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0. 제4편- 제3장 신심(信心)이 성지(聖地)다. 2. 농산행 2. 농산행 일본 비예산은 천태종 본산으로 여기에 연역사라는 절이 있읍니다. 천태종이 전교 대사에 의해 개종한 지는 약 1,200년이 되었는데, 1,200년을 계속 내려오면서 12년을 단위로 농산행이라는 수행을 합니다. 그 당시 전국적으로 가장 영리하고 가장 신심있는 사람을 골라서 12년 동안 비예산의 정.. 영원한 자유 2011.01.30
49. 제4편- 제3장 신심(信心)이 성지(聖地)다. 1. 관음보살과 문수보살 제3장 신심(信心)이 성지(聖地)다 1. 관음보살과 문수보살 어떤 것이 부처입니까? 금사탄 여울가의 마씨 부인이로다. 이것은 임제종의 3세인 풍혈스님의 법문입니다. 어떤 스님이 풍혈스님에게 묻기를 "어떤 것이 부처님입니까?" 하니 "금사탄 개울가의 마씨 무인이다"고 하였읍니다. 이 말이 떨어지는 .. 영원한 자유 2011.01.30
48. 제 4편- 2장 자유로 가는 길. 3. 세 가지 장애 3. 세 가지 장애 그러면 생사해탈 공부는 어떻게 해야 하는가? 물론 화두 공부룰 부지런히 해서 깨치면 그만이지만, 그 공부하는 데 가장 방해되는 것 세 가지가 있읍니다. 그 세 가지만 피하면 공부를 좀 할 수 있읍니다. 첫째는 돈입니다. 공부하는 사람이 돈이 눈에 보이면 공부는 그만입니다. 세상이.. 영원한 자유 2011.01.30
47. 제4편- 2장 자유로 가는 길. 2. 큰 의심. 3)임제스님 3)임제스님 중국에서 선종이 천하를 풍미할 때 선종은 임제종, 조동종, 위앙종, 운문종, 법안종의 다섯 종파로 나뉘어져 있었는데, 그 가운데서도 임제종이 가장 융성했읍니다. 임제종의 종주는 황벽스님의 제자인 임제스님으로, 일찌기 교학을 많이 배운 스님입니다. 스님은 교(敎)만으로는 부족하고 .. 영원한 자유 2011.01.30
46. 제4편- 2장 자유로 가는 길. 2. 큰 의심. 2) 덕산스님 2) 덕산스님 중극 선종에서 보면 임제종을 창시한 임제스님과, 운문종.법안종의 종조(宗祖)되는 덕산스님, 이 두 분 스님을 조사들 가운데 영웅이라고 하여 칭송하고 있읍니다. 덕산스님은 처음 서촉에 있으면서 교리 연구가 깊었으며 특히 금강경에 능통하여 세상에서, 스님이 속성이 주씨이므로, 주.. 영원한 자유 2011.01.30
45. 제4편- 2장 자유로 가는 길. 2. 큰 의심. 1) 아난존자 1) 아난존자 옛날 스님네는 어떻게 공부해서 어떻게 무심삼매를 성취하여 도를 이루었는가를 알아볼 필요가 있읍니다. 부처님께서 돌아가신 뒤 그 제자들이 부처님의 법문하신 것을 모아놓은 것이 경(經)입니다. 그 무렵에는 녹음기도 없고 속기하는 사람도 없었지만, 부처님을 삼십여 년 동안 모시고.. 영원한 자유 2011.01.30
44. 제4편- 2장 자유로 가는 길. 2. 큰 의심 2. 큰 의심 지금까지 이야기했듯이 불교의 근본은 자기개발에 있읍니다. 초월적인 신은 부정합니다. 부처도 믿지 말고 조사도 믿지 말며, 석가도 필요없고 조사도 필요없다는 말은 불교의 근본을 나타내는 말이라고 할 수 있읍니다. 오직 자기 자신이 부처님이고 절대자임을 알아야 합니다. 곧 자기 자.. 영원한 자유 2011.01.30
43. 제4편-2장 자유로 가는 길. 1. 큰 신심 2장 자유로 가는 길 1. 큰 신심 그런데 자기 개발, 우리가 가지고 있는 무한한 능력의 개발이라는 큰 과제를 두고서, 우리는 어떠한 결심을 해야 되는가? 우리가 어떤 결심을 해야만 자기 능력을 완전히 개발하여 불보살이 되고 조사가 되고 그리고 선지식인이 되어 미래겁이 다하도록 일체 중생을 위해.. 영원한 자유 2011.01.30
42. 제 4편 영원한 자유. 1장 오매일여. 4. 불등 순 선사 4. 불등 순 선사 불등 순스님이 있었읍니다. 그는 오조 법연 선사의 손제자되는 분으로, 대혜 사촌간이었읍니다. 불감 근 선사 밑에서 약 삼년 동안 공부하였는데 불감 근스님께서 가만히 살펴보니, 이 스님이 근기는 괜찮은데 게을러서 공부를 하지 않는 것이었읍니다. 그래서 불감 근스님이 한번은 .. 영원한 자유 2011.01.30
41. 제 4편 영원한 자유. 1장 오매일여. 3. 태고스님 3. 태고스님 지금까지 중국의 스님 이야기를 했는데, 우리나라 선문 가운데에 태고스님이 계십니다. 태고스님은 공부한 지 20여년 만인, 나이 마흔에 오매일여가 되고 그 뒤 확철히 깨쳤읍니다. 깨치고 보니 당시 고려의 큰 스님네들이 자기 마음에 들지 않았읍니다. 자기를 인가해 줄 스님도 없고, 자.. 영원한 자유 2011.01.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