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1.
스님이 설봉 의존(雪峯義尊: 822∼908)스님에게 물었다.
"어디서 오느냐?"
"천태산(天台山)에서 옵니다."
"지자(智者)스님을 뵈었느냐?"
"제가 무쇠방망이 맞을 짓을 했습니다."
설봉스님이 올라가 문안을 드리자 스님은 말하였다.
"문 안에 들어오면 무슨 말이 있어야지. 들어왔다고만 해서야 되겠느냐?"
"저는 입이 없습니다."
"입 없는 것은 우선 그만두고 나에게 눈을 돌려다오."
설봉스님은 대꾸가 없었다.
운거 도응(雲居道膺: ?∼902)스님은 앞의 말에 달리 말하였다.
"입 생긴 뒤에 말씀드리겠으니 기다리십시오."
장경 혜룡스님은 달리 말하였다.
"그렇다면 저는 이만 물러나겠습니다."
설봉스님이 땔감을 운반하던 차에 스님의 면전에 한 단을 던지자 스님이 말하였다.
"무게가 얼마나 되던가?"
"온누리 사람이 들어도 들지 못합니다."
"그런데 어떻게 여기까지 던졌는가?"
설봉스님은 말이 없었다.
스님이 부채 위에 불(佛)자를 쓰자 운암스님이 보고 거기다 불(不)자를 썼다. 스님이 다시 아닐 비(非)자를 붙였더니 설봉스님이 보고는 한꺼번에 지워버렸다.
흥화 존장(興化存奬: 830∼888)스님은 대신 말하였다.
"내가 너만 못하다."
백양 순(白楊順)스님은 말하였다.
"내가 동산스님이었다면 설봉스님에게 '너는 나의 권속이 아니다'라고 말했으리라."
천발 원(天鉢元)스님은 말하였다.
"동산스님과 운안스님은 평지에다 공연히 무더기를 일으켰으며, 설봉스님은 이 일로 지혜가 자라났다."
설봉스님이 공양주(飯頭)가 되어 쌀을 이는데 스님이 물었다.
"모래를 일어 쌀을 걸러내느냐, 쌀을 일어 모래를 걸러내느냐?"
"모래와 쌀, 양쪽 다 걸러냅니다."
"대중은 무엇을 먹으라고."
설봉스님이 드디어 쌀 항아리를 엎어버리자 스님이 말하였다.
"그대의 인연을 보건대 덕산(德山)에 있어야만 하겠군.
"낭야 혜각(瑯瑘慧覺)스님은 말하였다.
"설봉스님의 이런 행동은 달콤한 복숭아나무를 던져버리고 산을 찾아 신 오얏을 따는 격이다."
천동 정각(天童正覺 : 1091∼1157)스님은 말하였다.
"설봉스님은 걸음마다 높이 오를 줄만 알았고 짚신 뒤꿈치가 끊기는 줄은 몰랐다. 만일 정(正)과 편(偏)이 제대로 구르고 박자와 곡조가 동시에 진행되었다면 자연히 말과 기상이 서로 합하고 부자(父子)가 투합했으리라. 말해보라. 동산스님이 설봉스님을 긍정하지 않은 의도가 어디에 있는지를.
만 리에 구름 없으나 하늘에 티끌 있고
푸른 연못 거울 같으나 달이 오기 어렵네."
설두 종(雪竇宗)스님은 말하였다.
"곧은 나무에 난봉(鸞鳳)이 깃들지 않는데
금침(金針)은 이미 원앙을 수놓았네
만일 신풍(新豊)의 노인이 아니었다면
바로 빙소와해를 당했으리."
스님이 하루는 설봉스님에게 물었다.
"무얼 하고 왔느냐?"
"물통(槽)을 찍어서 만들고 왔습니다."
"몇 개의 도끼로 찍어서 완성하였느냐?"
"하나로 찍어서 만들었습니다."
"그래도 그것은 이쪽 일인걸. 저쪽 일은 어떠한가?"
