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 허공이 곧 법신
팔만 사천 법문은 팔만사천 번뇌를 치료하는 것으로서, 다만 대중을 교화 인도하는 방편일 뿐 일체 법이란 본래 없다. 그러므로 여의는 것이 곧 법이요, 여읠 줄 아는 이가 곧 부처다. 일체 번뇌를 여의기만 하면 얻을 만한 법이 없으니, 도를 배우는 사람이 깨닫는 비결을 터득하고자 한다면, 마음에 어느 것이라도 집착하지 말아야 한다. '부처님의 참된 법신은 마치 허공과 같다'고 한 비유가 바로 이것이다. 법신이 곧 허공이며 허공이 곧 법신인데도 '법신이 허공계에 두루하여 있다'고 하면, 사람들은허공 가운데에 법신을 포함하고 있다고 생각하여 법신 그대로가 허공이며 허공 그대로가 법신임을 모른다. 만약 결정코 허공이 있다고 한다면 허공은 법신이 아니다. 그렇다고 결정코 법신이 있다고 한다면 법신이 허공이 아니다. 다만 허공의 알음알이를 내지 말라, 허공이 곧 법신이니라. 법신의 알음알이를 내지 말라, 법신이 곧 허공이니라. 허공과 법신은 전혀 다른 모양이 없으며, 부처와 중생이 다른 모양이 없으며, 생사와 열반이 다른 모양이 없으며, 번뇌와 보리도 다른 모양이 없는 것이니, 일체의 모양을 여윔이 곧 부처이니라.
범부는 경계를 취하고 도를 닦는 사람은 마음을 취하나니, 마음과 경계를 함께 잊어야만 참된 법이다. 경계를 잊기는 오히려 쉬우나 마음을 잊기란 매우 어렵다. 사람들이 마음을 감히 잊어 버리지 못하는 까닭은 공(空)에 떨어져 부여잡을 바가 없을까 두려워해서인데, 이는 공이 본래 공이랄 것도 없고, 오로지 한결같은 참된 법계[一眞法界]임을 몰라서 그런 것이다.
신령스런 깨달음의 성품은 비롯없는 옛날로부터 허공과 수명이 같아서 한번도 생기거나 없어진 적이 없으며, 있은 적도 사라진 적도 없다. 더럽거나 깨끗한 적도, 시끄럽거나 고요한 적도 없고, 젊지도 늙지도 않으며, 방위와 처소도 없고, 안팎의 구분도 없다. 또한 갯수로 셀 수량이나 형상 · 색상 · 소리도 없다. 그러므로 찾을래야 찾을 수 없고, 지혜로써 알 수도 없으며, 말로 표현할 수 없으며, 경계인 사물을 통해서 이해할 수도 없고, 또한 힘써 공부한다고 해도 다다를 수 없다. 모든 불 · 보살과 일체의 꿈틀거리는 벌레까지라도 똑같이 지닌 대열반의 성품이다. 이 성품이 곧 마음이요, 마음이 곧 부처이고, 부처가 곧 법이니 한 생각 참됨을 여의면 모두가 망상이 된다. 마음으로써 다시 마음을 구하지 말고, 부처를 가지고 다시 부처를 구하지 말 것이며, 법을 가지고 다시 법을 구하지 말라. 그러므로 도를 배우는 사람이 당장에 무심하여 묵연히 계합할 뿐이니, 마음으로 헤아린다면 곧 어긋난다. 마음으로써 마음에 전하는 이것이 바른 견해이니, 밖으로 경계를 좇으면서 그것을 마음이라고 잘못 알지 않도록 조심해야 한다. 이것은 도둑을 제자식으로 잘못 아는 격이다.
탐욕 · 성냄 · 어리석음이 있기 때문에 계 · 정 · 혜를 세워 말씀하신 것인데, 애초부터 번뇌가 없다면 깨달음인들 어디 있겠느냐? 그러므로 조사께서 말씀하시기를, '부처님께서 일체법을 말씀하신 것은 일체의 마음을 없애기 위함이로다. 나에게 일
체의 마음이 없거니 일체 법이 무슨 소용이 있겠는가?' 하셨다. 본래 근원이 청정한 부처에다가는 다시 어떤 것도 덧붙이지 말아야 한다. 이것은 마치 허공이 수많은 보배구슬로 장엄할지라도 마침내 머무를 수 없는 것과 같다. 불성(佛性)도 허공과 같아서 비록 무량한 공덕과 지혜로써 장엄한다 하더라도 마침내 머무를 수 없는 것이다. 다만 본래 성품이 미혹되어 더더욱 보지 못할 뿐이다.
