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용록 中 제60칙 철마의 암소[鐵磨牸牛] 제60칙 철마의 암소[鐵磨牸牛] 시중 대중에게 보이시다. 콧구멍에다 몽땅 갈무리하니 제각기 장부의 기상을 갖추었고, 발꿈치가 굳고 실다우니 어찌 노파선(老婆禪)을 배우겠는가? 코끝[巴鼻] 없는 허수아비를 꿰뚫어 알아야 비로소 진정한 작가의 솜씨를 보리니, 일러보라. 누가 그 사.. 선림고경총서/종용록從容錄 2016.04.29
종용록 中 제59칙 청림의 죽은 뱀[靑林死蛇] 제59칙 청림의 죽은 뱀[靑林死蛇] 시중 대중에게 보이시다. 떠나는 것이 머무는 것이요, 머무는 것이 떠나는 것이다. 떠나지도 않고 머무르지도 않으니, 그에게는 국토가 없다. 어디서 만날 것인가? 가는 곳마다에서다. 일러보라, 이 어떤 물건이기에 그토록 기특한가? 본칙 드노라. 어떤 승.. 선림고경총서/종용록從容錄 2016.04.28
종용록 中 제58칙 금강경의 천대[剛經輕賤] 제58칙 금강경의 천대[剛經輕賤] 시중 대중에게 보이시다. 경에 의지하여 뜻을 해석하더라도 삼세 부처님의 원수요, 그렇다고 경을 떠나서 한 글자를 설하더라도 도리어 마구니의 말과 같아진다. 원인에도 속하지 않고 결과에도 들지 않는 사람, 그도 업보를 받겠는가? 본칙 드노라. 「금.. 선림고경총서/종용록從容錄 2016.04.28
종용록 中 제57칙 엄양의 한 물건[嚴陽一物] 제57칙 엄양의 한 물건[嚴陽一物] 시중 대중에게 보이시다. 그림자를 희롱하기 위해 몸뚱이를 수고롭게 하는 것은 몸뚱이가 그림자의 근본임을 알지 못하기 때문이요, 소리를 지르면서 메아리를 멈추게 하려는 것은 소리가 메아리의 뿌리임을 알지 못하기 때문이다. 이는 소를 타고 소를 .. 선림고경총서/종용록從容錄 2016.04.28
종용록 中 제56칙 밀사의 흰 토끼[密師白兎] 제56칙 밀사의 흰 토끼[密師白兎] 시중 대중에게 보이시다. 차라리 영겁 동안 지옥에 빠질지언정 여러 성인의 해탈을 구하지 않는다. 제바달다는 무간지옥에서도 3선천의 즐거움을 누렸고, 울두람불(鬱頭藍弗)은 유정천(有頂天)에서 삵[狸]의 몸으로 떨어졌다. 일러보라. 이해가 어느 곳에 .. 선림고경총서/종용록從容錄 2016.04.27
종용록 中 제55칙 설봉의 반두 소임[雪峰飯頭] 제55칙 설봉의 반두 소임[雪峰飯頭] 시중 대중에게 보이시다. 얼음은 물보다 차고 푸른 빛은 쪽[藍]에서 나왔다. 소견이 스승보다 나아야 겨우 전해받을 수 있으니 자식을 길러 아비에게 미치지 못하면 가문은 한 세대 쇠퇴한다. 일러보라. 아비의 기개를 빼앗을 자 그 누구더냐? 본칙 드노.. 선림고경총서/종용록從容錄 2016.04.27
종용록 中 제54칙 운암의 대비[雲岩大悲] 제54칙 운암의 대비[雲岩大悲] 시중 대중에게 보이시다. 팔면이 영롱(欞櫳)하고 시방이 활짝 트였다. 어느 곳에서나 광명을 뿜어 대지를 흔들고 어느 때나 묘한 신통을 부린다. 일러보라. 어떻게 해야 드러내보이겠는가? 본칙 드노라. 운암(雲巖)이 도오(道吾)에게 묻되 "대비보살이 .. 선림고경총서/종용록從容錄 2016.04.26
종용록 中 제53칙 황벽의 지게미 먹기[黃檗噇糟] 제53칙 황벽의 지게미 먹기[黃檗噇糟] 시중 대중에게 보이시다. 계기[機]에 임하여 부처를 보지 못하고 크게 깨달음에 스승이 존재하지 않는다. 건곤을 안정시키는 검(劒)은 인정(人情)이 없고 호랑이와 물소를 사로잡는 기개에는 성스러운 지해[聖解]가 없다. 일러보라, 이는 어떤 사람.. 선림고경총서/종용록從容錄 2016.04.23
종용록 中 제52칙 조산의 법신[曹山法身] 제52칙 조산의 법신[曹山法身] 시중 대중에게 보이시다. 지혜있는 모든 이는 비유로써 깨달음[解]을 얻으라 하셨는데 만일 비유로 미치지 못하고 사례로 견줄 수 없는 곳은 어떻게 설명할꼬? 본칙 드노라. 조산(曹山)이 덕상좌(德上座)에게 묻되 "부처님의 참 법신[佛眞法身]은 허공과 같아.. 선림고경총서/종용록從容錄 2016.04.22
종용록 中 제51칙 법안의 뱃길과 물길[法眼舡陸] 제51칙 법안의 뱃길과 물길[法眼舡陸] 시중 대중에게 보이시다. 세상법 안에서 깨달은 이가 몇이나 되며 불법 안에서 미혹한 이가 몇이나 되던가? 홀연히 한 덩어리로 만든다면 거기에도 미혹과 깨달음이 붙을 수 있을는지……. 본칙 드노라. 법안(法眼)이 각상좌(覺上座)에게 묻되 "배로 .. 선림고경총서/종용록從容錄 2016.04.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