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2. 언어도단심행처멸(言語道斷心行處滅)
"경에 이르기를 '언어의 길이 끊어지고 마음 가는 곳이 없어진다'고 하니 그 뜻이 어떠합니까?"
"말로써 뜻을 나타냄에 뜻을 얻으면 말이 끊어지니 뜻이 곧 공함이요, 공함이 곧 도인지라, 도는 곧 말이 끊어진 까닭에 언어의 길이 끊어졌다고 하느니라.
마음 가는 곳이 없어진다고 하는 것은 중도실제의 뜻을 얻어서 다시 관(觀)을 일으키지 아니함을 말함이니, 관(觀)을 일으키지 않으므로 곧 나는 것이 없음[無生]이니라. 나는 것이 없는 까닭에 곧 모든 색의 성품이 공한 것이니 색의 성품이 공한 까닭에 곧 만가지 인연이 함께 끊어짐이요, 만 가지 인연이 함께 끊어짐이 곧 마음 가는 곳이 없어진 것이니라."
問 經云 言語道斷心行處滅이라 하니 其義如何오
答 以言顯義에 得義言絶하야 義卽是空이요 空卽是道라 道卽是絶言故로 云言語道斷이니라 心行處滅은 謂得義實際更不起觀이니 不起觀故로 卽是無生이라 以無生故로 卽一切色性空이니 色性空故로 卽萬緣이 俱絶이요 萬緣具絶者는 卽是心行處滅이니라.
23. 여여(如如)
"여여란 어떤 것입니까?"
"여여(如如)란 움직이지 아니한다는 뜻이니 마음이 진여인 까닭에 여여라고 하느니라. 과거 모든 부처님들도 이 여여행을 행해서 성도하셨고 현재의 부처님도 이 여여행을 행해서 성도하시고 미래의 부처님도 이 여여행을 행해서 또한 성도하실 것이니, 삼세에 닦아 증한 바의 도가 다름이 없으므로 여여라 함을 알지니라. 「유마경」에 이르기를 '모든 부처님들도 또한 같으며 미륵에 이르러도 또한 같으며 내지 일체 중생에 이르러도 모두 같다. 왜냐하면 불성이란 끊어지지 아니하고 있는 성품이기 때문이니라'고 하였느니라."
問 如如者는 云何오
答 如如는 是不動義니 心眞如故名如如也니라 是知過去諸佛도 行此行하야 亦得成道며 現在佛도 行此行하야 亦得成道며 未來佛도 行此行하야 亦得成道니 三世所修證道도 無異故로 名如如也니라 維摩經云 諸佛도 亦如也며 至於彌勒도 亦如也며 乃至一切衆生도 悉皆如也니 何以故오 爲佛性이 不斷有性故也니라.
24. 즉색즉공(卽色卽空)
"색에 즉하고 공에 즉하며 범에 즉하고 성에 즉함이 돈오입니까?"
"그러니라."
"어떤 것이 색에 즉하고 공에 즉함이며 어떤 것이 범부에 즉하고 성인에 즉한 것입니까?"
"마음에 물듦이 있음이 곧 색이요, 마음에 물듦이 없음이 곧 공이며, 마음에 물듦이 있음이 곧 범부요 마음에 물듦이 없음이 곧 성인이니라. 또한 진공묘유이므로 곧 색이요, 색을 얻을 수 없으므로 곧 공이니, 지금 공이라고 말한 것은 이 색의 성품이 스스로 공함이요 색이 없어져서 공한 것은 아니니라. 지금 색이라고 하는 것은 이 공의 성품이 스스로 색이요, 색이 능히 색인 것은 아니니라."
問 卽色卽空하고 卽凡卽聖이 是頓悟否아
答 是니라.
問 云何是卽色卽空이며 云何是卽凡卽聖고
答 心有染이 卽色이요 心無染이 卽空이며 心有染이 卽凡이요 心無染이 卽聖이니라 又云 眞空妙有故로 卽色이요 色不可得故로 卽空이니 今言空者는 是色性이 自空이요 非色滅空이며 今言色者는 是空性自色이요 非色能色也니라.
25. 진(盡)과 무진(無盡)
"경에 이르기를 '다함과 다함 없음의 법문'이란 무슨 뜻입니까?"
"두 가지 성품이 공한 까닭에 보고 들음이 나지 않음이 다함[盡]이니 다함이란 모든 망루(妄漏)가 다함이며, 다함이 없음은 남이 없는 본체 가운데 항하사의 묘용을 갖추고 있어서 일을 따라 응하여 나타나서 모두 다 구족하여, 본체 가운데에 손감이 없음을 다함이 없다고 하는 것이니, 이것이 곧 다함과 다함 없음의 법문인 것이니라."
