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8. 진가(眞假)
대사께서는 선천 이년 팔월 삼일에 돌아가셨다. 칠월 팔일에 문인들을 불러 고별하시고, 선천 원년에 신주 국은사에 탑을 만들고 선천 이년 칠월에 이르러 작별을 고하셨다.
대사께서 말씀하셨다.
"너희들은 앞으로 가까이 오너라. 나는 팔월이 되면 세상을 떠나고자 하니 너희들은 의심이 있거든 빨리 물어라.
너희들을 위하여 의심을 부수어 마땅히 미혹을 다 없애어 너희들로 하여금 안락하게 하리라. 내가 떠난 뒤에는 너희들을 가르쳐 줄 사람이 없으리라."
법해를 비롯한 여러 스님들이 듣고 눈물을 흘리며 슬피 울었으나, 오직 신회만이 꼼짝 하지 아니하고 울지도 않으니 육조스님께서 말씀하셨다.
"어린 신회는 도리어 좋고 나쁜 것에 대하여 평등함을 얻어 헐뜯고 칭찬함에 움직이지 않으나, 나머지 사람들은 그렇지 못하구나. 그렇다면 여러 해 동안 산중에서 무슨 도를 닦았는가? 너희 지금 슬피 우는 것은 또 누구를 위함인가? 나의 가는 곳을 너희가 몰라서 근심하는 것인가? 만약 내가 가는 곳을 모른들 마침내 너희에게 고별하지 않겠느냐?
너희들이 슬피 우는 것은 곧 나의 가는 곳을 몰라서이다. 만약 가는 곳을 안다면 곧 슬피 울지 않으리라.
자성의 본체는 남도 없고 없어짐도 없으며 감도 없고 옴도 없느니라.
너희들은 다 앉거라. 내 너희들에게 한 게송을 주노니, '진가동정게(眞假動靜偈)'이다. 너희들이 다 외워 이 게송의 뜻을 알면 너희는 나와 더불어 같을 것이다.
이것을 의지하여 수행해서 종지를 잃지 말라."
스님들이 예배하고 대사께 게송 남기시기를 청하고 공경하는 마음으로 받아 가졌다.
게송에 말씀하셨다.
모든 것에 진실이 없나니 진실을 보려고 하지 말라.
만약 진실을 본다 해도 그 보는 것은 다 진실이 아니다.
만약 능히 자기에게 진실이 있다면 거짓을 떠나는 것이 곧 마음의 진실이다.
자기의 마음이 거짓을 여의지 않아 진실이 없거니, 어느 곳에 진실이 있겠는가?
유정은 곧 움직일 줄을 알고 무정은 움직이지 않나니
만약 움직이지 않는 행을 닦는다면 무정의 움직이지 않음과 같다.
만약 참으로 움직이지 않음을 본다면
움직임 위에 움직이지 않음이 있나니.
움직이지 않음이 움직이지 않음이면 뜻도 없고 부처의 씨앗도 없도다.
능히 모양을 잘 분별하되 첫째 뜻은 움직이지 않는다.
만약 깨쳐서 이 견해를 지으면 이것이 곧 진여의 씀이니라.
모든 도를 배우는 이에게 말하노니 모름지기 힘써 뜻을 써서
대승의 문에서 도리어 생사의 지혜에 집착하지 말라.
앞의 사람이 서로 응하면 곧 함께 부처님 말씀을 의논하려니와
만약 실제로 서로 응하지 않으면 합장하여 환희케 하라.
이 가르침은 본래 다툼이 없음이라 다투지 않으면 도의 뜻을 잃으리오,
미혹함에 집착하여 법문을 다투면 자성이 생사에 들어가느니라.
大師先天二年八月三日에 滅度할새 七月八日에 喚門人告別하고 大師[先]天元年에 於新(木+蕇)州國恩寺造塔하고 至先天二年七月告別하니라 大師言하되 汝衆은 近前하라 吾(五)至八月欲離世間하노니 汝等은 有疑早問하라 爲汝(外)破疑하야 當令迷者盡하야 使汝(與)安樂하리니 吾若去後에는 無人(入)敎汝(與)하리라 法海等衆僧이 聞已하고 涕淚悲泣하되 唯有神會가 不動亦不悲泣커늘 六祖言하되 神會小僧은 却得善[不善]等하야 毁譽不動하나 餘(除)者는 不得이로다 數年을 山中에 更修何道며 汝今悲泣은 更有阿誰하야 憂吾不知去處在아 若不知去處런들 終不別汝 리오 汝等悲泣은 卽不知吾[去]處니 若知去處하면 卽不悲泣이니라 性體(聽)가 無生無滅하며 無去無來하니 汝等은 盡坐(座)하라 吾與汝(如)一偈하노니 眞假動靜(淨)偈라 汝(與)等은 盡誦取하야 見此偈意하면 汝[與]吾同이니라 依(於)此修行하야 不失宗旨하라 僧衆禮拜하고 請大師留偈하야 敬心受持(特)니라 偈曰
一切無有眞하니 不以見於眞하라
若見於(衣)眞者는 是見이 盡非眞이로다
若能自有眞하면 離假卽心眞이요
自心이 不離假라 無眞이어니 何處眞고
有情(性)은 卽解動이요 無情(性)은 卽不動이니
若修不動行이면 同無情不動이라
若見眞不動하면 動上에 有不動이니
不動이 是不動이면 無情無佛種(衆)이로다
能善分別相하되 第一義不動이니
若悟作此見하면 則是眞如用이니라
報諸學道者하노니 努力須用意하야
莫於大乘門에 却執生死智하라
前頭人相應하면 卽共論佛語어니와
若實不相應인댄 合掌令歡喜(勸善)하라
此敎는 本無諍이라 無諍하면 失道意리오
執迷諍法門하면 自性이 入生死로다.
'선림고경총서 > 선림보전禪林寶典'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제2편 돈황본단경 편역(編譯) 30.전통(傳統) (0) | 2016.06.18 |
---|---|
제2편 돈황본단경 편역(編譯) 29.전게(傳偈) (0) | 2016.06.18 |
제2편 돈황본단경 편역(編譯) 27. 대법(對法) (0) | 2016.06.17 |
제2편 돈황본단경 편역(編譯) 26. 참청(參請) (0) | 2016.06.17 |
제2편 돈황본단경 편역(編譯) 25.불행(佛行) (0) | 2016.06.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