이른바 심지법문(心地法門)*이란 만법이 이 마음을 의지하여 건립되었으므로, 경계를 만나면 마음이 있고 경계가 없으면 마음도 없는 것이다. 따라서 깨끗한 성품 위에다 경계에 대한 알음알이를 굳이 짓지 말라. 또 '정혜(定慧)의 비추는 작용이 역력히 밝고 고요하면서도 또렷하다[寂寂惺惺]'든가, '보고 듣고 느끼고 안다[見聞覺知]'는 것은 모든 경계 위에서 알음알이를 짓는 것이니, 이 말은 임시로 중하근기의 사람들을 위하여 설법하는 경우라면 몰라도, 몸소 깨닫고자 하는 사람은 이와 같은 견해를 지어서는 절대로 안된다. 이것은 모두 경계의 법이므로 유견(有見)이라는 함정에 빠진 것이다. 일체 법에 대해서 있다거나 없다는 견해를 짓지만 않으면, 곧 법을 보는 것이다.
八萬四千法門은 對八萬四千煩惱니 祈是敎化接引門이니 本無一切法이라 離卽是法이요 知離者是佛이니라 但離一切煩惱하면 是無法可得이니 學道人이 若欲得知要訣인댄 但莫於心上에 着一物이니라 言佛眞法身은 猶若虛空이라하니 此是喩라 法身이 卽虛空이며 虛空이 卽法身이어늘 常人은 謂法身이 徧虛空處라하면 虛空中에 含容法身이라하야 不知法身이 卽虛空이며 虛空이 卽法身也로다 若定言有虛空인댄 虛空이 不是法身이요 若定言有法身인댄 法身이 不是虛空이니 但莫作虛空解하라 虛空이 卽法身이며 莫作法身解하라 法身이 卽虛空이니라 虛空與法身이 無異相하며 佛與衆生이 無異相하며 生死與涅槃이 無異相하며 煩惱與菩提도 無異相이니 離一切相이 卽是佛이니라 凡夫는 取境하고 道人은 取心하나니 心境雙忘하야사 乃是眞法이니라 忘境은 猶易어니와 忘心은 至難하니 人不敢忘心은 恐落空無撈摸處하야 不知空本無空이니 唯一眞法界耳니라
此靈覺性이 無始已來로 與虛空同壽하야 未曾生未曾滅하며 未曾有未曾無하며 未曾穢未曾淨하며 未曾喧未曾寂하며 未曾少未曾老하며 無方所無內外하며 無數量無形相하며 無色象無音聲하며 不可覓不可求하며 不可以智慧識이며 不可以言語取며 不可以境物會며 不可以功用到니 諸佛菩薩과 與一切蠢動含靈이 同此大涅槃性이니라 性卽是心이며 心卽是佛이며 佛卽是法이니 一念離眞하면 皆爲妄想이니라 不可以心으로 更求於心이며 不可以佛로 更求於佛이며 不可以法으로 更求於法이니 故로 學道人이 直下無心하야 默契而已요 擬心卽差니라 以心傳心이 此爲正見이니 愼勿向外逐境하며 認境爲心이어다 是는 認賊爲子니라 爲有貪瞋癡하야 卽立戒定慧니 本無煩惱어늘 焉有菩提리오 故로 祖師云 <佛說一切法이 爲除一切心이라 我無一切心이어니 何用一切法이리오>하니라 本源淸淨佛上에 更不着一物이니 譬如虛空이 雖以無量珍寶莊嚴이나 終不能住하며 佛性이 同虛空이라 雖以無量功德智慧로 莊嚴이나 終不能住니 但迷本性하야 轉不見耳니라 所謂心地法門은 萬法이 皆依此心建立일새 遇境卽有하고 無境卽無라 不可於淨性上에 轉作境解니라 所言定慧는 鑑用이 歷歷하고 寂寂惺惺하며 見聞覺知가 皆是境上作解라 暫爲中下根人說은 卽得이어니와 若欲親證인댄 皆不可作如此見解니라 盡是境法이라 有沒處하야 沒於有地니 但於一切法에 不作有無見하면 卽見法也니라
--------------------------------------------
* 심지법문(心地法門) : 마음이 모든 존재의 근원이라는 견지에서, 마음자리에서 만물이 생겨난다고 한 말씀.
'선림고경총서 > 선림보전禪林寶典'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제1편 전심법요(傳心法要) 7. 법(法)은 무생(無生) (0) | 2016.07.01 |
---|---|
제1편 전심법요(傳心法要) 6. 마음을 잊어버림 (0) | 2016.07.01 |
제1편 전심법요(傳心法要) 4. 일체를 여윌 줄 아는 사람이 곧 부처 (0) | 2016.06.30 |
제1편 전심법요(傳心法要) 3. 근원이 청정한 마음 (0) | 2016.06.30 |
제1편 전심법요(傳心法要) 2. 무심(無心)이 도(道) (0) | 2016.06.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