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록] 1. 상당법어 19~23. 19. 최상서(崔尙書)의 청으로 영가에게 소참법문을 하다 스님께서 법좌에 올라가 영혼을 부르며 말씀하셨다. "나(羅)씨 영혼이여, 나씨 영혼이여, 아는가? 모른다면 그대의의심을 풀어주겠다. 나씨 영혼이여, 63년 전에 4연(四緣)이 거짓으로 모인 것을 거짓으로 이름하여 남[生]이라 하였으.. 선림고경총서/나옹록懶翁錄 2015.07.08
[어록] 1. 상당법어 17~18. 17. 나라에서 주관한 수륙재(水陸齋)에서 육도중생에게 설하다 스님께서 자리에 올라 한참을 잠자코 있다가 말씀하셨다. "승의공주(承懿公主 : 공민왕비 노국대공주를 말함)를 비롯하여 여러 불자들은 아는가. 여기서 당장 빛을 돌이켜 한번 보시오. 지옥 · 아귀 · 축생 · 아수라 · 인.. 선림고경총서/나옹록懶翁錄 2015.07.08
[어록] 1. 상당법어 13~16. 13. 지공화상 생일에 스님께서 화상의 진영 앞에 나아가 말씀하셨다. 얼굴을 마주 대고 친히 뵈오니 험준한 그 기봉(機鋒)에 모골(毛骨)이 시리다 여러분, 서천(西天)의 면목을 알려 하거든 한 조각 향 연기 일어나는 곳을 보라. 驀而相逢親見徹 機鋒嶮峻骨毛寒 諸人欲識西天而 一片香.. 선림고경총서/나옹록懶翁錄 2015.07.08
[어록] 1. 상당법어 9~12. 9. 보설(普說) 스님께서는 법좌에 올라 한참을 잠자코 있다가 말씀하셨다. "알겠는가. 사부대중이 함께 모여 일심으로 굳이 설법을 청하므로 산승이 이 자리에 올라왔다. 대중은 잠자코 이 설법을 들으라. 이 눈앞에 분명하고 역력하여 설법을 듣는 자는 그 누구며, 합장하고 묻는 이는 그 .. 선림고경총서/나옹록懶翁錄 2015.07.08
[어록] 1. 상당법어 4~8. 4. 해제(解制)에 상당하여 스님께서 법좌에 올라가 말씀하셨다. "4월 15일에 결제에 들어가 7월 15일이 되어서 해제를 하니 납자들은 모였다 흩어진다. 봄은 가고 가을이 오니 새로움과 낡음이변하는구나." 주장자를 쑥 뽑아들고 말씀하셨다. "말해 보라. 이것이 맺음인가 풂인가, 모임인가 .. 선림고경총서/나옹록懶翁錄 2015.07.08
[어록] 1. 상당법어 1~3. 어 록 1. 상당법어 1. 광제선사(廣濟禪寺) 개당 스님께서는 강남에서의 행각을 마치고 대도(大都)에 돌아와 연대(燕代)의 산천을 두루 돌아다니셨다. 그 도행(道行)이 궁중에 들려 을미년(1355) 가을에 황제의 명을 받들고 광제사(廣濟寺) 주지가 되어 병신년(1356) 10월 보름날에 개당법회를 열.. 선림고경총서/나옹록懶翁錄 2015.07.08
행장 3. 행장 3. 고담스님은 백지 한 장으로 답하였는데, 겉봉에는 '군자천리동풍(君子千里同風)'이라고 여섯 자를 썼다. 스님은 받아 보고 웃으면서 던져버렸다. 시자가 주워 뜯어 보았더니 그것은 빈 종이었다. 스님은 붓과 먹 두 가지로 답하였다. 신축년(1361) 겨울에 임금은 내첨사 방절(方節).. 선림고경총서/나옹록懶翁錄 2015.07.08
행장 2. 행장 2. 그 해 3월에 대도를 떠나 통주(通州)에서 배를 타고, 4월 8일에 평강부 (平江府)에 이르러 휴휴암(休休艤)에서 여름 안거를 지냈다. 7월 19일에 떠나려 할 때, 그 암자의 장로가 만류하자 스님은 그에게 게송을 지어 주었다. 쇠지팡이를 날려가며 휴휴암에 이르러 쉴 곳을 얻었거니 그.. 선림고경총서/나옹록懶翁錄 2015.07.08
행장(行狀) 1. 행장(行狀)* 문인 각굉(門人覺宏)지음 스님의 휘는 혜근(慧勤)이요 호는 나옹(懶翁)이며, 본 이름은 원혜(元慧)이다. 거처하는 방은 강월헌(江月軒)이라 하며, 속성은 아(牙)씨인데 영해부(寧海府) 사람이다. 아버지의 휘는 서구(瑞具)인데 선관서령(膳官署令)이란 벼슬을 지냈고, 어머니는 .. 선림고경총서/나옹록懶翁錄 2015.07.08
탑명(塔銘) 탑명(塔銘)* 전조열대부 정동행중서성좌우사랑 중문충보절동덕 찬화공신중 대광한산군 예문관대제학지춘추관사 겸 성균대사성 지서연사 신이색 봉교찬(前朝列大夫征東行中書省左右司郞中文*忠報節同德贊化空臣重* 大匡韓山君藝文舘大提學知春秋舘事*兼成均大司成知書筵事*.. 선림고경총서/나옹록懶翁錄 2015.07.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