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19칙
운문의 수미산[雲門須彌]
시중 |
대중에게 보이시다.
나는 소양(韶陽)에 새로이 정착된 기개[新定機]를 사랑하노니 한평생을 남을 위해 못과 말뚝 뽑아 준다. 그런데 어찌하여 때로는 문을 활짝 열어 아교동이를 끌어내기도 하고 길 한복판을 파서 함정을 이루기도 하는고? 가려내보라.
본칙 |
드노라.
어떤 승이 운문에게 묻되 "한 생각도 일으키지 않아도 허물이 있습니까, 없습니까?" 하니,
-말은 맑은데 행은 탁한 첨지로다.
운문이 이르되 "수미산(須彌山)이니라" 하였다.
-험(險)!
평창 |
스승께서 이르시다.
원통 선(圓通善) 국사가 이르되 이 공안을 제방에서 따지는데 "혹은 그렇게 묻자마지 벌써 허물이 생긴 것이 수미산 같다' 하고, 혹은 '마치 수미산 같이 8풍(風)에도 흔들리지 않고 천고(千古)에 항상 우뚝하다' 하고, 혹은 '납자들을 가르치되 꿰뚫기 어려움이 마치 수미산 같다' 하나니, 이렇게 따져서는 운문의 뜻을 알았다고는 할 수 없다. 만일 통밑[桶底]이 빠지고 얽힌 실마리가 끊기면 비로소 모두가 그렇지 않은 줄 알게 될 것이다" 하였다.
듣지 못했는가? "3구(句)에서 1구(句)를 밝히고 1구에서 3구를 밝혀서 3구와 1구가 서로 얽히지 않아야 분명한 향상로(向上路)이다" 하였고, 불과(佛果)가 이르되 "운문의 대답은 사람들의 식정(識情)을 속인 것이 많다" 하였는데, 만송은 이르노니 "식정으로 식정을 물리치는 것은 대수로운 수단이 못되나니, 사람들을 위하되 가꾸어 길들이지 못한다. 이 수미산은 하늘이 덮지 못하고 땅이 싣지 못하며, 바람이 불어도 들어가지 않고, 물을 뿌려도 묻지 않는다. 오직 금강으로 된 눈동자라야 한 번 흘깃 보아 꿰뚫어버리면 문득 일곱 구멍, 여덟 구멍을 볼 것이며, 마침내는 마치 먼지같이 부숴지리라. 그러한 뒤에야 도리어 눈썹과 속눈썹 위에 외로운 듯 아득히 멀고, 깎아지른 듯 우뚝우뚝 하리라" 하노라.
백운 단(白雲端)선사가 송하되, "수미산이여, 우주를 가로막았으니 / 천 손을 가진 대비보살도 꿰뚫어보지는 못하리라 / 스스로가 소를 거꾸로 탈 줄 아는 이가 아니면 / 일생 동안 남의 뒤나 따르기에 편할 날이 없을 것이다" 하였는데, 만송은 이르노니, "얼굴을 우러러서는 홀로 눈썹을 날리고, 고개를 돌리고는 혼자서 손뼉을 친다" 하노라.
기산 치(其山寘)화상이 송하되 "까닭없이 사람을 투옥하려 죄명을 찾다가 / 당장에 가두어버리고는 생사람을 잡으니 / 공초에 오르기도 전에 생각이 구구함이여 / 옥문 밖에서 그 심정 알 자가 몇이나 될꼬?" 했는데 오직 천동만은 그런 축에 끼지 않는다.
송고 |
한 생각도 일으키지 않는데 수미산이라 하니
-이 한 구절이면 끝났지…….
소양(韶陽 : 운문)은 법보시에 인색함이 없어라.
-천동도 가볍지는 않은데…….
긍정한다면 두 손의 것을 몽땅 내주고
-다만 그대가 받지 않을까 걱정이다.
망설이면 천 길 벼랑이라 손댈 수 없어라.
-공연히 이마에 상처만 낸다.
푸른 바다는 넓고
-하늘도 잠기고 해도 잠기니 끝없는 해변이요,
흰 구름은 한가하니
-학을 벗하고 바람을 따르니 매우 자유롭구나.
터럭 끝 하나라도 그 사이에 두지 말라.
-이미 많아 버렸는데…….
거짓 닭울음 소리로는 나를 속이기 어려우니
-진실은 거짓을 가리지 못한다.
어름어름 관문을 지나게 하지는 않으리라.
-서천(西天)의 영이 지엄하구나!
평창 |
스승께서 이르시다.
그대가 나에게 묻기를 한 생각을 일으키지 않아도 허물이 있는가. 허물이 없는가 한다면 나는 문득 한 무더기의 수미산을 꺼내어 그대 앞에다 놓는 시늉을 하겠으니 그 법보시의 이로움은 진실로 인색함이 아닐 것이다. 영가(永嘉)도 이르되 "크게 보시하는 문이 활짝 열려 옹색함이 없다" 하였으니, 오늘만의 일은 아니다.
범어의 수미(須彌)는 묘고(妙高)라 번역한다. 네 가지 보배로 이루어졌기에 묘(妙)라 하고, 뭇 봉우리 위에 우뚝하기 때문에 고(高)라 하나니, 네 천하[四天下]의 산에서 수미산이 가장 높다. 그대가 만일 스스로 긍정한다면 내가 문득 두 손을 활짝 펴서 내줄 것이다.
