묘청량(淨妙淸凉)하고 온당하고 은밀한 경계에 들어가게 됩니다. 지공(誌公)이 말하기를, "가는 털끝 만큼도 공부한다는 마음을 일으키지 않아서, 형상없는 빛 속에 항상 자재하도다" 하였습니다.
'선림고경총서 > 원오심요圜悟心要' 카테고리의 다른 글
원오심요 下 73. 종각대사(宗覺大師)에게 드리는 글<終> (0) | 2016.03.21 |
---|---|
원오심요 下 72. 증대제(曾待制)에게 드리는 글 (0) | 2016.03.19 |
원오심요 下 70. 선인(禪人)에게 주는 글 (0) | 2016.03.19 |
원오심요 下 69. 오교수(吳敎授)에게 드리는 글 (0) | 2016.03.19 |
원오심요 下 68. 장지만조봉(張持滿朝奉)에게 드리는 글 (0) | 2016.03.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