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공덕(功德)
위사군이 예배하고 스스로 말하였다.
"큰스님께서 법을 설하심은 실로 부사의합니다. 제자가 일찌기 조그마한 의심이 있어서 큰스님께 여쭙고자 하오니, 바라건대 큰스님께서는 대자대비로 제자를 위하여 말씀하여 주소서."
육조대사께서 말씀하셨다.
"의심이 있거든 물으라. 어찌 두 번 세 번 물을 필요가 있겠는가."
위사군이 물었다.
"대사께서 설하신 법은 서쪽 나라에서 오신 제일조 달마조사의 종지가 아닙니까?"
대사께서 말씀하셨다.
"그렇다."
"제자가 듣자오니 달마대사께서 양무제를 교화하실 때, 양무제가 달마대사께 묻기를,
'짐이 한평생 동안 절을 짓고 보시를 하며 공양을 올렸는데 공덕이 있습니까?'라고 하자, 달마대사께서
'전혀 공덕이 없습니다"라고 대답하시니, 무제는 불쾌하게 여겨 마침내 달마를 나라 밖으로 내보내었다고 하는데 이 말을 잘 알지 못하겠읍니다. 청컨대 큰스님께서는 말씀해 주십시오."
육조대사께서 말씀하셨다.
"실로 공덕이 없으니, 사군은 달마대사의 말씀을 의심하지 말라. 무제가 삿된 길에 집착하여 바른 법을 모른 것이니라."
使君이 禮拜하고 自言하되 和尙說法은 實不思議로다 弟子嘗(當)有少疑하야 欲問(聞)和尙하노니 望'意'和尙은 大慈大悲로 爲弟子說하소서 大師言하되 有疑(議)卽問(聞)이니 何須再三가 使君問(聞)하되 法은 可不'不'是西國第一祖達磨祖師宗旨닛고 大師言是라 弟子見說하니 達磨大師化(伐)梁武帝(諦)할새 問達磨하되 朕이 一生已(未)來로 造寺布施供養하니 有'有'功德否아 達磨答言하되 並無功德이니라 武帝惆悵하야 遂遣達磨하야 出境이라하니 未審此言을 請和尙說하소서 六祖言하되 實無功德이니 使君아 '朕'勿疑達磨大師言하라 武帝著邪道하야 不識正法이니라.
위사군이 물었다.
"어찌하여 공덕이 없읍니까?"
육조대사께서 말씀하셨다.
"절을 짓고 보시하며 공양을 올리는 것은 다만 복을 닦는 것이다. 복을 공덕이라고 하지는 말라. 공덕은 법신에 있고 복밭에 있지 않으니라.
자기의 법성에 공덕이 있나니, 견성이 곧 공(功)이요, 평등하고 곧음이 곧 덕(德)이니라. 안으로 불성을 보고 밖으로 공경하라. 만약 모든 사람을 경멸하고 아상(我相)을 끊지 못하면 곧 스스로 공덕이 없고 자성은 허망하여 법신에 공덕이 없느니라.
생각마다 덕을 행하고 마음이 평등하여 곧으면 곧 가볍지 않으니라. 그러므로 항상 공경하고 스스로 몸을 닦는 것이 곧 공이요, 스스로 마음을 닦는 것이 곧 덕이니라. 공덕은 자기의 마음으로 짓는 것이다. [이같이] 복과 공덕이 다르거늘 무제가 바른 이치를 알지 못한 것이요, 달마대사께 허물 있는 것이 아니니라."
使君이 問 何以無功德고 和尙이 言하되 造寺布施供養은 只是修福이라 不可將福하야 以爲功德이니 [功德]은 在法身이요 非在於福田이라 自法性이 有功德하니 [見性이 是功]이요 平直是德이라 [內見]佛性하고 外行恭敬하라 若輕一切人하야 吾(悟)我不斷하면 卽自無功德이니 自性虛妄하야 法身이 無功德이니라 念念德行하야 平等直(眞)心하면 德卽不輕이니 常行於敬하야 自修身이 卽功이요 自修'身'心이 卽德이라 功德은 自心作이니 福與功德別이어늘 武帝不識正理요 非祖大師有過니라.
○ 견성시공(見性是空 견성이 공임)… 참다운 공덕은 오직 견성 뿐이다.
'선림고경총서 > 선림보전禪林寶典'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제2편 돈황본단경 편역(編譯) 22.수행(修行) (0) | 2016.06.16 |
---|---|
제2편 돈황본단경 편역(編譯) 21.서방(西方) (0) | 2016.06.13 |
제2편 돈황본단경 편역(編譯) 19.멸죄(滅罪) (0) | 2016.06.13 |
제2편 돈황본단경 편역(編譯) 18. 돈오(頓悟) (0) | 2016.06.13 |
제2편 돈황본단경 편역(編譯) 17. 견성(見性) (0) | 2016.06.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