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18. 손님쫓기 골머리 118. 손님쫓기 골머리 백련암에서 성철 스님을 모시면서 가장 어려웠던 일은 바로 손님맞이, 아니 정확히 말해 손님 쫓아내기였다. 출가해 7~8년이 지나면서 본의 아니게 원주(院主.작은 암자의 주지) 가 돼 암자 살림을 맡게 되면 덤으로 따라오는 일이 바로 손님맞이다. 살림이야 산골암자니 그럭저럭 .. 산은 산 물은 물 2010.02.10
117. 보조국사 비판 117. 보조국사 비판 성철 스님은 돈오돈수(頓悟頓修.단박에 깨치고, 단박에 닦음)를 주장하면서 자연스럽게 보조국사 지눌의 돈오점수(頓悟漸修.단박에 깨치고, 점차로 닦음)를 비판했고, 거꾸로 보조국사의 전통을 따라오던 불교계 일부로부터 비판을 받았다. 이 같은 역비판에 대해 성철 스님은 '보.. 산은 산 물은 물 2010.02.10
115. 사진집 115. 사진집 법문집과 함께 빠뜨려선 안되는 중요한 기록이 성철 스님 사진집이다. 법문집을 만들면서 '사진집도 있으면 좋겠다'고 생각하던 1980년대 말 어느날, 해인사에서 나오는 월간 『해인』을 만드는 편집실에 들렀다. 처음 보는 사람이 있어 일단 목례부터 했다. 편집장 스님이 "서울에서 내려온.. 산은 산 물은 물 2010.02.10
114. 선림고경총서 114. 선림고경총서 성철 스님이 스스로의 법문집 11권과 함께 각별한 관심을 보인 책이『선림고경총서』라는 37권짜리 방대한 선어록(선승 등의 어록) 이다. 『선림고경총서』발간은 일단 방대한 분량에다, 한문으로 된 선어록을 국역해 펴내야 하기에 여간 힘들지 않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총서 발.. 산은 산 물은 물 2010.02.10
113. 저서들 113. 저서들 성철 스님 스스로도 부처님의 가르침을 널리 알리기 위한 법문출판사업에는 상당히 적극적이었다. 매일 새벽 한시간씩 구술한 정성도 그렇고, 간혹 스승의 구술을 자장가 삼아 졸고 있는 제자의 등짝을 두들겨 깨우는 손길에서도 남다른 애정이 느껴졌다. 성철 스님이 직접 구술한 내용은 .. 산은 산 물은 물 2010.02.10
112. 법문집 출간 계기 112. 법문집 출간 계기 성철 스님의 많은 가르침을 일반인들이 읽을 수 있는 책으로 펴내는 작업이 처음 시작된 것은 1976년부터였다. 계기는 다소 엉뚱하다. 내가 참선에 본격적으로 들어간다고 서두르다가 상기병(上氣病) 에 걸린 것이 그 출발점이다. 상기병이란 참선 수행자들이 걸리는 일종의 두통... 산은 산 물은 물 2010.02.10
111. 첫 한글 법어 111. 첫 한글 법어 1981년 성철 스님이 종정이 되고 첫 부처님오신날을 맞았다. 총무원에서 "종정스님께서 부처님오신날을 맞아 법어를 내려주셔야 한다"고 전화가 와 보고하자 큰스님이 의외로 긍정적인 반응을 보였다. "그런 법어도 해야 되는가? 해야 된다카면 한번 써보지." 얼마나 시간이 흘렀을까. .. 산은 산 물은 물 2010.02.10
110. 수좌 5계 110. 수좌 5계 성철 스님은 참선을 수행의 근본으로 강조하는 까닭에 선방(禪房) 수좌(首座.참선수행에 전념하는 스님) 들에게는 특별히 '를 지키라고 가르쳤다. 수좌5계란 '수좌들이 지켜야 할 다섯 가지 계율'이란 뜻인데,성철 스님의 생각이 잘 드러나 있어 소개한다. 5계는 1.간식하지 말라, 2.돌아다.. 산은 산 물은 물 2010.01.29
109. 선인선과 악인악과 109. 선인선과 · 악인악과 성철 스님이 불공(佛供) , 즉 남을 위한 봉사를 강조한 것은 대승불교의 가르침에 따른 것으로 보인다. 성철 스님은 대승불교를 이렇게 설명했다. "불교에서 소승(小乘) 불교란 자기만을 생각하는 것입니다. 반대로 대승(大乘) 은 남을 위해 사는 것입니다. 불교의 근본은 대승.. 산은 산 물은 물 2010.01.29
108. 색다른 가르침 108. 색다른 가르침 절집안을 뒤집어 놓은 성철 스님의 법문 가운데 가장 중요한 개념의 하나는 '불공(佛供) '이다. 흔히 "절에 가서 불공을 드린다"고들 하는데, 성철 스님은 그 개념을 뒤집어 놓았기 때문이다. 성철 스님의 법문 중 불공의 의미에 대한 부분을 옮겨보자. "부처님이 얘기한 불공은 결국 .. 산은 산 물은 물 2010.01.29