"다함과 다함 없음이 하나입니까, 다릅니까?"
"본체는 하나이나 말하면 다름이 있느니라."
"본체가 이미 하나일진댄 어째서 다름을 말씀하십니까?"
"하나라 함은 말의 본체[体]요, 말함은 본체의 작용이니 일을 따라서 응용하는 까닭에 본체는 같으나 말함은 다르다고 하는 것이니라.
비유하면 천상의 한 해[日] 아래 여러 가지 그릇들을 놓아두고 물을 채우면 하나하나의 그릇 가운데 모두 해가 있어서, 모든 그릇 가운데의 해가 다 원만하여 하늘 위의 해와 아무런 차별이 없는 까닭에 본체는 같다고 말하는 것이요, 그릇에 따라 이름을 세워서 곧 차별이 있으므로 다른 것이니라. 그러므로 본체는 같으나 말하면 곧 다름이 있다고 하느니라.
그릇에 나타난 모든 해가 모두 원만하여 하늘의 본래 해와 또한 손감이 없는 까닭으로 다함이 없다고 하느니라."
問 經云 盡無盡法門如何오
答 爲二性空故로 見聞無生이 是盡이니 盡者는 諸漏盡이요 無盡者는 於無生体中에 具恒沙妙用하야 隨事應現하야 悉皆具足하야 於本体中에 亦無損減이 是名無盡이니 卽是盡無盡法門也니라.
問 盡與無盡이 爲一가 爲別가
答 体是一이나 說卽有別이니라.
問 体旣是一인댄 云何說別고
答 一者는 是說之体요 說是体之用이니 爲隨事應用故로 云体同說別이니라 喩如天上一日下에 置種種盆器盛水하면 一一器中에 皆有於日하야 諸器中日이 悉皆圓滿하야 與天上日로 亦無差別故로 云体同이요 爲隨器立名하야 卽有差別일새. 所以有別이니라 故云体同이나 說卽有別이라 하나니 所現諸日이 悉皆圓滿하야 於上本日에 亦無損減故로 云無盡也니라.
26. 불생불멸(不生不滅)
"경에 이르기를 '나지도 않고 없어지지도 않는다'고 하니 어떤 법이 나지 아니하며 어떤 법이 없어지지 아니하는 것입니까?"
"착하지 않음이 나지 않음이요, 착한 법은 없어지지 아니 하느니라."
"어떤 것이 착함이며 어떤 것이 착하지 않은 것입니까?"
"착하지 않음이란 염루심(染漏心)이요, 착한 법이란 염루심이 없음이니 다만 염루가 없으면 곧 착하지 않음이 나지 않음이며, 염루가 없음을 얻었을 때에 곧 청정하고 둥글고 밝아 담연히 항상 고요해서 마침내 움직이지 아니하므로 착한 법이 없어지지 않는다고 하는 것이니, 이것이 곧 나지도 아니하고 없어지지도 아니한 것이니라."
問 經云 不生不滅이라 하니 何法不生이며 何法不滅고
答 不善이 不生이요 善法이 不滅이니라.
問 何者善이며 何者不善고
答 不善者는 是染漏心이요 善法者는 是無染漏心이니 但無染無漏하면 卽是不善不生이며 得無染無漏時에 卽淸淨圓明하야 湛然常寂하야 畢竟不遷일새 是名善法不滅也니 此卽是不生不滅이니라.
27. 불계(佛戒)는 청정심(淸淨心)
"「보살계」에 이르기를 '중생이 부처님 계를 받으면 곧 모든 부처님의 지위에 들어가는지라 지위가 대각과 같아서 참으로 모든 부처님의 아들이다'고 하시니 그 뜻이 무엇입니까?"
"부처님의 계란 청정한 마음이니 만약 어떤 사람이 발심하여 청정행을 수행하여 받는 바가 없는 마음을 얻은 사람은 부처님의 계를 받았다고 하느니라.
과거의 모든 부처님도 다 청정하여 받음이 없는 행을 닦아서 불도를 이룬 것이니, 지금 어떤 사람이 발심하여 받음이 없는 청정행을 닦는 사람은 곧 부처님과 더불어 공덕을 균등하게 써서 다름이 없느니라. 그러므로 모든 부처님 지위에 들어간다고 말하는 것이니 이렇게 깨달은 사람은 부처님과 더불어 깨달음이 같으므로 지위가 대각과 같아서 참으로 모든 부처님의 아들이라고 하느니라. 청정한 마음으로부터 지혜가 나는지라 지혜가 청정함을 이름하여 모든 부처님의 아들이라고 하며 또한 이 부처님의 아들이라고 하느니라."
