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3. 고난은 '행복의 안내자'다 한 미션 계통 대학 강의실에서 있었던 일이다. 학생이 교수에게 물었다. "하느님이 그처럼 위대하고 인자하시다면, 어째서 세상에 이렇게 많은 고난을 주셨나요? 왜 우리에게 영원한 건강과 즐거움을 주지 않으셨지요?" 교수의 대답은 이랬다. "만일 하느님이 그렇게 우리를 창조했다면, 아마도 우리는.. 데일 카네기와의 티타임 2011.07.15
12. '밝은 면'을 먼저 보라 한 어머니가 날마다 두 아들 때문에 근심하고 있었다. 날이 맑으면 우산을 파는 큰아이 때문에 걱정이 태산이었다. 맑은 날에는 아무도 우산을 사지 않기 때문이다. 비가 오면 아이스크림을 파는 작은아이를 생각하며 또 걱정이 강물이었다. 비오는 날에는 아이스크림 판매가 현저히 줄었기 때문이다... 데일 카네기와의 티타임 2011.07.15
11. '이미 일어난 불행'은 받아들여라 미국의 유명한 시인 휘트먼Walt Whitman은 이렇게 외쳤다. 오 맞서라! 밤과 폭풍과 굶주림에 조소와 재난과 좌절까지도, 나무와 동물이 그러하듯이 당신은 나무나 짐승이 불행 때문에 고통을 이기지 못하고 정신이 무너지는 것을 본 적이 있는가? 휘트먼의 유명한 시가 온 세상에 두루 알려졌지만, 여전히.. 데일 카네기와의 티타임 2011.07.15
10. '비난의 비'로 가슴을 적시진 마라 주위의 시선을 지나치게 예민하게 의식하는 사람들이 있다. 그러한 경향이 자기중심적인 신경과민으로 변하면 주위의 모든 사람들이 자신을 무시하면서 자신의 감정을 함부로 해친다고 믿게 된다. 신경과민의 환자는 자신이 무엇을 하든, 무슨 말을 하든, 어디를 가든, 남들이 자신의 말과 행동을 보.. 데일 카네기와의 티타임 2011.07.10
9. 자기 '생각의 덫'에 빠지지 마라 동남 아시아에서 사자를 잡는데 사용하는 특별한 '덫'이 있다. 야자열매에 구멍을 내어 속을 파내고, 거기에 먹이를 넣어 둔다. 구멍은 사자가 앞발을 집어넣었다가 음식을 움켜쥐면 빼낼 수 없는 크기다. 야자열매를 줄에 묶어서 나무 위에 매달아 놓거나 땅에 고정시켜 두면, 사자가 음식 냄새를 맡.. 데일 카네기와의 티타임 2011.07.10
8. '원숭이 흉내'는 별 도움이 안된다 이 세상에서 최고의 미인은 누구일까? 가장 아름답다고 평가받은 미녀들의 얼굴에서, 그중에서도 가장 완벽한 부분을 모아서 조합한다면 최고의 미인이 탄생하는가? 호기심 많은 사람들이 진짜로 그 실험을 해 보았다. 결과는 대단히 기형적이며 불편한 느낌을 주는 얼굴이 되었다고 한다. 사람들이 .. 데일 카네기와의 티타임 2011.07.10
7. 도대체, 걱정하는 일이 무엇인가? 당신은 무엇을 추구하면서 인생을 살아가는가? 대다수의 사람들은 행복을 추구한다고 대답한다. 그렇다면 행복은 또 무엇으로 평가할 수 있는가? 사람마다 제각각으로 대답할 것이다. 그러나 결론은 대체로 동일하다. 의식적이든 아니든, 주로 물질적인 기준으로 자신이 생각하는 행복을 말한다. 더 .. 데일 카네기와의 티타임 2011.07.10
6. '걱정'이 '전염병'보다 더 해롭다 카네기는 번거로운 일상의 일들은 피할 방법이 없으며, 하나씩 차근차근 해결해야 할 것이지 공연히 마음 쓰고 걱정하지 말라고 충고한다. 왜냐하면 고민과 걱정이 온갖 신체적 질병을 불러오기 때문이다. 에드워드 포돌스키 박사는 <걱정이 없으면 병이 사라진다>에서 걱정은 많은 신체기관을 .. 데일 카네기와의 티타임 2011.07.10
5. '걱정'이라는 '벌레'를 키우지 마라 산비탈에 거목이 죽어 누워있다. 자연과학자는 이 나무가 400여 년의 풍상을 겪으며 살았다고 한다. 4세기에 걸친 기나긴 시간 동안 나무는 벼락을 14번이나 맞으면서도 굳건하게 살아남았다. 그런데 그러던 어느날 딱정벌레 떼가 몰려왔고, 그 조그마한 딱정벌레 떼의 공격에 그만 거목은 영원히 쓰러.. 데일 카네기와의 티타임 2011.07.10
4. '원수'는 원망할수록 더 손해다 살다 보면 우리는 뜻하지 않게 남에게 오해를 받거나 모욕을 당하거나 피해를 보는 일을 겪기 마련이다. 사소한 피해나 상처도 잘못하면 서로 '원수와 같은 상태'로 변할 수 있다. 자고로 가문을 침범하거나 부모형제에게 상처를 준 '원수는 갚는 것'이 동양에선 규율처럼 내려왔다. 옛이야기에서도 불.. 데일 카네기와의 티타임 2011.07.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