"그대로 손 볼 곳이 없군요."
"그래도 이쪽의 일인걸. 저쪽 일은 어떠한가?"
설봉스님은 그만두었다.
분양 선소(汾陽善昭: 947∼1024)스님은 대신 말하였다.
"저라면 벌써 궁색해졌을텐데요."
설봉스님이 하직하자 스님은 말하였다.
"어디로 가려느냐?"
"영중(嶺中)으로 돌아가렵니다."
"올 때는 어느 길로 왔었지?"
"비원령(飛猿嶺)을 따라 나왔습니다."
"지금은 어느 길을 따라 되돌아가려는가?"
"비원령을 따라 가렵니다."
"비원령을 따라 가지 않는 사람이 있는데 그대도 아는가?"
"모르겠는데요."
"어째서 모르는가?"
"그에게 면목이 없기 때문이지요."
"그대가 모른다면 어떻게 면목이 없는 줄 아는가?"
설봉스님은 대꾸가 없었다.
낭야 혜각스님은 말하였다.
"마음이 덩벙대는 자는 망한다."
12.
운거 도응(雲居道膺: ?∼902)스님이 찾아와 뵙자 스님이 물었다.
"어디서 오느냐?"
"취미(翠微)스님에게서 옵니다."
"그는 어떤 법문으로 제자들을 가르치더냐?"
"취미스님이 나한(羅漢)에게 공양을 하기에 저는 물었습니다. '나한에게 공양을 하면 나한이 온답니까?' 하니, 스님은 '그대가 매일 먹는 것은 그럼 무었이더냐?' 하였습니다."
스님은 말하였다.
"정말 그런 말씀을 하셨더냐?"
"그렇습니다."
"대선지식을 헛되게 참례하지 않고 왔구나."
스님이 운거스님에게 물었다.
"그대는 이름이 무엇이냐?"
"도응입니다."
"향상(向上) 자리에서 다시 말해보라."
"향상에서 도응이라 이름하지 못합니다."
"내가 도오(道吾)스님께 대답했던 말과 똑같구나."
운거스님이 물었다.
"무엇이 조사가 서쪽에서 오신 뜻입니까?"
"화상아! 그대가 뒷날 띠풀집을 짓고 제자들을 맞이할 때 홀연히 누가 질문하면 어떻게 대꾸하려느냐.?"
"제가 잘못했습니다."
스님이 하루는 운거스님에게 말하였다.
"내가 들으니 사대화상(思大和尙)이 왜국(倭國)에 태어나 국왕이 되었다던데 정말 그런가?"
"만일 사대(思大)스님이 맞다면, 부처라 해도 되지 않았을 것입니다."
스님은 그렇다고 긍정하였다.
스님이 운거스님에게 물었다.
"어디 갔다 오느냐?"
"산을 둘러보고 옵니다."
"그 산은 머물만 하더냐?"
"머물만 하질 못하였습니다."
"그렇다면 도성 안이 모조리 그대에게 점령되겠군."
"그렇지는 않습니다."
"그렇다면 자네는 들어갈 길을 얻었군."
"길이 없습니다."
"길이 없다면 어떻게 나를 만나겠는가."
"길이 있다면 스님과 사이에 산이 막히게 될 것입니다."
그러자 스님이 말하였다.
"이 사람은 뒷날 천 사람 만 사람이 붙들어도 머물지 않으리라."
스님이 운거스님과 물을 건너던 차에 물었다.
"물이 얼마나 깊은가?"
"젖지 않을 정도입니다."
"덜렁대는 사람이군."
"스님께서 말씀해 보십시오."
"마르지 않을 정도라네."
오조 법연(五祖法演: ?∼1104)스님은 말하였다.
"두 사람의 이 대화에 우열이 있느냐? 산승은 오늘 팔을 휘젓고 가면서 여러분을 위해 설파하겠다.