問 菩薩戒云 衆生이 受佛戒하면 卽入諸佛位라 爲同大覺已하야 眞是諸佛子라 하니 其義云何오.
答 佛戒者는 淸淨心이 是也니 若有人이 發心하야 修行淸淨行하야 得無所受心者는 名受佛戒也니라. 過去諸佛이 皆修淸淨無受行하야 得成佛道하니 今時에 有人이 發心修無受淸淨行者는 卽與佛功德等用하야 無有異也니라. 故云入諸佛位也니 如是悟者는 與佛悟同故로 云位同大覺已하야 眞是諸佛子라 하니 從淸淨心生智하야 智淸淨이 名爲諸佛子며 亦名此佛子니라.
28. 불(佛)과 법(法)의 선후(先後)
"부처님과 법에 있어서 부처님이 앞입니까, 법이 앞입니까? 만약 법이 앞이라고 하면 법은 어찌 부처님께서 말씀하신 바이며, 만약 부처님이 앞이라고 하면 어떤 가르침을 이어 받아서 도를 이룬 것입니까?"
"부처님은 법보다 앞에 있기도 하고 법의 뒤에 있기도 하느니라."
"어찌하여 부처와 법에 앞뒤가 있읍니까?"
"만약 적멸법에 의거하면 법이 앞이요 부처님이 뒤이며, 문자법에 의거하면 부처님이 앞이요 법은 뒤이니라. 왜냐하면 일체 모든 부처님이 모두 적멸법에 의해서 성불을 했으므로 곧 법이 앞이요 부처님은 뒤이니, 경에서 이르기를 '모든 부처님의 스승됨은 이른바 법이다'고 하였느니라. 성도하고 나서 비로소 십이부경을 널리 설하여 중생을 인도하여 교화하시니 중생이 부처님 법의 가르침을 받아서 수행하여 성불하므로 곧 부처님이 앞이요 법은 뒤인 것이니라."
問 只是佛之與法이 爲是佛在先가 爲是法在先가 若法在先이면 法是何佛所說이며 若佛在先이면 承何敎而成道오.
答 佛은 亦在法先이며 亦在法後니라.
問 因何佛法先後오
答 若據寂滅法이면 是法先佛後요 若據文字法이면 是佛先法後니 何以故오 一切諸佛이 皆因寂滅法而得成佛일새 卽是法先佛後니 經云 諸佛所師는 所謂法也니라 得成道已하야 然始廣說十二部經하야 引化衆生하니 衆生이 承佛法敎하야 修行得成佛일새 卽是佛先法後也니라.
29. 설통(說通)과 종통(宗通)
"어떤 것이 설법은 통하고 종취는 통하지 못한 것입니까?"
"말과 행동이 서로 틀림이 곧 설법은 통하고 종취는 통하지 못한 것이니라."
"어떤 것이 종취도 통하고 설법도 통한 것입니까?"
"말과 행동이 차이가 없음이 곧 설법도 통하고 종취도 통한 것이니라."
問 云何是說通宗不通고
答 言行相違卽是說通宗不通이니라.
問 云何是宗通說亦通고
答 言行無差가 卽是說通宗亦通이니라.
30. 도(到)와 부도(不到)
"경에 이르기를 '이르되 이르지 아니하고 이르지 않되 이른 법'이란 무엇입니까?"
"말은 이르러도 행은 이르지 못함이 이르렀으나 이르지 못함이요, 행은 이르러도 말은 이르지 못함이 이르지 않되 이르른 것이며, 행과 말이 함께 이르름이 이르고 이름이라 하느니라."
問 經云 到不到不到到之法云何오
答 說到行不到가 名爲到不到요 行到說不到가 名爲不到到요 行說俱到가 名爲到到니라.
'선림고경총서 > 선림보전禪林寶典'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제2권 돈오입도요문론(頓悟入道要門論) 38~41. (0) | 2016.06.25 |
---|---|
제2권 돈오입도요문론(頓悟入道要門論) 31~37. (0) | 2016.06.24 |
제2권 돈오입도요문론(頓悟入道要門論) 14~21. (0) | 2016.06.24 |
제2권 돈오입도요문론(頓悟入道要門論) 10~13. (0) | 2016.06.23 |
제2권 돈오입도요문론(頓悟入道要門論) 7~9. (0) | 2016.06.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