옛 시에 이르되 "그대 마음에 긍정되는 곳이라야 내 목숨이 트이는 때리라" 하였거니와, 사실 이 일은 항상 드러났음이 마치 수미산이 우뚝우뚝한 것 같거늘 뉘라서 가리거나 갈무리 할 자가 있겠는가? 전해주기 전인들 어찌 그대에게 분복[分]이 없을 것이며, 전해준 뒤인들 어찌 새로이 얻어진 것이겠는가?
듣지 못했는가? 장경(長慶)이 이르되 "만상(萬象) 가운데 홀로 드러난 몸이여, 그대 스스로가 긍정해야 비로소 가까이 할 수 있다" 하였는데 천동이 여기에 이르러서는 대단히 함축성 있는 공부를 보였다. 그런데 그대가 만일 망설이면서 가까이 오지 않는다면 천 리, 만 리에서 우러러도 미치지 못할 것이다.
거원(璩源)이 이르되 "이 일은 마치 무너져내리는 듯, 갈기갈기 터지는 듯한 바위가 천 길 절벽과도 같아서 손을 댈 수가 없다. 그러나 그대가 일찍이 나를 여의지도 않았고, 나 또한 일찍이 빼앗지도 않았다" 하였으니, 이 구절은 윗 구절과 비교하면 미혹과 깨달음이 서로 반대되어 짝을 이룸이 분명하다.
경전에 이르기를 "수미산은 물 속에 들어간 것이 8만 유순이요, 물 밖에 나온 것도 8만 유순인데 사갈(娑竭 : 醎) 바다가 아니면 능히 감싸지 못한다" 하였으니, 산이 이미 고금에 흔들림이 없었으매 구름 또한 들고남에 항상 한가롭다. 동산(洞山)이 이르되 "청산은 백운의 아비요, 백운은 청산의 아들이니, 백운은 종일토록 의지해 있으되 청산은 전혀 알지 못한다" 하였다.
천동의 풍부한 재주로 '수미산이 바다같이 넓고 구름같이 한가하다'고 송했으니, 그 절묘함이 극진하다 하리라. 여기에 한 생각이 일어나고 멸함인들 용납할 수 있으랴? 그러기에 이르기를 "푸른 바다는 넓고 흰 구름은 한가로우니, 털끝 하나라도 그 사이에다 붙이지 말라" 하였다. 이는 또 설두(雪竇)가 이르기를 "눈에 모래알 하나라도 붙으면 동참(同參) 할 수 없다" 한 것과도 같으니, 만일 소양의 법보시가 인색하지 않다고 말한다면 이는 도리어 눈에 수미산이 붙은 것이다. 이 수미산의 송은 섬돌이 맞듯 맷돌이 맞듯 혈맥이 이어져서 박자마다 바른 법령이니, 망녕되이 우겨보거나 식정을 자라게 할 바가 아니다.
사실상 한 생각도 일으키지 않는 사람이라면 어찌 허물이 있는가 없는가를 묻겠는가? 설사 항상 한 생각도 일으키지 않는다 하여도 점검해보건대 무엇에 쓰리요? 그러기에 이르기를 "거짓 닭우는 소리론 나를 속이지 못하리니, 어물어물해서 관문을 지나게는 하지 않으리라"고 하였다.
맹상군(孟嘗君)은 진(秦)에 들어가서 재상이 되었다. 그러자 사람들은 진왕에게 말하되 "맹상군은 약다. 그리고 제(齊)의 척신[族臣]이었다. 이제 진의 재상이 되었으나 반드시 제를 먼저하고 진을 뒤에 할 것이니 그렇게 되면 진은 위태로울 것이다" 하니, 진왕은 맹상군을 가두고 죽이려 하였다. 맹상군은 왕비[幸姬]가 들렀던 길에 풀어주기를 구하니, 왕비가 말하되 "나는 군의 호백구(狐白裘 : 여우의 겨드랑의 흰 털가죽을 모아 만든 겉옷)를 얻기를 원한다"고 하였다. 그러나 그때는 이미 왕에게 바치고 없었는데, 맹상군을 따르던 식객(食客) 중의 한 사람이 좀도둑질에 능숙하여, 호백구를 훔쳐다가 왕비에게 주고 빠져나올 수가 있었다. 한밤중에 함곡관(函谷關)까지 도망해 왔으나 관문의 법칙에 닭이 울어야 사람들을 통행시키게 되어 있었다. 이때 식객 가운데 풍원(馮諼)이란 사람이 있었는데 닭울음 흉내에 능한지라 그가 한 번 우니, 모든 닭이 울어서 맹상군은 진의 환난에서 벗어날 수 있었다.
(주장자를 들어 올리고) 이르되 "만송이 오늘 관문을 지키는 당번이다. 닭울음 소리를 흉내낼 자 있거든 나오라" 하고, (주장자에 기대면서) 이르되 "아차! 한 놈 놓쳤구나!" 하였다.
'선림고경총서 > 종용록從容錄 ' 카테고리의 다른 글
종용록 上 제21칙 운암이 마당을 쓸다[雲巖掃地] (0) | 2016.04.07 |
---|---|
종용록 上 제20칙 지장의 친절[地藏親切] (0) | 2016.04.07 |
종용록 上 제18칙 조주의 개[趙州狗子] (0) | 2016.04.05 |
종용록 上 제17칙 법안의 털끝[法眼毫釐] (0) | 2016.04.05 |
종용록 上 제16칙 마곡이 석장을 떨치다[麻谷振錫] (0) | 2016.04.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