물을 건넘에 '젖지 않는다'고 한 구절은 창고에 진주가 무더기로 쌓여 있는 격이며, 물을 건넘에 '마르지 않는다'고 한 구절은 꽂을 송곳조차 없는데 무슨 가난과 추위를 말하겠는가.* "마른 길, 젖은 길 양쪽 다 관계치 말고 그저 녹수청산(綠水靑山)에 맡기게."
운거스님이 하루는 일을 하다가 잘못하여 지렁이를 잘라 죽였더니 스님이 "적(聻)!"하고 호통을 쳤다.
운거스님은 말하였다.
"그것은 죽지 않았습니다."
"이조(二祖)는 업주(鄴州)로 갔다는데 어떠냐?"
운거스님은 대꾸가 없었다.
스님이 운거스님에게 물었다.
"대천제인(大闡提人: 부처될 종자가 없는 중생)은 5역죄(五逆罪)를 지었는데 효도고 봉양이고가 어디 있겠느냐."
"비로소 효도하고 봉양하게 되었군요."
스님이 운거스님에게 말하였다.
"과거에 남전(南泉)스님이 「미륵하생경(彌勒下生經)」을 강의하는 스님에게 묻기를, '미륵은 언제 하생(下生)합니까?' 했더니, 그는 '현재 도솔천궁에 계시며 미래세에 하생할 것입니다.'라고 말하였다. 그러자 남전스님은 '천상에도 미륵은 없고, 지하에도 미륵은 없다'라고 말하였다."
운거스님은 이 문제를 가지고 다시 질문하였다.
"천상에도 미륵이 없고 지하에도 미륵이 없다니 그렇다면 누가 그에게 이름을 지어 주었단 말입니까?"
스님이 질문을 받자 선상이 진동하는 듯하였다. 그리하여 말하였다.
"도응화상! 내가 운암스님에게 있으면서 그분께 질문한 적이 있었는데 화로가 진동하듯 하였다. 오늘 그대에게 한 번 질문을 받으니 온몸에 땀이 흐르는구나."
그 뒤에 운거스님이 삼봉(三峯)에 암자를 지었다. 열흘이 지나도 큰 방에 오지 않자 스님이 물었다.
"그대는 요즈음 어째서 공양(齋)에 오질 않는가?"
"매일같이 천신(天神)이 음식을 보내주기 때문입니다."
"나는 그대가 그럴 만한 사람이라 여겼는데, 오히려 이런 견해를 짓고 있다니 그대는 느지막하게 찾아오게."
운거스님이 느지막하게 찾아오자 스님이 불렀다.
"도응 암주(道膺庵主)!"
"네."
"선도 생각하지 말고, 악도 생각하지 말라 하였는데, 이것이 무엇일까?"
운거스님이 암자로 되돌아가 고요하게 편안히 앉아 있었더니, 이로부터 천신이 찾아도 끝내 보이질 않았다. 이렇게 사흘 지나고서야 끊겼다.
스님이 운거스님에게 물었다.
"무얼 하느냐?"
"장(醬)을 담금니다."
"소금은 얼마나 넣느냐?"
"저으면서 넣습니다."
"어떤 맛을 만들지?"
"딱 되었습니다."
13.
소산(疏山)스님이 찾아왔는데 마침 조참(早參) 때여서 나오더니 스님께 물었다.
"언어 이전의 도리를 스님께서 가르쳐 주십시오."
"아무 것도 긍정하려 하지 않는 사람에게는 응낙하지 않는다."
"그러면 공력을 들여야 옳습니까?"
"그대는 지금 공력을 들이고 있는가?"
"공력을 들이지 않는다면 꺼릴 것이 없겠지요."
하루는 스님께서 상당하여 말씀하셨다.
"이 일을 알고 싶은가? 마른 나무에서 꽃이 피듯 해야만 그것에 계합하게 되리라."
소산스님이 물었다.
"무엇에도 어긋나지 않는 경지라면 어떻습니까?"
"화상! 이는 '공들여 닦는'쪽의 일이다. 다행히도 '공부 없는 공부'가 있는데 그대는 무엇 때문에 묻질 않느냐?"
"공부 없는 공부라면 저쪽 사람 일 아니겠습니까?"
"그대의 이런 질문을 비웃는 사람이 매우 많다."
"그렇다면 더 아득히 멀어지겠습니다."
"멀기도 하고[迢然] 멀지 않기도 하며[非迢然] 멀지 않음도 아니다[非不迢然]."
"어떤 것이 먼 것입니까?"
"저쪽 사람을 멀다고 하면 안되지."
"어떤 것이 멀지 않은 것입니까?"
"끝날 곳이 없겠군."
스님께서 소산스님에게 물으셨다.
"공겁(空劫)엔 사람 사는 집이 없었다 하니 이는 어떤 사람이 안주하는 곳이겠는가?"
"모르겠습니다."
"그 사람들에게도 생각[意志]이 있겠는가?"
"스님께서는 그들에게 물어보시죠."
"지금 묻고 있는 중이다."
"무슨 뜻입니까?"
스님은 대꾸하지 않으셨다.
14.
청림 사건(靑林師虔: ?∼904)스님이 참례하자 스님께서 물으셨다.
"이제 어디에서 떠나왔는가?"
"무릉(武陵)에서 옵니다."
"무릉의 법도는 여기와 무엇이 같은가?"
"오랑캐 땅에선 겨울에 죽순을 뽑습니다."
"다른 시루에 향기로운 밥을 지어 이 사람에게 공양하여라."
청림스님이 소매를 떨치며 나가자 스님께서 말씀하셨다.
"이 사람이 뒷날 온 세상 사람들을 밟아 죽일 것이다.
"고산 영(鼓山永)스님은 말하였다.
"이렇게 대꾸하다간 물 한 방울도 받기 어려운데 무엇 때문에 다른 시루에 향기로운 밥을 지으라 하는가."
청림스님이 하루는 스님을 하직하자 이렇게 말씀하셨다.
"어디로 가려는가?"
"금륜(金輪)은 표적을 숨기지 않고, 온 세계에 홍진(紅塵)이 끊겼습니다."
"잘 간직[保任]하게."
청림스님이 조심스럽게 나가는데 스님께서 문에서 전송하시며 말씀하셨다.
"이렇게 떠나는 한 구절을 어떻게 말하겠는가?"
"걸음걸음 홍진을 밟으나 걸음걸음 몸 그림자가 없습니다."
"스님께선 무엇 때문에 속히 말하지 않습니까?"
"자네는 어찌 그리 성미가 급한가."
"제가 잘못했습니다."
그리고는 바로 절을 하고 떠났다.
-----------------------------
* 향엄 지한스님이 대나무에 기왓쪽 부딪치는 소리를 듣고 깨치고는 송(頌)을 지었는데, 위산스님이 듣고 앙산스님에게 '향엄이 확철대오했구나' 하셨다. 앙산스님은 향엄스님의 경계를 확인코자 다른 게송을 지어보라고 하자 향엄스님이 다음의 게송을 지었다. '지난해 가난은 가난이 아니고/ 금년의 가난이 진짜 가난일세/ 작년의 가난은 송곳 꽂을 땅이라도 있더니/ 금년의 가난은 송곳마저 없구나.' 앙산스님은 '여래선은 사제가 알았다고 인정하겠네만 조사선은 꿈에서도 보지 못하고 있군' 하였다
'선림고경총서 > 조동록曹洞錄' 카테고리의 다른 글
[동산록/ 오가어록(五家語錄)] 2. 감변 · 시중 24~39. (0) | 2015.05.03 |
---|---|
[동산록/ 오가어록(五家語錄)] 2. 감변 · 시중 15~23. (0) | 2015.05.03 |
[동산록/ 오가어록(五家語錄)] 2. 감변 · 시중 1~10 (0) | 2015.05.03 |
[동산록/ 오가어록(五家語錄)] 1. 행록 (0) | 2015.05.03 |
차례 (0) | 2015.05.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